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8 0

조선총독부의 급성전염병 예방 대책 변화 - 수인성 전염병을 중심으로

Title
조선총독부의 급성전염병 예방 대책 변화 - 수인성 전염병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Changes in Prevention Measures of Acute Infectious Diseases by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 Focusing on Waterborne Infectious Diseases
Author
백선례
Alternative Author(s)
Baek, Seon-Lye
Advisor(s)
박찬승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n medicine actively used by Japan to legitimize the colonial rule of Joseon, with a focus on the measures taken to prevent acute infectious diseases. Among various acute infectious diseases, the study focused on water-borne infectious diseases that occurred frequently in colonial Joseon, and the preventive measures mostly involved vaccination and the supply of clean water. This study aimed to track how the two methods were simultaneously conducted and how they chang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First, there were limitations due to the unresolved issue of medical infrastructure in regard to vaccination and vaccines. Vaccination was a field in which professional personnel could not be replaced by the police, who were in charge of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activities in colonial Joseon. Consequently, the Government-General's quarantine authorities could not meet their vaccination goals, unless sufficient medical personnel could be procured to administer the vaccines. Despite these circumstances, however, the number of vaccinated persons increased after the mid-1930s because the quarantine authorities had devised various methods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to vaccinations and organize medical personnel. Nevertheless, methods, such as organizing a quarantine team to find people in need of vaccination or using major facilities in the city as a vaccination site were only possible in urban areas where there was a relatively dense population of medical personnel. It was difficult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vaccinations in areas that still had to rely on provincial hospitals, Korean Medicine doctors, and public doctors. Although the medical infrastructure of colonial Joseon was insufficient, the increasing emphasis on vaccination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was closely related to the water supply and sewage problem, namely, the supply of clean water. In a situation where the supply of clean water through waterworks had not progressed in colonial Joseon, the only preventive measure for infectious diseases tha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ould implement for Koreans was vaccination. As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it was difficult to install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s as planned due to budgetary issues. Furthermore, it was difficult to improve existing waterworks structures or facilities that were outdated. Under these circumstances, water supply facilities had been identified as the cause of outbreaks of infectious diseases. In particular, during the typhoid epidemic of Gyeongseong in 1928, there was a dispute between the Gyeongseong Ministry of Health and the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Medical School over water quality when Gyeongseong Waterworks, the largest water supply facility in Joseon, was cited as the cause of the outbreak. Meanwhile, well improvement work was being carried out following the Rural Revival Movement in the early 1930s in areas that were not listed as a priority for laying water and sewage systems, namely the rural areas. In particular, since the principle of well improvement work was changed from “building” to “self-renovation” in the mid-1930s, residents were coerced to participate. Overtime, work was arranged for the residents, and the money from this work was used to cover the expenses required to improve the wells. Moreover, the well improvement work was also carried out with the labor of the residents. While this project was primarily implemented by relying on the labor provided by the residents, the well remodeling project was able to achieve practical results in rural areas where it was difficult to even dream of laying water supply. By approaching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s measures to prevent acute infectious diseases from two aspects–vaccines and supply of clean water–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modern medical knowledge (technology) and sanitation facilities represented by vaccines and water and sewage systems. The primary aim of this paper was to reveal that the medical knowledge and facilities introduced at the time were incomplete and uncerta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mphasized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quarantine system; however, since modern medical knowledge and facilities were not as impeccable as they had advertised, acute infectious diseases were still constantly occurring in Joseon. In addition, such imperfections and uncertainties could have been pronounced due to the colonial setting. Specifically, a supply of clean water and vaccination should have been distributed in a balanced manner to effectively prevent infectious diseases despite the imperfections. Nonetheless, in colonial Joseon, waterworks facilities were preferentially installed in urban areas, especially in areas where many Japanese dwelled, and many Koreans thus still could not receive the benefits of waterworks. As a result, preventive measures against infectious diseases in colonial Joseon were increasingly concentrated on vaccination. However, this vaccination-first principle had limitations without the supply of clean water or the maintenance of water and sewage facilities, and it could not be established as a fundamental measure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Furthermore, in the process of improving water and sewage facilities and vaccinations by trial and error, the Japanese citizens were prioritized over the Koreans, and the Koreans could not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process. As a consequence of this quarantine system in colonial Joseon, not only the Koreans but also the Japanese could not be free from acute infectious diseases.|이 논문에서는 일본이 식민지 조선 통치의 정당성 부여에 적극 활용했던 근대 의학, 그 중에서도 급성전염병 예방 대책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급성전염병 중에서도 식민지 조선에서 많이 발생하였던 수인성 전염병에 집중하였으며, 이에 대한 예방대책을 크게 두 가지 줄기, 즉 백신접종과 깨끗한 물의 공급으로 접근하였다. 식민지시기에 두 가지 방법이 어떻게 병행되었고 변화되었는지 추적하고자 하였다. 먼저 예방접종, 백신과 관련해서는 의료 인프라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한계에 봉착할 수밖에 없었다. 예방접종은 식민지 조선에서 전염병 방역의 주체였던 경찰들이 전문 인력을 대신할 수 없는 영역이었다. 검병적 호구조사를 통해 환자를 찾아내고, 환자를 격리시키며 주변의 교통을 차단하는 것과는 다른 차원이었던 것이다. 때문에 백신을 접종할 의료 인력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한 총독부 방역당국이 목표로 하는 예방접종 수치를 달성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30년대 중반 이후로 예방접종자 숫자가 증가했던 것은 방역 당국이 예방접종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강구하였고, 최대한 의료 인력을 동원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방역반(防疫班)을 조직하여 예방접종이 필요한 사람들을 찾아다니거나 도시 내 주요 시설을 접종장소로 활용하는 등의 방식은 상대적으로 의료 인력이 집중되어 있는 도시 지역에서만 가능한 일이었다. 여전히 도립병원과 자혜의원, 혹은 한지(限地)의사와 공의(公醫) 등에 의존해야 했던 지역에서는 예방접종 접근성을 높이기 쉽지 않았으며, 전염병 발생에 한발 앞선 예방 대책이 시행되기 어려웠다. 이렇게 식민지 조선의 의료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전염병 예방대책에서 점점 예방접종을 강조했던 것은 상하수도 문제, 즉 깨끗한 물의 공급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식민지 조선에 상수도를 통한 깨끗한 물의 공급이 좀처럼 진전되지 않은 상황에서 조선총독부가 조선인들에게 시행할 수 있는 전염병 예방대책은 예방접종으로 집중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깨끗한 물의 공급에 대해서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지적되었듯이 예산의 문제로 상하수도 부설이 예정대로 진척될 수 없었다. 또한 기존에 부설된 상수도 시설의 경우 오래된 시설을 개선하거나 규모를 확장하는 작업이 진행되기도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염병 유행시 발생 원인으로 상수도 시설이 지목되는 경우도 생겼다. 특히 1928년 경성의 장티푸스 유행에서 식민지 조선 최대의 상수도 시설인 경성 수도가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수질을 둘러싼 경성부 당국과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사이의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한편, 상하수도 부설의 우선순위가 아닌 지역, 곧 농촌 지역에서는 1930년대 초반 농촌진흥운동의 흐름을 타고 우물 개량 작업이 진행되었다. 특히 1930년대 중반 이후 우물 개량 작업이 ‘조성주의’에서 ‘자력갱생주의’로 바뀌면서 주민들의 참여가 강제되었다. 주민들에게 가외 노동을 알선하여 그 돈으로 우물 개선에 필요한 경비를 메꾸게 하고, 실제 우물 개선 작업 또한 주민들의 노동력으로 진행되었다. 이렇게 주로 주민들의 노동력에 기대어 진행된 사업이지만 한편으로는 상수도 부설은 꿈도 꾸기 어려운 농촌 지역에서 우물 개조 사업은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이렇게 조선총독부의 급성전염병 예방 대책을 백신과 깨끗한 물의 공급 두 가지 방면에서 접근하면서 백신과 상하수도로 대표되는 근대적 의학지식(기술)과 위생시설이 지니는 한계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일차적으로는 당시에 도입된 의학지식과 시설이 불완전하고 불확실했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조선총독부는 근대적 방역체계의 구축을 강조하였지만 근대적 의학지식과 시설이 그들이 내세운 것만큼 완벽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여전히 조선 내에서 끊임없이 급성전염병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불완전함과 불확실성은 식민지라는 상황에서 더욱 두드러질 수 있었다. 즉, 불완전한 면이 여전히 존재하더라도 깨끗한 물의 공급과 예방접종은 균형을 맞추어 시행되어야 전염병예방에 좀 더 효과적일 수 있었다. 그러나 식민지 조선에서 상수도 시설은 도시지역, 특히 일본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 우선적으로 부설되었고, 여전히 많은 조선인들은 상수도의 혜택을 누릴 수 없었다. 그러다 보니 식민지 조선에서 전염병예방대책은 예방접종으로 점점 집중되어 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예방주사 제일주의는 깨끗한 물의 공급, 즉 상하수도 설비가 정비되지 않는 한 한계가 있었으며 전염병예방의 근본책이 될 수는 없었다. 더욱이 상하수도 시설 및 예방접종의 시행착오를 개선하는 과정에서 조선인들보다 일본인들이 우선순위가 되었으며, 조선인들은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없었다. 이러한 식민지 조선의 방역체계의 결과 조선인들뿐만 아니라 일본인들 역시 급성전염병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022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99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HISTORY(사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