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7 0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관점에서 산업유산 재생에 대한 공공공간 경관 디자인 연구 - 중국 충칭 강북구 아시아석유회사부지 대상으로 -

Title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관점에서 산업유산 재생에 대한 공공공간 경관 디자인 연구 - 중국 충칭 강북구 아시아석유회사부지 대상으로 -
Other Titles
Research on Public Space Landscape Design for Regeneration of Industrial Heritage - Focused on the Former Site of Asia Petroleum, Jiangbei District, Chongqing City, China -
Author
웅시기
Alternative Author(s)
SHIQI XIONG
Advisor(s)
김건우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Chinese cities and change in industrial structure, the devastation and exploitation of legacy of the industrial age left in cities not only hinder development but also destroy the historical culture of cities. Because cities all assume same appearances due to fast urbanization, residents’ demand for public space is amplified more. With these problems in the context, the issue of recreating industrial legacy as public space is spreading nationwide. Chongqing is the biggest industrial city in southwestern China and an economic hub north of Yangtze river. It is of high importance in Chinese history and has plenty of industrial legacy and historical culture. Chongqing is currently promoting urban and economic improvement with objective to shape an urban environment appropriate for residence, commerce, and travel. To accomplish this, it established plans to recreate its industrial legacy into public space and construct landscapes in its waterfront areas. With such status combined with most research results about industrial legacy, it appears that detailed theoretical content and systematic design method and strategy is lacking, despite regeneration of industrial legacy into public space. Hence, it can be concluded that a research method which combines microscopic and macroscopic perspective on the theory and design of Landscape Urbanism is needed. With the aim of landscape design appropriate for turning Chongqing industrial legacy into public space and landscape design for Asiatic Petroleum Company, this research presents analysis of existing preceding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and their combination with candidate site status through two outlines – regeneration of industrial legacy into public space model, and contents related to landscape design. With objective as stated above, the process and conclusion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a preceding research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industrial legacy, its value, necessity of regeneration, protection, and recycle, the concept,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is pursued. Through this 4 regeneration models from the general types of industrial legacy regeneration into public space – ‘public space model,’ ‘theme exhibition/museum model,’ ‘industry tourism model,’ ‘creative industry model’ – are deduced and successful cases of each model are analyzed. Also, through preceding research on industrial legacy regeneration and literature review, five important elements that affect the choice of model for regeneration of industrial legacy into public space –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 ‘environmental element,’ ‘social element,’ ‘economic element,’ ‘political element’ – and 23 detailed key factors are presented. Main design element contents of five characteristics for turning industrial legacy into public space – ‘physical characteristic,’ ‘biological characteristic,’ ‘locational characteristic,’ ‘public space characteristic’ – are deduced through analysis of classic examples of application of Landscape Urbanism’s perspective in the West and the East for regeneration of industrial legacy into public space. Second, important elements and key factors and priority order of regeneration of industrial legacy into public space are deduced through survey targeted to experts. Survey targeted to residents was conducted to deduce importance among design elements for regeneration of industrial legacy into public space. Next, to analyze the survey targeted to experts, AHP analysis is carried out. The result shows that the ‘public space model’ is the most appropriate for the public space model for Asiatic Petroleum Company site. Through a frequency analysis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argeted to residents, important design element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regeneration design elements for turning industrial legacy into public space – drainage system, natural disaster prevention and improvement, ecology river pollution improvement, air quality improvement – are deduced. Important design elements of b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ecological water purification technique and facility introduction, plant cover rate, and diversity of plants are deduced. Also, important design elements loc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dissemination of knowledge and cultur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symbolic industrial legacy and buildings, and preservation of historical trace are deduced. Lastly, important design elements of public space characteristics such as accommodation, convenience of approach, and guidance facilities are deduced. Third, based on the design models and design elements deduced as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human centered design, identity, compatibility, and sustainability are presented as design principles for turning industrial legacy into public space. Strategy about Landscape Urbanism’s perspective is deduced for the regeneration design of industrial legacy into public space. Multidimensional open space form, gree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using landscape, and interaction between the public and location are presented as main strategies. Fourth, ecology restoration design and landscape design method utilizing locational characteristic are presented as design strategy to carry out the aforementioned principles and strategies. The basics of ecology restoration design method includes ecology water source purification method, restoration method through plants. For landscape design method utilizing locational characteristics, design methods by dissemination of historical legacy and culture, industrial space, handling of facilities and structures, and historical trace preservation are presented. Lastly, Asiatic Petroleum Company’s site status is analyzed through the presented principles, strategies, and design methods. Accordingly, detailed design plan for regeneration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space, ecology, and location are presented. |중국 도시의 발전과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도시에 남겨진 산업 시대의 유산의 황폐화와 무분별한 개발 및 이용은 도시의 발전을 가로막을 뿐 아니라 도시의 역사문화 또한 파괴하고 있다. 빠른 도시화로 인해 도시들이 모두 같은 모습을 하고 있기 때문에 공공공간에 대한 도시민들의 요구가 더욱 증폭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배경으로 산업유산을 공공공간으로 재생시키는 이슈가 국가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충칭은 중국 서남지역에서 가장 큰 산업도시로 장강 상류의 경제 중심지이며 중국의 역사에 한 획을 그은 도시이며, 풍부한 산업유산과 역사문화가 있다. 충칭시는 현재 도시 및 경제 발전을 추진하고 주거에 적합하고, 상업에 적합하며, 여행에 적합한 도시 환경을 형성하는 목표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충칭의 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공공공간화와 수변 지역의 경관 조성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현황과 산업유산에 대한 대다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공공공간화가 이루어졌지만 구체적인 이론적 내용과 체계적인 설계기법 및 전략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기에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이론과 설계에 대한 거시적·미시적 관점을 결합한 연구방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충칭산업유산의 공공공간화에 적합한 경관설계 전략과 아시아석유회사에 대한 경관설계를 목적으로 기존의 선행연구 및 문헌들을 분석하고 대상지 현황과 결합하여 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공공공간화 모델 그리고, 경관설계 에 관한 내용, 이 두 가지 틀로 제시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갖고 진행한 본 연구의 과정 및 도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이론을 통해 산업유산, 공공공간의 개념, 배경, 특징, 그리고 산업유산의 가치, 재생의 필요성, 보호와 재활용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업유산 재생을 통한 공공공간화를 위한 산업유산 재생의 일반유형 중 '공공공간모델', '테마 전시회/박물관모델', '산업 관광모델', '창의산업모델' 등 4가지 재생모델을 도출하고 각 모델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산업유산 재생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해 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공공공간화 모델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역사문화적 요소', '환경적 요소', '사회적 요소', '경제적 요소', '정치적 요소' 5가지의 중요 요소와 23가지의 세부적인 중요 요인을 제시하였다. 서양과 동양에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관점이 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해 공공공간화 하는데 있어 응용된 고전적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산업유산의 공공공간화를 위한 '물리적 특성', '생물적 특성', '장소적 특성', '공공공간적 특성'의 다섯 가지 특성의 주요 설계요소 내용을 도출해냈다. 둘째, 설문조사를 통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공공공간화 중요 요소 및 중요 요인과 재생모델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으며 거주민을 대상으로 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공공공간화를 위한 설계요소들 간의 중요도를 도출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분석을 위해 AHP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 결과로 아시아석유회사부지의 공공공간화 모델은 '공공공간 모델'이 가장 적합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거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결과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해 산업유산 의 공공공간화에 대한 재생 설계요소 중 물리적 특징 중 중요한 설계요소로 배수 시스템, 자연재해 예방 및 개선, 생태 하천 오염 개선, 공기질 개선을 도출하였다. 생물적 특성 중 중요한 설계요소로 생태적 수질정화 기법 및 시설 도입, 식물 커버율, 식물의 다양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장소적 특성 중 중요한 설계요소로 지식 및 문화의 보급, 상징적인 산업유산 및 건축물의 보존 및 복원, 역사적 흔적보존을 도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공공공간적 특성 중 중요한 설계요소로 편의 시설, 접근의 편리성, 안내시설을 도출하였다. 셋째, 통계분석의 결과로서 도출된 설계모델과 설계요소에 따라 산업유산 공공공간화에 대한 재생 설계의 원칙으로 사람 중심의 설계, 정체성, 호환성, 지속가능성을 설계원칙으로 제시하였다. 산업유산 공공공간화에 대한 재생 설계의 전략으로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관점에 관한 전략을 도출하였으며 다차원으로 개방적인 공간형태, 경관을 활용한 녹색 인프라 건설, 대중과 장소의 상호작용을 주요 전략으로 제시하였다. 넷째, 앞서 말한 원칙과 전략을 수행하기 위한 디자인 전략으로는 생태복구설계, 장소적 특성을 살린 경관설계 기법을 제시하였다. 생태복구설계의 기법으로는 생태 수원정화기법, 식물을 통한 복구기법, 토양 정화기법이 있으며, 장소적 특성을 살린 경관설계기법으로는 산업유산의 역사 및 문화 보급, 산업 공간, 시설 및 구조물 처리, 역사적 흔적의 보존을 통한 설계 기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원칙 및 전략과 설계기법을 통해 아시아 석유회사 부지의 현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공공공간적 측면, 생태적 측면, 장소적 측면에서의 재생설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882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73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