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5 0

온라인 정보해석 단서로서의 숫자의 심리적 앵커링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온라인 정보해석 단서로서의 숫자의 심리적 앵커링 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Anchoring Effects of Numbers as Clues on Interpretation of Online Information: Focused on the Analysis of Perceived News Salience, Perceived Emotions,and News Evaluations
Author
왕설영
Alternative Author(s)
WANG XUEYING
Advisor(s)
박성복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e perceptions of numbers have been found in humans and even in many species. These perceptions are heightened from childhood and are formed later through learning and cultural experience. McLuhan described the number as an 'extension of the sense of touch' and argued that it is a kind of medium that can be sensed by touch and represents quantity. As a symbol system for quantity, numbers represent people's experiences and memories, and people can translate their perception of numbers into other perceptions. Radically different from the time of traditional media, in online media, numbers have emerged as eye-catching cues among the enormous amount of information that anyone can access anywhere. Numbers in online spaces have transformed into a kind of 'currency'. Numbers are symbol system of representation related to various human associations, and along with other cues and symbols, they are reconstructing a brand-new online mediated reality. As users gaining experience interacting with interface technology, it is anticipated that numbers will have a cumulative effect on human mind. As a result, this effect will be internalized in users' experience and psychology, even the overall social psychology.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strip away the technical effect of such diverse numerical cues and explore the original appearance of the numbers as an independent medium and symbol 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a two-step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ole of numbers multi-dimensionally by applying the anchoring effect as a major theory. The purpose of the first experimental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ubiquitous numbers in the online environment on the user's psychology on the cognitive level in the process of consuming contents. The purpose of the second experimental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numbers in the online environment affect the users in terms of emotional level in the process of consuming contents, that is, whether the anchoring effect on inducing the users' emotions also occurs by examing the effect of emotion contained in news contents with manipulated anchors on the users' reac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n Study 1, a high numeric anchor can make a news issue recognizable and important, but it cannot easily reduce the salience and importance of a news issue. It implied that the participants themselves ca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alient or usually significant issues regardless of the anchor size, whereas the anchoring effect has a relatively large impact on inconspicuous issues. This means that participants know little about the news issue when they are exposed to a less salient news, so they would be looking for a numeric anchor in an online environment and translating the value of the anchor into the significance of the news issue. Study 2 indicated that numeric anchors in online space did not shape users' perceived emotions for news content. On the contrary, the effect of numeric anchors on users' news evaluation was significantly corroborated.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high number anchors were associated with high values ​​of objects or targets, in turn high number anchors made participants add weight to news value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meaning of numbers plays a more prominent role than the content itself in interpretating online contents. The number on the interface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firmed the fact that a whole new news consumption environment was created by introducing as a yardstick for judging and evaluating in nterpretating online contents. Furthermore,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numbers' changing human psychology, behavior, and so far as to the overall social psychology.|숫자에 대한 지각은 인간, 심지어 여러 가지의 동물에게 발견된다. 이러한 지각은 어린 시절부터 현저하게 나타나며 나중에 학습과 문화적 경험을 통해 형성된다. 맥루한은 숫자를 '촉각의 연장'으로 표현하며 촉각으로 감지할 수 있고 양을 나타내는 매체라고 주장했다. 숫자는 양에 대한 부호로서 사람들의 경험과 기억을 담기는데 사람들이 숫자에 대한 지각을 다른 지각으로 전화시킬 수 있다. 전통 미디어 소비 시대와 달리 오늘날에 온라인 미디어에서 숫자들은 어디서 누구나 접할 수 있고 엄청난 정보들 중에 눈길을 끌고 있는 단서로서 등장했다. 온라인 공간의 숫자는 일종 '통화 (currency)'로 변신하게 됐다. 숫자는 인간의 다양한 연상과 관련된 표상의 부호로서 다른 단서들이나 부호들과 함께 새로운 온라인 매개적인 현실을 재구성하고 있다. 이용자가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경혐이 쌓임에 따라 더욱 깊은 영향을 받는다. 결과적으로 이용자의 경험과 심리, 내지 전반적 사회 심리에 내재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서의 기술적인 측면을 분리시켜서 독립적인 매개물 및 부호로서의 숫자의 본래 모습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앵커링 효과를 주요 개념으로 적용하여 숫자의 역할을 다차원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2차에 걸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1차 실험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환경에 편재하는 숫자들이 콘텐츠를 소비하는 과정에 인지적 차원에 이용자 심리에 작용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2차 실험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환경의 숫자들이 콘텐츠를 소비하는 과정에 이용자 정서적 차원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 즉 이용자의 정서를 유도하는 앵커링 효과도 발생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뉴스 콘텐츠의 정서성과 조작된 앵커는 이용자의 반응에 작용하는 효과를 살펴봤다. 연구 결과, <실험연구 1>에서 숫자 앵커는 뉴스 이슈를 현저하고 중요하게 인식하게 만들 수 있지만 뉴스 이슈의 현정성과 중요성을 쉽게 감소시킬 수 없다고 밝혀졌다. 현저한 혹은 평소 눈에 잘 띄는 이슈들은 앵커 크기와는 상관없이 참여자 스스로 그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반면, 현저성이 낮은 혹은 눈에 잘 띄지 않는 이슈에 대해서는 비교적 앵커 효과의 영향력이 크다는 점이다. 이는 현저성 낮은 뉴스에 덜 노출되어 참여자가 뉴스에 대해서 잘 파악하지 못해서 온라인 환경에서 숫자 앵커에 의뢰하여 앵커에 대한 해석을 뉴스에 대한 인식으로 옮긴다는 것이다. <실험연구 2>는 온라인 공간에서의 숫자 앵커가 뉴스 콘텐츠에 대해 감지된 정서를 유도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나타났다. 반면 숫자 앵커가 이용자 뉴스가치 평가에 작용하는 효과를 유의미하게 보여줬다. 이는 높은 숫자와 판단 대상의 높은 가치를 연관시키고 높은 앵커는 참여자로 하여금 뉴스 가치에 가중치를 부여하게 만들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를 통해 숫자가 가지고 있는 의미가 온라인 콘텐츠를 해독하는 데에 있어서 콘텐츠 자체보다 더 큰다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인터페이스 상의 숫자는 콘텐츠를 해독하는 데에 있어서 판단하거나 평가하는 척도로 도입됨으로써 새로운 뉴스 소비 환경을 만들어 냈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더 나아가 인간의 심리와 행동 및 사회적 심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736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03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신문방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