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명훈-
dc.contributor.author정윤승-
dc.date.accessioned2021-08-23T16:12:49Z-
dc.date.available2021-08-23T16:12:49Z-
dc.date.issued2021. 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8644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738-
dc.description.abstractUN-HabitatⅢ 회의에서 발표한 ‘신도시의제’는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중요성 및 지방정부의 역할과 시민참여를 강조하였고, 우리나라의 도시재생에 이은 도시재생뉴딜에서도 사회혁신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모두 도시정책의 패러다임이 양적 측면에서 질적 측면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의 하나의 영역인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주목하게 되고, 특히 사람들이 어울려 함께 살아가는 주거지의 도시재생에 있어서는 더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성공적 실현을 위한 자립형 지역공동체의 활성화가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위 도시재생사업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공동체의 형성 및 발달 단계에 따른 사업 활동이 지역사회 응집력을 매개로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하여 실증분석 한다. 그리고 분석결과에 따른 요인 간의 관계구조를 근거로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구축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LS-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분석결과, 지역공동체 진화과정에 따른 사업 활동 간에는 정(+)의 인과관계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공동체의 도시재생사업 활동과 지역사회 응집력 및 사회적 지속가능성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연구가설 검증에서 문제의식공유 활동은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가설이 기각되었다. 또한, 네트워크형성 활동은 지역사회 응집력과 사회적 지속가능성 모두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기각되었다. 그러나 공동체 활동은 지역사회 응집력 및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응집력과 사회적 지속가능성 간의 관계에 대한 경로계수 분석결과 정(+)의 인과관계를 형성하고 있고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지역사회 응집력의 매개 효과는 약 37.14%로 확인되어 모형의 설명력을 그만큼 향상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재생사업 지역에 있어 지역공동체의 활동과 지역사회 응집력 및 사회적 지속가능성 간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인과관계가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구축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문제의식공유 단계에서부터 지역공동체의 적극적인 활성화 방안이 마련 되어야할 것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역공동체의 진화과정에 따른 사업 활동들 사이에는 긍정적인 인과관계가 존재하지만, 문제의식공유 활동과 사회적 지속가능성 간, 네트워크형성 활동과 지역사회 응집력 및 사회적 지속가능성 간에는 인과관계가 형성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사업 초기부터 지역공동체가 형성 및 활성화될 수 있는 다차원적인 지원방안의 모색과 지역주민들의 지역 문제해결에 대한 주체의식의 강화 또한 필요할 것이다. 둘째, 최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대안으로 사회적 기업이나 커뮤니티 비즈니스 등의 지역경제에 기반을 둔 지역공동체 조성이 강조되고 있다. 연구대상지에도 다양한 사회적 목적을 가진 협동조합이 존재하지만, 아직 지역사회의 안정화와 타 지역과의 연계를 통한 사업의 확장 등의 활성화는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결과에서 확인되었다. 따라서 앞으로도 지역사회의 사회적 경제활동들이 지속적이고 적극적으로 행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분석결과 지역사회 응집력은 지역사회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긍정적인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분석결과에서 지역사회에 있어 이웃과의 실제적인 상호작용은 지역 고유의 문화 · 이미지를 창출하고 지역 정체성 확립에 긍정적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시재생사업 활동에서 이웃과의 실제적인 상호작용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지속가능성과 지역사회 응집력의 추상적인 개념들을 실제 지역사회에 적용해봄으로써, 그 내용을 구체화하고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이 지역공동체 활성화라는 목적에 부합하는 사회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정책으로의 실현에 있어 그 타당성을 검증해 보고 연구대상지의 자력재생단계 및 타 지역 사업에 사회적 지속가능성 구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주제어 : 도시재생, 지역공동체, 지역사회 응집력, 사회적 지속가능성|The ‘New Urban Agenda’ announced by UN-HabitatⅢ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y, roles of local governments, and citizens’ participation, and the urban regeneration new-deal following the urban regeneration of Korea is also focusing on the social innovation. This means the paradigm of urban policies is changing the direction from emphasizing the quantitative aspect to emphasizing the qualitative aspect. In this background, people started paying attention to the social sustainability which is an area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specially, it has been regarded as a concept that should be handled as more important for the urban regeneration of residential area where people live together. Also, for the successful realization of socially-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the vitalization of independent local community is emphasized. Thu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factors of project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hase of forming/developing local community. affecting the social sustainability with the mediation of community cohesion, targeting Jangwi Urban Regeneration Project Region. And based on the relational structure between facto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of the measures for establishing the social sustainability through the 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y. In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the PLS-structural equation, there was positive(+) causality between project activities according to the evolution process of local communit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 of local community urban regeneration project activities, community cohesion, and social sustainability, in the verification of research hypotheses, the activity of sharing the awareness of problem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ocial sustainability, so the hypothesis was rejected. Also, the activity of forming network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oth community cohesion and social sustainability, so the hypothesis was rejected. However, the community activit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ommunity cohesion and social sustainability. Lastl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ath coefficient of the relation between community cohesion and social sustainability, it showed the positive(+) causality,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ty cohesion on the social sustainability was about 37.14%, which was improving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Like this, this study verified the partially-positive causality of community activities, community cohesion, and social sustainability. Based on such results of analysi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implications of the measures for establishing the social sustainability of local community as follows. First, the active vitalization measures for local community should be established from the phase of sharing the awareness of probl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there was positive causality between project activities according to the evolution process of local community while there were no causalities between activity of sharing the awareness of problem and social sustainability, and between activity of forming networks, community cohesion, and social sustainability.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seek for the multidimensional support measures for forming and vitalizing local community from the initial stage of project, and also to strengthen a sense of sovereignty of local residents to solve local problems. Second, as an alternative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it is recently emphasized to establish local community based on local economy like social enterprise or community business. The research subject region also has cooperatives with various social purposes. However, in the results of analysis, it has not achieved the vitalization such as expansion of project through the stabilization of community and connection with other regions.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continuously and actively perform social economic activities in community.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sis, the community cohesion showed positive mediating effects on the social sustainability of community. In the concrete results of analysis, the actual interactions with neighbors in community play positive roles in the creation of unique culture/image of the region and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identity. Thus,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ctivities, it would be needed to seek for the measures for enhancing the actual interactions with neighbo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the contents, and also to verify the applicability by applying the abstract concepts like social sustainability and community cohesion to the actual community. And another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as a socially-sustainable urban policy suitable for the purpose of vitalizing local community, and also to present the implications of the measures for establishing the social sustainability in the self-supporting regeneration phase of research subject region and the project of other regions. Keywords : Urban Regeneration, Local Community, Community Cohesion, Social Sustainability-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도시재생사업지역에 있어 지역사회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Factors of Community Social Sustainability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reas : Focusing on the Urban Regeneration Pilot Project Area in Jangwi-dong, Seoul-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정윤승-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oonseung, Ju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도시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도시개발경영전공-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