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9 0

한중 동자역순어(同字逆順語)에 관한 연구

Title
한중 동자역순어(同字逆順語)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verse Sino-Korean word in Korean and Chinese
Author
엄문수
Alternative Author(s)
YAN WENXIU
Advisor(s)
신중진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동자역순어(同字逆順語)와 중국 동자역순어(同字逆順語)의 분포 분석, 구조 양상 분석 그리고 의미 분석을 통해 들의 구조적, 통사적 그리고 의미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 선정된 동자역순어(同字逆順語)는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2>에서 나타난 'AB-BA'형 이음절을 선택하여 정리한 것이다. 본고의 연구 방법은 주로 통사적 분석, 계량 분석, 대비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본고의 내용은 다음과 같은 다섯 장으로 구성된다. 제1장은 '서론', 제2장은 '한중 동자역순어의 분포 분석', 제3장은 '한중 동자역순어의 구조 분석', 제4장은 '한중 동자역순어의 의미 분석', 제5장은 '결론'이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목적,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을 서술하고 선행 연구에 대해 검토할 것이다. 본 장에서 동자역순어에 대한 개념도 함께 설명할 것이다. 제2장에서는 한국과 중국 동자역순어의 분포를 분석하는데 먼저 한중 동자역순어들을 '한중 공존 동자역순어', '한중 비공존 동자역순어'로 분류하고, '한중 공존 동자역순어'를 다시 '한중 모두 공존하는 경우'와 '한중 일부 공존하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본다. 동자역순어의 통계 조사 수치를 결합, 함께 분석함으로써 빈도수 차이를 일으키는 원인을 밝히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한중 동자역순어의 구조에 대해 분석한다. 먼저 한국 이음절 한자어와 중국 이음절 복합어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고, 한중 동자역순어의 구조 양상을 밝힌다. 그 다음 품사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예시로 양국 동자역순어의 구조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한중 동자역순어의 구조에 대한 대비를 통해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구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한중 동자역순어를 의미적으로 분석한다. 의미적 측면의 분석 시, 동자역순어의 의미 관계를 크게 유의 관계와 이의관계를 나누고 유의 관계는 다시 1:1 동자역순어 유의 관계, 1:다 동자역순어 유의 관계, 다:다 동자역순어 유의 관계로 분류한다. 이러한 분류에 따라 한중 동자역순어를 분석하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본고의 결과를 총괄하여 귀납한다. 이 외에, 본 연구의 부족함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의 지속적인 연구 전망을 제시하기도 한다. 주제어: 이음절 동자역순어, 동자역순어 분포, 동자역순어 구조 양상, 유의 관계 동자역순어, 이의 관계 동자역순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structure, general history and meaning between the Korean Inverse Sino- Korean and Chinese Inverse Sino-Korea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distribution, structure and meaning. The Inverse Sino-Korean in this paper were selected and sorted from AB-BA type disyllabic words which were appeared in The Frequency Survey of Modern Korean 2. This paper mainly uses general historical analysis, quantitative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to do the research. The paper consists of the following five parts. Introduction for Chapter 1,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the Inverse Sino-Korean for Chapter 2,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Inverse Sino-Korean for Chapter 3,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Inverse Sino-Korean for Chapter 4, and Conclusions for Chapter 5. Chapter 1 mainly describes the research purpose, research fields and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Additionally, it also surveys the previous research and explains the concept of Inverse Sino-Korean in this paper. Chapter 2 researched the Inverse Sino-Korean between Korean and Chinese by the distribution analysis. First of all, the Inverse Sino-Korean is divided into Korean-Chinese coexisting Inverse Sino-Korean and Korean-Chinese non-coexisting Inverse Sino-Korean. Korean-Chinese coexisting Inverse Sino-Korean is further divided into Inverse Sino-Korean coexisting both in Korean and Chinese, and Inverse Sino-Korean coexisting in Korean or Chinese. In this chapter, the paper researched the reasons for causing the difference in frequency by combining the frequency survey’s numerical value of Inverse Sino-Korean. Chapter 3 is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Inverse Sino-Korean in Korean and Chinese. Specifically, it firstly introduces the structures of Korean disyllabic Sino-Korean and Chinese disyllabic words. Secondly, it uses specific examples to analyze and illustrate the structural changes of Inverse Sino-Korean in Korean and Chinese by tak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ds into consideration. Finally, it compar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Inverse Sino-Korean in Korean and Chinese. Chapter 4 mainly analyzes the meanings of the Inverse Sino-Korean in Korean and Chinese. In the analysis of the meanings, the meaning relationship of the Inverse Sino-Korean is roughly divided into the close meaning relationship and the distinct meaning relationship. The close meaning relationship is divided into “one to one” close meaning relationship, “one to many” close meaning relationship and “many-to-many” close meaning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above classifications, the paper explores the meaning changes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Inverse Sino-Korean in Korean and Chinese. Chapter 5 is the conclusion and summary of this paper. In addition, it also includes some flaws in this paper and the direction of the following-up research. Keywords: Disyllabic Inverse Sino-Korean, the distribution of Inverse Sino-Korean, the structure of the Inverse Sino-Korean, the close meaning relationship of Inverse Sino-Korean, the distinct meaning relationship of Inverse Sino-Korean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856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85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