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9 0

한국 거주 조선족의 차별 경험과 사회통합

Title
한국 거주 조선족의 차별 경험과 사회통합
Other Titles
Discrimination and Social Integration of Ethnic Koreans living in Korea
Author
나하늘
Alternative Author(s)
Ha Neul Na
Advisor(s)
홍용표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 정착하여 살고 있는 조선족의 사회통합에 대해 고찰하였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한국 정부는 조선족의 재외동포법 재정과 2004년 고용허가제, 2007년 방문취업제까지 여러차례 제도 발전과 체류자격을 확대함으로 조선족의 한국 사회 정착을 지원하였다. 그러나 현장에서 조선족의 근무 환경과 일상 생활을 직접 관찰한 결과 그들은 여전히 일상생활과 근무현장에서 정주민인 한국인과 동등한 근무시간과 동등한 업무를 보는데도 불구하고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은 물론, H-2 방문취업 이주민에게도 당연 가입이 요구되는 산재보험과 건강보험의 가입 조차 잘 이행되지 않았고,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한국인과는 비교적 많은 노사갈등을 겪기도 한다.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한국에서 조선족 이주노동자에 대한 제도는 잘 작동하고 있는지, 제도의 발전과 그 과정에서 생긴 문제점들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그 결과, 제도에 대한 체계성과 효과성은 전통이민국가에 비해 빠른 속도로 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이 생각하는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어떨까하는 문제 의식을 가지고 실제로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 10인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로써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연구 대상자들이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직접 겪은 차별 경험과 어려움을 살펴보았다. 면접 대상자들은 한국의 이주민에 대한 제도, 특히 그들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H-2 방문취업제도에 대한 만족도는 굉장히 높았으나, 여전히 한국인과 마주치는 근무 현장과 일상 생활에서는 차별이 존재하고 있었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정주민과 이주민이라는 이질감으로 차별이 존재하는 것은 물론 한국 사회가 특히, ‘조선족’ 이라는 사회집단에 부정적 인식과 편협한 사고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공통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이 왜 생겨나고 있는지 그 원인을 찾고자 영화와 드라마 속에서 재현되고 있는 조선족의 이미지와 실제 미디어에서 나타나고 있는 조선족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사회에는 분명히 ‘조선족’에 대한 편협한 인식과 몇몇 조선족 범죄에 대해 지나친 일반화를 하는 경향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This reaserch studied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Ethnic korean' who settled in Korean society. After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the Korean government supported the settlement of Korean society by expanding the system development and residence status. Despite the development of these systems, the 'ethnic Korean' were having a hard time settling down in Korean society. These difficulties were found in the workplace and life. While conducting the research, it was possible to analyze not only discrimination between residents and migrants, but also the fact that Korean society has negative perceptions and narrow-mindedness, especially in the social group of 'Ethnic korean'. To find out why this perception is emerging, we analyzed the images of ethnic Koreans reproduced in movies and dramas and the images of ethnic Koreans appearing in real media.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was clearly a tendency in Korean society to make excessive generalization of narrow-minded perceptions of 'Ethnic korean' and some crimes against ethnic Korean.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99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66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정치외교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