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8 0

임상 간호사의 조직 내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임상 간호사의 조직 내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Clinical Nurse’s Communication and Teamwork on Job Satisfaction
Author
이진희
Alternative Author(s)
Lee Jin Hee
Advisor(s)
신용순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조직 내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조직 내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서울시에 소재한 500병상의 일개 대학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사 243명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 22일부터 2020년 11월 11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최종 223부를 분석 하였다. 연구 도구는 Downs & Hazen(1977)이 개발한 도구를 병원환경에 맞도록 홍은미(2007)가 수정 및 보완한 조직 내 의사소통 도구, Larson & LaFasto (1989)가 개발하고 김태백(2006)이 재구성한 팀워크 도구, 직무만족는 Slavitt et al,.(1978)가 개발하고, 박정혜(2003)가 수정 보완한 직무만족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ˊ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조직 내 의사소통은 5점 만점에 평균 3.05±0.41점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 내 의사소통은 총 근무경력(F=3.80, p=.011), 과거 이직 경험(F=-3.37, p=.001), 의사소통 및 팀워크 교육 여부(F=3.59, p=.001)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대상자의 팀워크는 5점 만점에 평균 3.58±0.54점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팀워크는 성별(F=2.79, p=.013), 나이(F=2.62, p=.010), 총 근무경력(F=5.90, p=.001), 과거 이직 경험(F=-2.88, p=.004), 의사소통 및 팀워크 교육 여부(F=2.13, p=.034)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89±0.38점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F=3.87, p=.001), 총 근무경력(F=5.30, p=.002), 과거 이직 경험(F=-2.50 p=.013), 의사소통 및 팀워크 교육여부(F=2.42, p=.016)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조직 내 의사소통, 팀워크,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해서 조직 내 의사 소통과 팀워크 간(r=.578, p<.001), 조직 내 의사소통과 직무만족도 간(r=.648, p=<.001), 팀워크와 직무만족도 간(r=.561, p=<.001)에는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조직 내 의사소통과 직무만족에서 가장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총 근무기간 3-5년 미만 (β=-.132, p=.028), 조직분위기(β=.274, p=.001)와 상호협력(β=211, p=.033)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변인들에 대한 설명력은 47.9%로 나타났다(F=16.41, p<.001). 이상의 연구결과로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간호사 자신뿐만 아니라 조직 차원에서도 조직 내 의사소통과 팀워크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자유롭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분위기 형성을 유도하여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3-5년차 간호사들의 멘토링이나 특별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역량증진뿐 아니라 간호조직의 유효성을 높여 간호의 질적 향상이 높아 질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53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83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대학원) > DEPARTMENT OF CLINICAL NURSING(임상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