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0 0

COVID-19 감염예방을 위한 물리적 거리두기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 지역요인에 대한 다수준 분석

Title
COVID-19 감염예방을 위한 물리적 거리두기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 지역요인에 대한 다수준 분석
Other Titles
Factors Affecting the Practice of Physical Distancing to Prevent COVID-19 Infection: A multi-level analysis of individual and local factors
Author
조정희
Alternative Author(s)
CHO, JUNG HEE
Advisor(s)
신영전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연구배경 및 필요성 물리적 거리두기는 개인 또는 집단 간 접촉을 최소화하여 감염병의 전파를 감소시키는 공중보건학적 감염병 통제 전략이며, COVID-19 감염예방을 위한 핵심적인 예방수칙으로 물리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이 물리적 거리두기를 실천하지 않아 감염에 확산된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물리적 거리두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대표성이 부족한 자료를 활용한 연구이다. 따라서, 대표성이 있는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개인수준 뿐만 아니라 지역수준을 고려하여 물리적 거리두기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감염병 예방을 위한 물리적 거리두기 정책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20년 충청북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에 응답한 12,495명 중 연구 목적에 적합한 9,77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개인수준과 지역수준의 변수를 선정하였다. 개인수준 변수는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통하여 구축하였고, 지역수준 데이터는 시·군·구를 기준으로 국가통계포털(KOSIS)와 관련 연구보고서 등 이차자료를 활용하였다. 물리적 거리두기 실천 여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물리적 거리두기 실천 여부를 종속변수로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대상자의 물리적 거리두기 실천율은 97.05%이었으며, 설문조사 시점에서의 정부의 물리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른 실천율은 1단계 91.37%, 준 2단계 94.64%, 2단계 97.7%로 나타났다. 충청북도 11개 시·군 수준에서의 물리적 거리두기 실천율이 가장 높은 시·군은 괴산군 99.7%이고, 낮은 실천율을 보인 시·군은 증평군 93.14%로 차이는 약 3.91%p였다. 개인수준에 따른 물리적 거리두기 실천율을 분석한 결과,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배우자가 있는 경우, 물리적 거리두기 실천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설문조사 시점 정부의 물리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실천율은 2단계에서 높았다. 지역수준에 따른 물리적 거리두기 실천율울 분석한 결과, 인구밀도가 중위수보다 낮은 지역, 재정자립도가 중위수보다 높은 지역, 건강생활 실천율이 중위수보다 높은 지역, 인구 10만 명당 보건의료기관 수가 중위수보다 높은 지역, 도시유형이 농촌에서 물리적 거리두기 실천율이 높았으며, 지역안전등급(감염병)이 4등급에서 1등급으로 높아질수록 물리적 거리두기 실천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물리적 거리두기 실천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수준에서는 성별, 연령, 혼인상태, 학력, 직업, 가구원 수, 세대유형, 기초생활수급 여부, 고·중등도 운동여부, 우울감 여부, 스트레스 여부, 고혈압 진단 여부, 음주여부가 영향을 미쳤다. 개인수준을 보정한 후 지역수준을 분석한 결과, 건강생활실천율에서 물리적 거리두기 실천에 영향을 미치지는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첫째, 물리적 거리두기 실천율은 연령(19-39세), 혼인상태가 미혼, 사별, 별거인 대상자의 경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연령별, 혼인상태에 따른 물리적 거리두기 실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COVID-19 감염에 대한 경각심, 감수성 등을 인지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개인수준은 보정한 후 지역수준에서 물리적 거리두기 실천에 영향이 있는 요인으로 건강생활실천율로 나타났다. 따라서 걷기, 절주, 금연 등의 캠페인을 시행시, COVID-19에 감염 위험성 등 물리적 거리두기의 관련 내용을 포함한 캠페인 및 집단 감염 업종에 대한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 Keyword: 물리적 거리두기, COVID-19, 다수준 분석, 지역사회건강조사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74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74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S](보건대학원) > MEDICAL SCIENCE(의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