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1 0

뇌졸중 환자의 심리적 경험과 정신건강 문제의 중재에 대한 욕구

Title
뇌졸중 환자의 심리적 경험과 정신건강 문제의 중재에 대한 욕구
Other Titles
Psychological Experiences and Needs for the Mental Health Intervention Patients with Stroke
Author
김유리
Advisor(s)
하정희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심리적 문제와 그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고안되었다. 뇌졸중 환자의 정신건강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중요하지만, 신체와 기능을 중심으로 한 재활치료에 비해 잘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므로 뇌졸중 환자들의 심리적 경험을 토대로 정신건강 문제 중재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해 질적 연구로 심도 있게 탐구하기 위하여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뇌졸중 발병 후 재활치료를 받는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 후 자료 분석을 시행한 결과, 3개의 상위 범주, 10개의 하위 범주와 43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다. 이에 따른 결과는 첫째, 뇌졸중 환자들은 발병 전, 후 뇌졸중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뇌졸중 환자들이 경험한 심리적 경험은 우울, 불안, 자신감 하락을 포함한 9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다. 셋째, 모든 참여자는 뇌졸중 후 경험으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중재를 원했고 필요성을 이야기하였으며 이를 통해 재활치료 동기부여, 불안 감소를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뇌졸중 후 심리적 경험을 통해 참여자들은 전문상담사나 담당 치료사와의 상담, 그룹 치료 같은 심리 중재를 원하였고 중재 시기와 방법은 개인의 특성에 맞게 적용될 수 있다. 이 연구는 뇌졸중 환자들의 심리적 경험을 바탕으로 중재의 필요성과 방향을 통해 뇌졸중 환자들이 원하는 중재의 방식과 시기를 프로그램 개발 등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병원에서 치료받는 뇌졸중 환자의 정신건강 문제가 더욱 잘 다루어지기 바라며 재활현장과 상담현장에서 뇌졸중 환자의 심리를 보다 더 이해하고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This study was devised as a basic study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stroke patients. Although the mental health of stroke patients is important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t is not well treated compared to rehabilitation therapy centered on body and function. So a qualitative study on the need and direction of intervention for mental health problems based on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stroke patients by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explore in depth.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after in-depth interviews with 8 people receiving rehabilitation treatment after stroke, 3 super categories, 10 sub categories, and 43 semantic units were derived. As a result, first, stroke patients lacked awareness of stroke before and after the onset of stroke. Second,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experienced by stroke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derived from 9 semantic units including depression, anxiety, and decreased confidence. Third, all participants wanted and talked about the need for intervention for psychological difficulties caused by post-stroke experiences, and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expected to motivate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reduce anxiety. Fourth, through psychological experiences after stroke, participants wante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such as counseling with a professional counselor or therapist, and group therapy, and the timing and method of intervention can be applied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stroke patients, this study will be able to apply the method and timing of intervention desired by stroke patients through program development, etc. through the need and direction of intervention. It is hoped that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stroke patients treated in hospitals will be better dealt with, and that it will be a resource that can better understand the psychology of stroke patients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in rehabilitation and counseling field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217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765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