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8 0

한국 소설 ˂맥락의 유령˃의 한중 번역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소설 ˂맥락의 유령˃의 한중 번역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ranslation Korean into Chinese about Korean Novel ˂the Ghost of Context˃
Author
유일범
Alternative Author(s)
LIU YIFAN
Advisor(s)
조성문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요지 한국과 중국은 같은 동북아시아의 나라로서 유교 사상의 영향을 깊이 받고 문화적인 공통점이 많다. 중국에서도 조선족이라는 소속 민족이 있는데 생활방식이거나 언어의 사용양상을 볼 때 한중 양국 문화의 합류점을 볼 수도 있다. 특히 최근 10년 동안 한류 열풍은 석권하고 중국 젊은 세대에 대해 큰 영향을 미친다. 글로벌화의 진행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한중 양국의 각 영역에서의 교류 협력은 계속해서 심화한다. 많은 우수한 한국 문학과 예술 작품들이 번역을 통해 중국 독자들의 시야에 들어왔다. 특히 한•중 현대소설의 번역을 통해 원작을 존중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서로의 언어 습관에 맞게 문학작품을 새롭게 조명하고 우리는 양국 사회의 양상을 알 수 있고 상대방의 문화에 대해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중국어는 모국어인 한국어 학습자에게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보인다. 본 논문은 한국 소설가 박형서 님의 작품 《끄라비》 중 단편소설 〈맥락의 유령〉을 대상으로 중국어로 번역하고 연구한 것이다. 〈맥락의 유령〉은 우연히 만나는 택시 기사가 겪은 불행과 주인공 자신의 일이 교차하고 서술하며 ‘나’는 세계와 운명의 실체 없는 질서에 완전히 수긍할 수도 맞설 수도 없는 상태에서 방황하는 것을 표현하고 삶의 맥락과 패턴 같은 철학적인 문제를 검토했다. 1장에서는 서론 부분으로 연구 목적,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2장에서는 소설 원문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나타낸 대표적인 단어를 1:1 번역, 1:다 번역, 의역의 경우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서 분석한다. 첫째, 1:1 번역은 원문에서 한국어 어휘를 중국어로 번역할 때 뜻이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이다. 둘째는 한국어 표현은 하나인데 중국어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 경우이다. 즉 1:다 번역이다. 이때는 문맥과 흐름을 잘 파악해서 적절한 중국어 어휘를 선택하고 번역해야 한다. 셋째는 한국어 특유한 단어이나 비유적인 표현 때문에, 대응하는 중국어가 없거나 직역해서는 뜻이 잘 통하지 않아서 의역만 가능한 경우이다. 이때는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해 깊게 이해해야 정확하게 번역할 수 있다. 3장은 결론 부분이다. 이 부분은 주로 본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고 미해결된 문제들을 향후 남겨서 결론을 맺고 논문을 마무리한다.|The commercial real estate market has been continuously growing since the opening of the real estate market due to the 1997 IMF financial crisis and the introduction of the Real Estate Asset Management Companies Act in 2001. In addition to quantitative growth such as transaction size, the functional and physical form of office buildings also changes. It is changing from a closed form such as a lobby to show the authority of the building owner and functions that were limited to office building, to a retail store in the office that is open to the public and actively appeals to outsiders. In this study, commercial facilities(retail) in the office, which show the above changes in the office in the most dramatic form, were classified by detailed types such as general restaurants, cafe, bakeries, and convenience stores. Subsequently,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employees of the office tenants to identify the factors of significant selection for each type of use,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Variables influencing the choice to use commercial facilities in the office were broadly classified into consumer characteristic factors and store characteristic factors. Consumer characteristic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hile store characteristic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service satisfaction, operational management satisfaction, convenience satisfaction, physical facility satisfaction, and interior satisfaction. The fact that the variables extracted in this wa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mmercial facilities in the office was confirm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the result was derived that differentiated by subtype or affected by common variables. [Keyworld] Commercial Facilities in office, Satisfaction bt type of commercial facilities, Office tenant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742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84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