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4 0

3D 가상착의 기반 한복을 활용한 해체주의 패션 디자인

Title
3D 가상착의 기반 한복을 활용한 해체주의 패션 디자인
Other Titles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Using Hanbok Based on 3D Digital Clothing Technology
Author
한민재
Alternative Author(s)
Minjae Han
Advisor(s)
이연희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ere is an increasing need in the field of modern hanbok design to break from mere tradition and create new contemporary hanbok fashion by reflecting and accommodating the latest world fashion trends and the changing needs of consumers. It is vital to maintain the continued interest in hanbok and thereby making it sustainable as a branch of modern fashion design. With this in mind, I, in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study of Korean fashion design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fashion design by creatively utilizing the features of hanbok. To be more specific, I attempt to work out new fashion designs by merging the techniques of deconstruction fashion with various features and elements of hanbok. With respect to the research method, I first select the articles on traditional Korean costume from five major academic journals for fashion (i.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After that, I classify them into categories to educe detailed research trend in the field of Korean fashion design. I also analyze the works by contemporary Korean fashion designers that appeared in their hanbok collections as well as the works of the designers who participated in the fashion shows hosted by the Hanbok Promotion Center, which aims to promote and globalize hanbok. In addition, I draw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epresentation techniques of deconstruction fashion, including neo-deconstructivis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 by Martin Margiela, Comme des Garçon of Rei Kawakubo, Yohji Yamamoto, Vivienne Westwood, and John Galliano. Finally, I develop deconstruction Korean fashion designs by merging the techniques of deconstruction fashion with traditional Korean elements and the techniques for hanbok-making. This is done through the 3D garment simulation technology. I present 10 such pieces of work in 3D virtual design (using the CLO 3D virtual clothing program), and 4 of them in real works.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fashion design fiel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mong the selected 2,016 articles on Korean fashion and Korean tradition that appeared in the aforementioned five academic journals, only 10.1% is about Korean fashion design. They can be further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replication of traditional hanbok, light or moderate transformation, radical transformation, and fusion with other traditional Korean elements. Among these four, the largest number is found to be the second category, namely, light or moderat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hanbok.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category of works are found to be on the increase, whereas the third and the fourth on the decrease. It is also found that the elements of hanbok as well as other Korean traditional elements that are used in modern hanbok design are mostly the ones that appeared in the late Joseon period, which strongly suggests the necessity to expand the historic horizon of hanbok design beyond the late Joseon perio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Korean fashion design that utilizes the elements of hanbok and other traditional Korean elem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works use hanbok as a design motif (as is found in the preceding work), and among them, the great majority attempt light or moderate (i.e., less-than-radical) modification of traditional hanbok design by tinkering with the prototype of hanbok of the late Jeseon period. Second, in the case of replication of traditional hanbok design, lots of works show slight change in color or in some accessory elements. In the case of light or moderate transformation, the degrees of change span the spectrum from weak to somewhat strong (but less than radical). However, they all maintain the basic design of the prototype. Third, unlike in the case of academic research, lots of instances of radical transformation are found in modern Korean fashion design. Fourth, the number of design works that utilize other traditional Korean elements is found to be the least and also they are the least diverse. Fifth, in changing the traditional hanbok design, the following three types are generally used: modifying the traditional hanbok design in itself, combining traditional hanbok and European costume, and coexistence of the two. In the case of combining traditional hanbok and European costume, a distinction can be made depending on which of the two is used as basic, but such a distinction is not always clear-cut, leaving some gray areas. With respect to the representation techniques of deconstruction fashion, they are found to be the following: non-finishing, decomposing and recomposing, recycling, transparent, grunge, flattening, and exaggeration. By applying these techniques to hanbok, I attempt to present various new ways of Korean fashion designing. The result is the following: First, from the formal point of view, the techniques of non-finishing, decomposing and recomposing, flattening, and exaggeration provide the possibility of departing from the fixed silhouettes of the stereotype of hanbok and finding a new deconstructive form, which neo-deconstruction fashion pursues, within the representation of strangeness that contemporary society exhibits. Second, from the constructive point of view, the technique of decomposing and recomposing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unfamiliar images and unexpected new silhouettes by combining disparate and heterogeneous elements from hanbok and European costumes.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s, the representation technique of decomposing and recomposing can be visually emphasized through the diverse combinations of the fabrics and/or the subsidiary materials for traditional hanbok and European costumes, and hand-knit fabric is found to be appropriate to maximize the effect of flattening. And other techniques such as transparent and grunge can also be successfully represented through diverse combinations of disparate fabrics and/or subsidiary materials. Thus deconstruction fashion can be a means of creating a new Korean fashion style exhibiting strange and unfamiliar images departing from the stereotype of traditional hanbok.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can be said as the following. It explores a possibility of a new Korean fashion style that can respond to the changing needs of consumers by creatively applying the techniques of deconstruction fashion to hanbok. It also provides a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3D garment simulation technology in Korean fashion design, thereby enabling an environment-friendly process of fashion design. | 현대의 한복은 과거 전통의 원형에서 벗어나 점차적으로 현대적인 트렌드에 부응한 한국적 패션 디자인으로 변화하고자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한복 디자이너 및 학술계 전문가들도 현대 트렌드를 반영한 한복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한복의 전통은 전통대로 지켜나가면서, 현 시대가 요구하는 변화된 한복 디자인 개발과 한복을 활용한 현대적인 한국적 패션 디자인을 모색함으로써 한복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긍정적인 인식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식 디자인 연구의 현 위치와 한복을 활용한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개발 방향을 알아보는 한편, 전통 미학의 범주 안에서 반복되는 한복 디자인의 한계점을 벗어나기 위해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기법들을 한국적 요소와 결합하여 한복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패션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다양한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및 범위로 먼저 학술지를 중심으로 <복식>, <한복문화>, <한국의류학회지>, <복식문화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총 5개 학회의 학술지에 수록된 연구들 중 한국 전통에 관한 연구를 추려내었고, 이를 분야별로 분류하여 한국복식 디자인의 세부적인 연구 동향을 알아보았다.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이너들의 작품 분석은 최근 10년 내 한복 및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컬렉션 작품을 선보인 한국적 패션 브랜드의 작품뿐만 아니라, 한복의 문화 진흥과 글로벌화를 목적으로 한복진흥센터가 주최하는 패션쇼에 참가했던 최근 한국적 패션 디자이너들의 작품도 함께 분석하였다. 아울러 신-해체주의를 포함한 해체주의 패션의 특성이 나타나는 마르탱 마르지엘라, 레이 가와쿠보의 꼼데가르송, 요지 야마모토, 비비안 웨스트우드, 존 갈리아노의 작품 사례를 통해 해체주의 패션 디자인에 나타나는 특성과 그 표현 기법을 구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한복 및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징들의 세부적인 표현 방법과 해체주의 패션 디자인의 작품 사례를 통해 구체화한 각 해체주의 패션 디자인의 표현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적 패션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는 3D 디지털 패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총 10작품을 시뮬레이션하여 제시하였고, 이 중 4개의 작품을 실물로 구현하였다. 학술지에 나타난 한국복식 디자인 연구 동향은 다음과 같다. 한국복식 디자인 분야에 관한 연구는 선정된 5개 학회지에서 한국복식 및 한국 전통에 관하여 수록된 총 2,016편 중 10.1%에 불과하였다. 한국복식 디자인의 조형적 특징 조사 결과로는 ‘전통 한복의 원형재현 디자인’, ‘전통 한복의 원형변형 디자인’, ‘전통 한복의 원형탈피 디자인’,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디자인’ 총 4개의 유형 중 전통 한복의 원형변형 디자인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전통 한복의 원형재현 디자인과 원형변형 디자인은 시기가 지날수록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전통 한복의 원형탈피 디자인과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디자인은 정체되어 있거나 감소하는 추세였다. 한국복식 디자인에 활용된 디자인 요소를 조사한 결과로는 한국복식에 활용된 한복의 아이템과 한복 외 한국적 전통 요소들이 이미 매우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었으나 그 요소들의 시대적 범위가 조선시대에만 치중된 경향이 있었다. 한복 및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한복을 모티브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전통 한복의 원형변형 디자인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통 한복의 원형재현 디자인은 전통적인 형태와 함께 한국의 전통 소재와 문양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약간의 색상 변경, 혹은 장식 요소의 변경만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다. 전통 한복의 원형변형 디자인은 그 변형의 정도가 약한 것부터 강한 것까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전통 한복의 원형, 소재, 문양은 전체적으로 크게 변형하지 않고 유지하면서 패턴의 길이나 너비의 수정, 혹은 일부 고름이나 깃을 삭제하는 정도에서 그친 경우가 많았다. 셋째, 전통 한복의 원형탈피 디자인이 원형재현 디자인보다 적게 나타난 학술 연구에서의 한국복식 디자인 특징과는 달리,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서는 전통 한복의 원형탈피 디자인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디자인 작품 사례는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양성의 정도도 적은 편이었다. 다섯째,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전통 한복의 원형변형 디자인은 세부적으로 ‘전통 한복의 자체적 변형’, ‘전통 한복과 현대 서양복식의 결합’, ‘전통 한복과 현대 서양복식 형태의 개별적 공존’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었으며, 전통 한복과 현대 서양복식의 결합 유형은 ‘전통 한복을 바탕으로 현대 서양복식의 구성 요소를 대입’유형과 ‘현대 서양복식을 바탕으로 전통 한복의 구성 요소를 대입’유형 외 대부분은 그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많았다.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유형별 표현 방법과 함께 해체주의 패션의 이론적 고찰과 작품 사례 조사를 통해 구체화된 현대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방법인 불완성, 해체 및 재구성, 재활용, 투명, 낡음, 평면화, 과장 총 7가지 유형들의 표현 기법들을 적용하여 한복을 기반으로 한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적인 측면에서, ‘불완성’과 ‘해체 및 재구성’, ‘평면화’, ‘과장’의 표현 방법은 기존 전통 한복의 고정된 실루엣을 벗어나 현시대가 보여주는 낯설음의 표현 안에서 신-해체주의 패션이 지향하는 새로운 해체적 조형을 발견할 수 있게 하였다. 둘째, 구성적인 측면에서, ‘해체 및 재구성’의 표현 방법은 조복(朝服) 또는 제복(祭服) 착용 시 함께 입던 폐슬의 패턴과 평상시에도 착용하는 치마나 저고리 등 다른 여러 한복 아이템 패턴의 동시 결합, 남자 한복과 여자 한복의 결합, 전통 한복 아이템의 본 용도를 다른 용도의 패턴으로 재구성, 전통 한복에 서양의 여밈 구성 방식 대입 등의 표현 기법을 통해 이질적인 패턴 구성의 낯선 이미지와 예상치 못한 새로운 실루엣을 구현할 수 있었다. 셋째, 소재 활용의 측면에서, 전통 한복 소재와 현대 서양의 원단 및 부자재의 결합, 다양한 재질과 굵기의 니트 실 결합을 통한 장식 등을 통해 ‘해체 및 재구성’의 표현 방법을 시각적으로 강조할 수 있었으며, 네오프렌 원단과 짧은뜨기(single crochet)와 긴뜨기(half double crochet)로 제작한 핸드 니트 원단은 ‘평면화’의 표현을 극대화하는데 적합하였고, 그 외 노방 원단을 통한 ‘투명’의 표현과 낮은 톤의 색상, 몸판의 원단과 같은 색의 니트 실을 패턴 중간에 불규칙적으로 올이 풀린 듯한 표현을 함으로써 ‘낡음’을 표현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재질과 이질적 원단 및 부자재의 조화에서 오는 흥미로운 결과를 구현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방법을 활용한 한국적 패션 작품 개발은 단아한 전통 한복의 이미지를 벗어나 다양한 효과와 낯선 이미지를 추구하는 새로운 패션 스타일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현시대의 새로운 관점과 맥락에서 기존에 활용되지 않았던 미의식과 조형성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현대적인 한복의 새로운 미의식을 확장하고, 변화하는 소비자의 새로운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한국적 패션 디자인 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또한, 한복을 모티브로 해체주의 패션 디자인을 개발한 학술적 연구를 찾기 어려웠던 만큼, 시대 변화의 트렌드에 부응할 수 있는 실험적인 한국적 패션 디자인을 개발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3D 디지털 패션 소프트웨어의 활용을 토대로 실물의 재현성을 갖는 가상의 의복으로 작품을 제작하여 의복 표현의 유사성 재현, 디지털 프로세스의 높은 효율, 그리고 친환경적인 미래형 패션 디자인 방법을 제안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 힘입어 한복 디자인 개발이 전통 복식의 연구 범주에 머물지 않고, 보다 더 창의적인 현대적 패션 조형 연구의 일환으로 확장되어 나가기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036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57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