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1 0

경찰 수사 통제 제도에 대한 연구

Title
경찰 수사 통제 제도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olice Investigation Control System
Author
안준영
Alternative Author(s)
AHN JUN YOUNG
Advisor(s)
김재봉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문재인 정부는 수사와 기소의 분리를 대통령 선거의 공약으로 제시하고 검사의 개혁 차원에서 수사권 조정을 핵심 국정과제로 선정하여 추진하였고, 이에 따라 2020년 2월 4일 이를 반영한 개정 「형사소송법」이 공포되었다. 이후 ‘국민을 위한 수사권 개혁 후속추진단’의 주도로 「검사와 사법경찰관의 상호협력과 일반적 수사준칙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및 「경찰수사규칙」(행정안전부령), 「검찰청법」과 「검찰사건사무규칙」 등 관련 법령이 제·개정 되었다. 2021년 1월 1일 개정 「형사소송법」 등의 시행으로 기존 수사의 보조자에 불과하였던 경찰은 수사주체로서 막중한 책임을 부여받았고 새롭게 설립된 국가수사본부를 정점으로 3만 2천여 수사인력을 갖춘 책임 수사기관으로 변화하였다. 기존 경찰 수사를 통제하던 검사의 수사지휘권이 폐지되고 경찰의 수사의 주체성이 인정되면서 국민들은 12만이 넘는 경찰 조직의 권한 강화에 따른 부작용 발생을 우려하였고, 이에 따라 경찰을 국가경찰과 자치경찰로 나누고 개정 「형사소송법」,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 「검사와 사법경찰관의 상호협력과 일반적 수사준칙에 관한 규정」 등에 각각 국민의 신뢰도와 경찰수사의 객관성·전문성·공정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통제제도를 도입하였다. 본 논문은 개정 「형사소송법」, 「검찰청법」,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하에서 경찰 수사의 통제제도들을 연구하였다. 제2장에서는 기존 지휘관계였던 검사와 경찰의 관계가 협력관계로 변화하는 등 「형사소송법」 개정에 따른 우리나라 형사사법제도의 변화를 연구하고 경찰 내·외부의 통제제도들을 개관하였다. 제3장에서는 경찰내부의 수사 통제제도들을 연구하였고, 제4장에서는 검사에 의한 경찰 수사 통제제도를 연구하였고, 제5장에서는 검사에 의한 통제를 제외한 경찰수사에 대한 외부적 통제를 연구하였다. 결론에서는 기존 논의를 정리하고 바람직한 경찰수사 통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government presented the separation of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as a promise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selected and promoted the adjustment of investigative powers as a key national task in terms of reforming prosecutors. Accordingly, on February 4, 2020, the revised Criminal Procedure Act was promulgated. Since then, related laws have been enacted and amend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Follow-up Team for Investigative Rights Reform for the People'. With the enforcement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on January 1, 2021, the police, which had previously only been an assistant to the investigation, were given a heavy responsibility as the subject of the investigation. With the newly established National Investigation Headquarters at its peak,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responsible investigation agency with 32,000 investigative personnel. With the abolition of the investigative authority of the prosecutor, who had previously controlled the police investigat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police's investigative subjectivity, the public was concerned about the side effects of the strengthening of the authority of the over 120,000 police organizations. Accordingly, the police were divided into national police and autonomous police, and various control systems were introduced in the relevant laws to improve public trust and objectivity, professionalism, and fairness of police investigations, respectively. This paper studies the control systems of police investigations under the revised Criminal Procedure Act. Chapter 1 presents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Chapter 2 studies the changes in the Korean criminal justice system following the revis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such as the change from the existing command relationship between the prosecutor and the police to a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outlines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systems of the police. Chapter 3 studied the investigation and control systems within the police. Chapter 4 studied the police investigation and control systems by prosecutors. In Chapter 5, external control over police investigations except for control by prosecutors was studied. Chapter 6 summarizes the existing discussion and suggests a desirable direction for controlling police investigation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41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97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LAW(법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