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진호-
dc.contributor.author유민형-
dc.date.accessioned2021-08-23T16:06:19Z-
dc.date.available2021-08-23T16:06:19Z-
dc.date.issued2021. 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7200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593-
dc.description.abstractObjectives: Hypertensive crisis is characterized by abrupt and severe elevation of blood pressure. Data regarding hypertensive crisis are limited despite it is a life-threatening condition encounter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D). We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practice patterns, and outcomes of patients with hypertensive crisis in the E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at a tertiary referral center included patients aged ≥ 18 years who were admitted to the ED between January 2016 and December 2019 for hypertensive crisis, which was defined as systolic blood pressure ≥ 180 mmHg and/or diastolic blood pressure ≥ 110 mmHg. Hypertensive crisis was categorized as hypertensive emergency and hypertensive urgency based on the presence of acute end-organ damage. Results: Of 172,105 patients who visited the ED, 6,467 (3.8%) had hypertensive crisis. Of them, 1,979 (30.6%) patients had hypertensive emergency, and these patients had mor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an did patients with hypertensive urgency. Additionally, 2,975 (46%) patients were admitted, and 7 (0.1%) died in the ED. The overall 3-month, 1-year, and 3-year mortality rates were 3.8%, 10.8%, and 17%, respectively. In patients with hypertensive emergency, the 1-year mortality rate was 19.9%, and patients lost to follow-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1-year mortality rate than those who were followed up (21.7% vs. 11.1%, respectively, p < 0.001). The Cox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age (p < 0.001), female sex (p < 0.001), and proteinuria (p < 0.001) as independent predictors to predict all-cause death in patients with hypertensive urgency. Conclusions: The mortality rate in patients with hypertensive crisis in the ED is high, especially in patients with hypertensive emergency. Evaluation of target organ damage, investigating the underlying causes, and adequate follow-up are mandatory to improve the outcomes in these patients.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disease-specific guidelines that include detailed acute treatment strategies and follow-up management for hypertensive crisis. |목표: 고혈압성 위기는 급격하고 심한 혈압 상승을 동반한 상태로 생명을 위협하는 위중한 질환이나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한 고혈압성 위기 환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구학적 특성, 진료 행태 및 예후에 대해 보고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6 년 1 월부터 2019 년 12 월까지 상급종합병원 응급실로 내원한 19 세 이상의 고혈압성 위기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성 관찰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축기혈압이 180 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110 mmHg 이상을 고혈압성 위기로 정의하였다. 급성 종말 장기 손상 유무에 따라 고혈압성 응급 또는 고혈압성 긴급으로 환자들을 분류하였다. 결과: 총 4 년간 응급실을 방문한 172,105 명의 환자 중 3.8%에 해당하는 6,467 명의 환자가 고혈압성 위기로 진단되었다. 이 중 30.6%의 환자가 급성 고혈압 매개 장기 손상을 동반한 고혈압성 응급 환자에 해당하였으며 이들은 급성 고혈압 매개 장기 손상이 없는 고혈압성 긴급 환자들보다 더 많은 심혈관 위험인자들이 동반되었다. 응급실로 방문한 고혈압성 위기 환자 중 46%의 환자가 입원치료를 받았다. 이들의 1 년 사망률은 17%였으며 특히 고혈압성 응급 환자에서 19.9%로 더욱 높은 사망률을 보여주었다. 또한 외래 등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추적관찰한 환자들이 추적관찰이 소실된 환자들에 비해 더 낮은 사망률을 보였다. 고혈압성 긴급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다변량 Cox 회귀분석에서는 연령과 성별 및 단백뇨가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확인되었다. 결론: 응급실에서 만난 고혈압성 위기 환자들은 높은 사망률을 보였으며 특히 고혈압성 응급 환자들에서 더욱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고혈압성 위기에서는 표적 장기 손상의 평가, 발생원인에 대한 확인 및 이에 대한 후속 조치가 그들의 예후 개선에 필수적이다. 고혈압성 위기 환자에서는 단순 혈압강하 치료뿐만 아니라 정기적인 외래 추적관찰 등을 포함한 보다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Clinical characteristics, practice patterns, and outcomes in patients with hypertensive crisi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dc.title.alternative응급실을 내원한 고혈압성 위기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및 진료행태와 결과에 대한 연구-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Minhyung Lyu-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유민형-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의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내과학-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