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1 0

코레오그래피(Choreography) 전공의 대중적 소구 요인

Title
코레오그래피(Choreography) 전공의 대중적 소구 요인
Other Titles
Appealing Factors of a Choreography Major
Author
권오승
Alternative Author(s)
Kwon OhSeung
Advisor(s)
이해준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코레오그래피(Choreography) 전공의 대중적 소구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년 이상의 코레오그래피 춤 전공 경력이 있으며, 국내 서울 중심으로 활동 중인 댄서 15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을 10대, 20대, 30대 세대별 5명으로 집단을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는 FGI(focus group interview)기법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레오그래피 전공의 소구 요인은 코레오그래피 형식의 자유성, 코레오그래피 표현의 자유성, 유튜브 세 가지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 특성별 소구 요인의 인식 차이는 10대, 코레오그래피 형식의 자유성 20대, 코레오그래피 표현의 자유성 30대, 유튜브로 코레오그래피 전공 소구 요인의 인식은 세대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코레오그래피 콘텐츠의 대중적 소구 요인은 연예인을 통한 노출, 학습의 수월성, K-POP 콘텐츠 세 가지로 나타났다. 응답자 특성별 코레오그래피 대중적 소구 요인의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 같은 소구 요인이지만, 세 대별로 각 요인이 미치는 영향력의 강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내려보면 다음과 같다. 코레오그래피 전공의 소구 요인은 코레오그래피 형식의 자유성, 코레오그래피 표현의 자유성, 유튜브 세 가지로 구분되어 나타났으며, 10대, 코레오그래피 형식의 자유성 20대, 코레오그래피 표현의 자유성 30대, 유튜브로 응답자 특성별 코레오그래피 전공 소구 요인의 인식은 세대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코레오그래피 콘텐츠의 대중적 소구 요인은 연예인을 통한 노출, 학습의 수월성, K-POP 콘텐츠로 세 가지로 구분되어 소구 되었지만, 응답자 특성별 코레오그래피 대중적 소구 요인의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 같은 소구 요인이지만 세 대별로 각 요인이 미치는 영향력의 강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안무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지만, 오늘날 스트릿 댄스 분야의 코레오그래피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레오그래피 춤에 관한 연구에 다양성을 부여하며, 본 연구가 앞으로의 코레오그래피 춤에 학술적 논의의 기초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ublic appealing factors of the c horeography major.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15 dancers in teenagers, 2 0s, and 30s who had experience choreography major more than a year and are acti ve as choreography dance in Seoul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 he research was carried out as FGI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ppealing factors of choreography major were divided into 3 catego ries: freedom of choreography format, freedom of choreography expression, and Y outube. the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the appealing factors by respondent s’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by each generation: the freedom of choreograph y format in teenagers, the freedom of choreography expression in 20s, and the Y outube choreography in 30s. Second, the public appealing factors of choreography content were divided int o 3 categories: exposure through celebrities, ease of learning, and K-Pop conte n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wareness of choreography public appealing fac tors by respondents’ characteristics. However, there were still differences in the intensity of influence of each factor for each generation though the same a ppealing factors.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appeali ng factors of choreography major were divided into 3 categories: the freedom of choreography, the freedom of choreography expression, and Youtube; furthermore, it was analyzed that each generation had the different awareness of the appeali ng factors: the freedom of choreography format in teenagers, the freedom of cho reography expression in 20s, and the Youtube choreography in 30s. On the other hand, the public appealing factors of choreography content were divided into 3 categories: exposure through celebrities, ease of learning, and K-Pop content,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wareness of choreography public appealing fac tors by respondents’ characteristics. However, there were still differences in the intensity of influence of each factor for each generation though the same a ppealing factors. Although a lot of research about the choreography has been performed, the res earch in terms of choreography based on street dance is still not enough. There fore, hope that this study gives the diversity to the research on the choreogra phy and will contribute to the beginning of academic discussions on the choreog raphy in the future. Key Words: Choreography, Popularization, Appealing Factor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727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80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CONVERGENCE[E](융합산업대학원) >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공연예술기획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