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3 0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과 우울의 관계: 조화열정으로 조절된 부모-자녀 관계의 매개효과

Title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과 우울의 관계: 조화열정으로 조절된 부모-자녀 관계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Depression: The Mediation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Moderated by Harmonious Passion
Author
유신영
Alternative Author(s)
RYU SINYOUNG
Advisor(s)
장유진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조화열정으로 조절된 부모-자녀 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이나 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30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를 위해 사용한 척도는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 척도, 부모-자녀 관계 척도, 우울(CES-D) 척도, 열정 척도이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 프로그램 및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Model 1 분석, Model 7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관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모-자녀 관계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과 부모-자녀 관계와의 관계에서 조화열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조화열정의 수준이 낮은 경우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이 높을수록 부모-자녀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조화열정의 수준이 높을 경우 부모-자녀 관계에 미치는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관계의 매개효과를 조화열정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이 부모-자녀 관계를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경로에서 조화열정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과 부모-자녀 관계, 우울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보다 정교화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을 다루는 상담장면에서 자녀와의 관계 개선과 어머니의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하여 어머니의 조화열정 수준을 높이는 개입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harmonious passion on relations betwee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depression.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6 mothers with a child in middle or high school. Employed in the study were inventories o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parent-child relationship, depression(CES-D) and passion. In data analysis, the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programs were used. The investigator carried ou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Model 1 analysis, and Model 7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on relations betwee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depression and found that i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m. Second, harmonious pass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Specifically, low harmonious passion had negative effects on parent-child relationship according to higher child-based self-worth. High harmonious passion resulted in the reduced effects of child-based self-worth on parent-child relationship. Third, harmonious passion ha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on relations betwee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depression, which indicates that the effects of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on depression via parent-child relationship can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harmonious pas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 more sophisticated results than previous studies testing the mediation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on relations betwee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depression. These findings imply a need for interventions designed to increase the harmonious passion of mothers in a counseling scene dealing with the depression of mothers with an child child. After discussing the limitations of its findings,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follow-up study. Keywords: child-based self-worth, depression, parent-child relationship, harmonious passion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96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778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