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운미-
dc.contributor.author박주연-
dc.date.accessioned2021-08-23T16:24:07Z-
dc.date.available2021-08-23T16:24:07Z-
dc.date.issued2021. 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916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931-
dc.description.abstract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fers to all living cultures, including traditions. In addition, it contains various knowledge, skills, performing arts, and expressions that have been constantly recreated by communities and groups in nature, environment, and history.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adopted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03 to protec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recognize its importance. Th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s a highly meaningful process for transmitting and conserving cultural heritage with artistic value and originality.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scribed on the List will be of interest to people worldwide, and they will work together to preserve it. In Korea, starting from Jongmyo Jeryeak (No.1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01 to Yeondeunghoe in 2020, a total of 21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ere listed. The recognition of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s uniqu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meaningful in promoting and protecting the value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irst of all,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artistic value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Korea inscribed so far, focusing on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the criteria for the List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Besid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Jindobuknori were defined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In particular,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Jindobuknori Conservation Association and cultural heritage experts, the roles and efforts of leaders were discussed for the transmission of Jindobuknori. Besides, this study investigated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the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viewed by experts. It also analyzed the possibility of inscription of Jindoboknori on th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Based on this, four aspects of the possibility of inscription of Jindobuknori on the List were derived by referring to the transfer process and performance, SNS of the Jindobuknori Conservation Association, and performance video participated by researchers. The potential factors include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social value, the active transmission and system for preservation and conservation, and popularization through various cultural and art-related activities, school education, and social institut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social value is realized through community participation by active network exchanges and cooperation of the Jindobuknori Conservation Association members. Second, since Tae-ok Yang and Kang-yeol Park, living cultural heritages have been handed down nationwide through teaching assistants, trainees, leaders, and members of the Jindobuknori Conservation Association. Third,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performances, regional festivals, and cultural contents, it respects the diversity that changes with the times while maintaining historical and traditional elements. Fourth, efforts to popularize it through school education, social institutions, and TV media are actively being made. It shows the efforts of the owners and conservation members for the protection of the heritag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ed light on the value of Jindobuknori,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Korea, by deriving the factors to analyze whether it can be listed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t is hoped that the study of Jindobuknori in Yang Tae-Ok style will be more actively studied in the future, which has the deep-rooted historicity and differentiated originality of the drum and established with the beginning of humankind. Also,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be actively conducted that more specifically suggest the possibility of inscription of Jindobuknori on the List. Moreover, this study expects that the cultural heritages that are inscribed on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will be expanded in recognition of the outstanding value of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round the world. Key words : Jindobuknori, Jindobuknori in Yang Tae-Ok styl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listed on UNESCO| 무형문화유산은 전통을 포함한 살아있는 모든 문화를 의미한다. 또한 자연과 환경, 역사 속에서 공동체와 집단이 계속하여 재창조한 각종 지식과 기술, 공연예술, 표현을 내포하고 있다. 유네스코(UNESCO)는 무형문화유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호하기 위해 2003년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을 채택하였다. 이를 통한 인류무형문화유산의 등재는 예술적 가치와 독창성을 가지고 있는 문화유산의 보존과 전승을 위해 매우 의미 있는 과정이다. 등재 선정이 된 무형문화유산은 전 세계인이 관심을 두고 보존을 위해 함께 노력하게 된다. 한국은 2001년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을 시작으로 작년 2020년에 선정된 연등회까지 총 21개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등재된 바 있으며, 이는 한국 고유의 무형문화유산의 전통성이 인류무형문화재로서의 가치를 국제사회에 알리고 보호하는 데에 그 의미가 있다. 먼저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면, 인류무형문화유산 제도의 형성과 변화, 등재기준을 중심으로 현재까지 선정된 한국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선행자료를 토대로 진도북놀이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하였다. 특히, 진도북놀이 보존회와 문화유산ㆍ문화재 관련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진도북놀이의 전승 확장을 위한 지도자들의 역할과 노력이 무엇인지 살펴보았고 전문가들이 바라본 무형문화유산의 보존ㆍ보전을 위한 제도적 개선과 진도북놀이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확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구자가 참여한 전수과정과 공연, 진도북놀이 보존회 SNS, 공연 영상 등을 참고하여 진도북놀이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확장 가능성 요인을 4가지로 도출하여 연구하였다. 진도북놀이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확장성 요인으로는 사회적 가치 실현 가능성, 보존과 보전을 위한 활발한 전승과 시스템 체계, 다양한 문화예술 연계 활동, 학교 교육 및 사회기관 등을 통한 대중화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도북놀이 보존회원들의 활발한 네트워크 교류와 협력으로 공동체 참여를 통한 높은 사회적 가치가 실현되고 있다. 둘째, 제1대 양태옥 보유자에서 제2대 박강열 보유자로 지정된 이후부터 전수교육조교, 이수자, 지도자, 진도북놀이 보존회원들을 통해 전국적으로 살아있는 문화유산이 전승되고 있다. 셋째, 각종 공연 및 지역축제, 문화콘텐츠 개발로 인하여 역사적, 전통적 요소를 유지하면서 시대에 맞게 변화하는 다양성을 존중하고 있다. 넷째, 학교 교육, 사회기관, TV 매체 등을 통한 대중화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유산의 보호를 위한 보유자와 보존회원들의 노력이 엿보인다. 본 연구는 한국의 무형문화유산인 진도북놀이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는지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여 가치를 재조명하고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인류의 시작과 함께 자리매김한 북의 뿌리 깊은 역사성과 차별화된 독창성을 지닌 양태옥류 진도북놀이 연구가 앞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바란다. 이 논문을 통해 진도북놀이의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의 등재 확장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후속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길 바라며 아울러 한국의 무형문화유산들의 우수한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리고 인정받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문화유산들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용어 : 진도북놀이, 양태옥류 진도북놀이, 인류무형문화유산, 유네스코 등재-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진도북놀이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확장성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Possibilities of Inscription of Jindobuknori on the List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주연-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Ju Yeo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무용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