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6 0

최윤 소설 연구

Title
최윤 소설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oi Yun's Novels
Author
클릌부루주
Alternative Author(s)
KILIK BURCU
Advisor(s)
서경석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and spaces in Choi Yoon's early novels from the 1990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uncanny.” Choi Yoon's early novels deal with the "inner wound" caused by historical events, while portraying the characters’ attempts to "escape from their daily lives." Hence, this study questions the “uncanny” characteristics of space appearing in Choi Yoon's novel, and uses them as a starting point for analysis. In the process, we would like to analyze Choi Yoon's escape and actions repeated by the characters in his daily life, as well as to understand the aspect of the "uncanny" revealed in Choi Yoon's novels. Uncanny is a German translation of "Unheimlich." Freud defined the "uncanny" as both familiar and instructive of fearful and unfamiliar emotions. Freud associates the "uncanny" with a return of the repressed. It creates a sense of the "uncanny" when things that are already done or thought to be hidden in everyday life recur. Like this, the "uncanny" is a sense that arises when the remnants of the past reveal themselves in relation to this reality. Therefore, to reveal the "uncanny" elements that are working in Choi Yoon's novel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Choi Yoon writes about. Most of the characters in Choi Yoon's novels are pushed out of their lives, and into an "uncanny" space in the Freudian sense, which makes them question their identity. For the aforementioned point of discussion, Chapter II will take a look at the characters in Choi Yoon's novels and the "uncanny" space where they constantly face each other. The characters in Choi Yoon's novels try escaping the space from the moment, transforming their living space into the "uncanny." However, these attempts, which serve as an escape from everyday life, fail multiple times. This escape can be seen as one of the attempts to achieve self-realization. Chapter III will look at the reactions of the characters when facing reality. The characters who have not shied away from reality can empathize with each other. However, there are occasions in which one side of the relationship tries to avoid face-to-face interaction, and chooses to try and escape from reality. At this time, everything that happened in the past is suppressed again, creating an "uncanny" feeling from the person and the space. As discussed, Choi Yoon is a writer who constantly tri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scape from daily life" vis-à-vis "facing reality." Choi Yoon's novel shows everyday space and characters becoming "uncanny" and explores the human condition in relation to "facing reality." This is illustrated by Yoon’s characters recalling repressed memories of the past or the traces of mutual relationships with people around them.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Turkish Goverment Scholarship from Republic of Turkey.|본 논문은 1990년대 최윤 초기 소설의 인물과 공간 또는 인물과 공간 간의 관계를 ‘언캐니’ 개념을 바탕으로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최윤 소설의 인물들은 ‘일상에서 탈출’하려는 시도를 그려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최윤 소설에 등장하는 공간의 ‘언캐니’한 특징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이를 분석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 과정에서 최윤이 주목하고 있는 일상에서 탈출과 인물들이 반복하는 행위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최윤 소설에서 드러나고 있는 ‘언캐니’의 양상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언캐니(Uncanny)는 독일어 ‘Unheimlich’의 번역어다. 프로이트는 ‘언캐니’를 친숙하면서도 동시에 두렵고 낯선 감정을 지시한다고 정의했다. 프로이트는 ‘언캐니’를 억압된 것의 회귀(return of the repressed)와 연관시킨다. 일상생활에서 이미 끝난 일이나 숨겨졌다고 생각되는 일이 돌아올 때 그것은 ‘언캐니’의 감각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언캐니’는 과거의 잔재가 현재의 현실과 관련하여 자신을 드러낼 때 생겨나는 감각이다. 따라서 최윤 소설에서 작동하고 있는 ‘언캐니’한 요소를 밝히기 위해서는 최윤이 다루고 있는 공간의 특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윤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대부분 각자의 삶으로부터 밀려나 있다. 이들은 프로이트적 의미에서 ‘언캐니’ 해진 공간 속에 위치하며, 이로 인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한다. 위와 같은 논의를 위해 II장에서는 최윤 소설에 나타난 인물들과 그들이 끊임없이 대면하게 되는 ‘언캐니’한 공간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최윤 소설의 인물들은 생활하고 있는 공간이 ‘언캐니’해지는 순간부터 그 공간으로부터 벗어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일상에서 탈출을 의미하는 이러한 시도는 여러 번 실패한다. 이러한 탈출은 자아실현을 이루기 위한 시도 중 하나로 바라볼 수 있다. III장에서는 현실과 대면하게 되는 인물의 반응을 살펴볼 것이다. 현실과 대면을 회피하지 않은 작중 인물들은 서로에게 공감할 수 있다. 하지만 그들의 관계에서 한 쪽이 대면을 회피하고 현실로부터 탈출하려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때 과거에 일어난 모든 일이 또다시 억압되며 인물이나 공간으로부터 ‘언캐니’한 느낌이 생겨난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최윤은 ‘일상에서 탈출’과 ‘현실과 마주하기’에 대한 탐구를 끊임없이 시도하는 작가다. 최윤의 소설은 일상적 공간과 인물들이 ‘언캐니’하게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현실과 마주하는’ 인간의 행위에 대해 탐구한다. 이는 인물들이 과거의 억압된 기억을 회상하는 행위나 주변인들과의 상호 관계가 남긴 흔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터키 공화국 정부의 재원으로 해외파견 대학원 장학금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30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84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