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연희-
dc.contributor.author풍역축-
dc.date.accessioned2021-08-23T16:05:53Z-
dc.date.available2021-08-23T16:05:53Z-
dc.date.issued2021. 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0045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584-
dc.description.abstractThe traditional Chinese geometric ‘Fretwork’ is a decorative pattern appeared on pottery or ceramics from the beginning of the New Stone Age that, even with the shift of time, its level of utilization has continued through time. Such attribute undertakes an important role to re-visualize the history and culture with the implication of conveying ideas and sense of aesthetics of ancient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traditional Chinese geometric ‘Fretwork’ on the ‘Faux Chenille’ textile work method in a way of enhancing the decorative features of patterns and developing the fashion design by facilitating such aspect to propose a plan for contemporary appli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s for the method of this study, it works on the historic background and advancement of the ‘Fretwork’ and it refers to the bibliographies pertinent to the traditional Chinese geometric pattern as well as the basic structure and formation of the ‘Fretwork’ to contemplate. In addition, the textile that utilized the ‘Faux Chenille’ is surveyed and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its principle are learned for its various effects. On the basis of such research work, it deploys the fashion design that applies the ‘Fretwork’ with the ‘Faux Chenille’ textile. For this work production, four basic formations of the ‘Fretwork’, namely, the single-type of square rotation’, the Combined-type of simple strokes’, the positive and reverse type S’, and the consecutive rounds type of a single line, are utilized and, in the pattern for the ‘Faux Chenille’ textile, the structure of the ‘Fretwork’ is designed by continuous or single style to produce 5 samples and 4 sets of women’s attire. The result of work production by facilitating the 'Faux Chenille' textile is shown as follows. First, when working on the materials for the 'Faux Chenille' textile, pure cotton and 100% rayon are mixed to make it feasible to produce the texture for the material to be tender and enhanced, and in the process of washing and drying the Faux Chenille' textile, the ‘Faux Chenille’ of the contraction phenomenon is discovered. The 'Faux Chenille' textile is an Important material that is required to select materials with great absorption capability as the most effective material to re-visualize the lines and patterns by sustaining the diagonal lines, maintaining appropriate density and containing strong contrast of colors. Second, the ‘Fretwork’ is designed to process the basic formation for 90° angle with the sense of unlimited extensive line and changes with straight line. It has been confirmed that, if the angle that controls the Faux Chenille textile and the tailoring interval are well aligned, the expression of traditional geometric pattern would be effective and it may be expressed in contemporary style. The contrast of yellow, light green, black-white, orange and blue is expressed as effective for color. And, third, through the fashion design application by utilizing the ‘Faux Chenille’ textile of the ‘Fretwork’, it is confirmed that the contemporary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could be expressed uniquely and creatively while it is affirmed that the western technique and Asian culture can be blended in harmony.| 중국 전통 기하학적인 회(回)문양은 신석기시대 초기부터 역대 도기(陶器) 혹은 도자기에 나타났던 장식적 문양으로서 시대가 바뀌어도 그 활용도가 지속되고 있다. 이는 고대 사람들의 사상 및 심미성을 전달하는 의미를 담아 역사 문화를 재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전통 기하학적인 회(回)문양의 조형을 활용하여 셔닐 효과 텍스타일 작업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이를 통하여 회(回)문양으로 장식된 패션 디자인을 전개한다. 문양의 조형적 특성은 현대 예술적 분위기에 맞추면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며, 셔닐 효과 텍스타일을 활용하여 결합시킴으로 문양의 장식성을 높이고자 하며 연구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 방법 및 내용으로 신석기시대 초기, 하·상·주(夏·商·周), 춘추·전국(春 秋·战国), 당·송(唐·宋) 각 시기의 도기(陶器), 청동기 혹은 도자기에 나타난 기하학적인 문양들의 기원 및 발전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그들의 유형과 특징에 대해 수많은 이미지 자료를 수집하여 시대별로 정리하였다. 또한 채도(彩陶) 문화 유형별에 따라 대표적으로 앙소(仰韶) 문화, 마가요(马家窑) 문화, 대문구(大汶口) 문화 세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기하학적인 문양의 조형성을 이미지 조사를 통하여 문화 유형별로 분류하고 정리하였다. 앞의 이론적 내용에 근거하여 회(回)문양의 역사 배경 및 발전을 밝혀지며 중국 전통 기하학적인 문양에 상관된 간행물을 참고하여 회(回)문양의 기본 조형과 구성 형식을 고찰하였다. 자료 조사를 통하여 회(回)문양의 전통 복식과 현대 패션 응용 사례를 수집하였다. 셔닐 효과를 활용한 텍스타일을 조사하고 저자의 작품 해석과 개인이 실제적인 작업을 통하여 그의 제작방법 및 원리를 파악하고 다양한 효과를 조사한다. 이런한 조사 작업을 바탕으로 셔닐 효과 텍스타일 제작을 진행하였고 회(回)문양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조사 자료는 선행연구 및 고고학 자료의 분류 기준으로 신석기시대 초기 도 기(陶器)에 나타난 기하학적인 문양의 사진 자료는 약 29개, 하·상·주(夏·商·周) 청동기에 약 22개, 앙소(仰韶) 문화에 13개, 마가요(马家窑) 문화에 13개, 대문구(大汶口) 문화에 12개를 정리하였다, 회(回)문양의 사진 자료는 약 36개, 기하학적인 문양의 사진 자료는 총112개를 정리하였다. 회(回)문양을 응용된 전통 복식의 사진 자료는 상·주(商·周), 광시(广西) 좡족(壮族), 량산이족(凉山彝族)에 총 13개를 정리하였고, 현대 패션에 나타난 회(回)문양의 사례를 22개 컬렉션 중에 53개의 사진 자료를 시간별로 정리하였고 디테일 가지는 사진 자료는 표현기법에 따라 40개를 분류하고 정리하였다. 셔닐 효과 텍스타일의 사진자료는 13개를 선정하였으며 그 중에 언급된 Stitch & Slash 기법은 셔닐 효과 텍스타일에 적용할 수 있는 기법으로서 주요 봉제와 절개의 뜻으로 하는 공예이며 마지막 단계는 세탁 및 건조 과정의 후가공 처리를 거쳐야 최종 효과를 이룩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천연섬유 중 식물성 있는 100% 면과 인조섬유 중 유기질 있는 레이온 등 수축이 잘 되는 소재를 채택하는 권장도 거론되었으며, 이 텍스타일의 중요한 것은 직물을 자를 때 45° 기준으로 유지하는 것은 가장 효과적이다. 작품 제작을 위하여 회(回)문양의 4개 기본 조형인 ‘방회단체(方回单体)형’, ‘간필조합(简笔组合)형’, ‘정반(正 反) ∾형’, ‘한필연환(一笔连环)형’을 활용하며 셔닐 효과 텍스타일의 패턴에서 이방연속 혹은 단독적인 형식으로 회(回)문양의 구조를 설계하고 샘플 5개를 제작하였다. 디자인 전개는 레트로룩, 스트리트룩, 캐주얼룩, 레이디룩으로 Wind Coat, Jacket&Skirt, Hoodie&Pants, Chiffon-shirt&Shoulder-Vest&Skirt의 4벌로 구성하였다. 'Faux Chenille' 텍스타일을 활용한 작품제작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aux Chenille' 텍스타일의 소재 작업시 순면과 인조섬유 레이온이 섞여 있으므로 직물의 질감을 부드럽고 풍부하게 만들 수 있고 이 작업한 직물이 세탁하고 말리는 과정 중에 수축 현상이 일어났기 때문에 '꽃이 피우기' 라는 셔닐 효과를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Faux Chenille' 텍스타일에 있어서 경위에 빠질 수 있는 실이 모두 잡히고 고정되도록 1.0~2.0스티치 길이를 사용여야 완성될 떄 까지 그 조직량이 적어져도 문양조형이 흩어지지 않는 다. 'Faux Chenille' 텍스타일 제작은 그 대각선을 유지하는 점을 기준하여 밀도가 적당하고 흡수성이 좋은 소재로 선정이 중요하며, 색상의 대조가 강한 소재를 사용하여 라인 변화과 문양의 윤곽을 재현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회(回)문양은 기본 조형은 90° 각도로 양끝을 향해 무한히 연장되고 긴밀하게 돌러싸는 직선의 변화로 원단 경위에 대각선을 이루는 방향과 일치하며, Faux Chenille 텍스타일을 봉제하는 각도와 재단 간격정도에 맞아 떨어지면 전통 기하학적 문양이 나타낸 방식에도 더욱 발전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회(回)문양을 활용한 'Faux Chenille' 텍스타일 샘플 5가지를 제작하였으며 그 중에 Staple 섬유로 구성된 면 소재가 차지하는 샘플 3의 효과가 가장 좋게 나타났다. 노랑색과 연녹색으로 대비를 형성한 샘플 1과 블랙·화이트로 대비를 형성한 샘플 3, 오렌지·파랑으로 대비를 형성한 샘플 5는 회(回)문양 형태를 표현하는데 가장 효과적으로 표현되었다. 셋째, 회(回)문양의 조형은 규칙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셔닐 효과 텍스타일을 제작하는데 명료한 효과가 이루게 하였고 적합한 천연소재 및 색상의 배합을 선정하였다면 패션디자인 작품을 완성하였을 때 독창적인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중국 전통 기하학적인 회(回)문양의 4개 기본 조형을 셔닐 효과 텍스타일에서 섬유예술적 방식으로 표현되면서 서양기법과 동양문화의 결합을 이룰 수 있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중국 전통 회(回)문양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dc.title.alternativeFashion Design Using Traditional Chinese 'Fretwork': Using 'Faux Chenille' Textil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풍역축-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Feng Yizhu-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의류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휴먼테크융합-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