534 0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비디오모델링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단일대상연구 중심으로

Title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비디오모델링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단일대상연구 중심으로
Other Titles
A Meta-Analysis of Video Modeling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Focusing on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s
Author
함주희
Alternative Author(s)
Joohee Ham
Advisor(s)
김현수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rends focusing on a single subject study of video modeling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rough meta-analysis, and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video modeling interventions. A total of 24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3 domestic studies and 21 foreign studies, after a literature screening process for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during the period from 2010 to February 2021.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video modeling intervention was investigated with 153 effect sizes from the final selected 24 studies. In order to confirm the average effect size of video modeling interventions for each target behavior, the target behaviors were classified into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 play skills, and functional living skills, and the effect sizes for each target behavior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effective video modeling intervention method and intervention environment for each target behavior, the variables corresponding to the intervention method (intervention type, modeling type) and the intervention environment (intermediator, intervention session, intervention place) were subdivided, and the effect size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video modeling intervention studi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as Tau-U .883 (Z = 23.433, P < .05), which indicates has a moderate effect according to the criteria presented by Parker and Vannest (2009).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deo modeling intervention effect size for each target behavior, play skills (Tau-U .965) was found to have the largest effect size. It was found that play skill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arger effect size than functional living skills(Tau-U .947) or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Tau-U .821). Third, in the area of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ub-variables found when analyzing all variables as a result of subdividing the variables corresponding to the video modeling intervention method(intervention type, modeling type) and the intervention environment(mediator, intervention session, intervention place) for each target behavior,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ect size. In the area of play skills, the differences in effect sizes between sub-variables regarding the variables of intervention type, autism degree, and intervention pla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rea of functional living skills, only the intervention type, age, and mediator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sizes between the sub-variables. Although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s for each intervention method for each target behavior and the variables of the intervention environment, overall, most variables showed very high effect sizes. This indicates that video modeling interventions are effective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egardless of intervention target behavior.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 video modeling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s effectiv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appropriate intervention method and interven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autism level and intervention target behavior for effective video modeling intervention. This is data not provided in previous studies, and when making decisions regarding video modeling interventions it will be usful if utilized in the clinical sites as it provides basic data to design in consideration of a variety of variables such as intervention type, model type, age, intervention session, mediator, and intervention environment.|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비디오모델링 중재연구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동향을 알아보고, 비디오모델링 중재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비디오모델링 중재는 대부분 개별 대상자를 중심으로 중재의 효과를 심도있게 평가할 수 있는 단일대상연구로 수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비디오모델링 중재연구 중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2010년에서 2021년 2월까지의 기간 동안 발표된 학술지 게재 논문들을 대상으로 문헌선별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국내연구 3편, 국외연구 21편으로 총 24편의 연구를 분석대상연구로 선정하였으며, 77명의 대상자로부터 153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평균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목표행동별 비디오모델링 중재의 평균 효과크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목표행동을 사회적․의사소통 기술, 놀이기술, 일상생활기술로 구분하여 목표행동 별 효과크기를 분석하였고, 목표행동 별 효과적인 비디오모델링 중재방법, 중재환경을 규명하기 위해 중재방법(중재유형, 모델링유형)과 중재환경(중재자, 중재회기, 중재장소)에 해당하는 변인을 세분화하고, 효과크기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비디오모델링 중재 연구들의 전체 효과크기는 Tau-U .883(Z= 23.433, P< .05)로 Parker와 Vannest(2009)가 제시한 기준에 따라 중간 중재효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목표행동 별 비디오모델링 중재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놀이기술(Tau-U .965)이 가장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일상생활기술(Tau-U .947)과 사회적․의사소통기술(Tau-U .821)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목표행동 별 비디오모델링 중재방법(비디오모델링 중재유형, 모델링유형)과 중재환경(중재자, 중재회기, 중재장소)에 해당하는 변인을 세분화하고, 효과크기를 비교․분석한 결과, 사회적․의사소통기술은 모든 변인에서 하위변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놀이기술을 살펴보면, 중재유형, 자폐정도, 중재장소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크기 차이가 나타났고, 비디오모델링에 강화․촉구를 추가한 중재유형, 중등도자폐, 가정에서 중재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기술 중재의 경우 중재유형, 연령, 중재자 변인에서 효과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비디오모델링 단독중재와 비디오모델링에 강화․촉구를 추가한 중재가 매우 큰 효과 크기(Tau-U 1.00)로 나타났으며, 73-143개월, 임상가 중재 일 때 가장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목표행동에서 대부분의 변인이 중간 중재효과 혹은 큰 중재효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목표행동별로 중재방법, 중재환경 변인마다 다소 효과크기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비디오모델링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 효과적인 것을 뜻한다. 위의 결과를 통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비디오모델링 중재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비디오모델링 중재를 위하여 대상자의 자폐정도와 개입목표행동에 따라 적절하고 중재방법 및 중재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선행연구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자료로서, 비디오모델링 중재를 위한 의사결정시 중재유형, 모델유형, 연령, 중재회기, 중재자, 중재환경 등과 같은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하여 설계하도록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임상 현장에서 실질적이고 종합적인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713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07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