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5 0

3D 가상착의 기반 중국 소수민족 묘족(苗族) 복식과 납염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Title
3D 가상착의 기반 중국 소수민족 묘족(苗族) 복식과 납염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Other Titles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Applying to Costume and Batik of the Chinese Minority Miao based on 3-dimensional digital clothing technology
Author
용루루
Alternative Author(s)
Long Lulu
Advisor(s)
이연희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e Chinese Minority Miao have long established their own history, myths, legends, and religious culture based on her uniqu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ed the tradition of costume representing their ethnic culture. The increasing interest in the culture of minorities such as Miao in modern days has raised the value and awareness of studies on the costume culture of Chinese minorities from a cultural anthropological perspectiv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ostume and batik dyed fabrics of Chinese Minority Miao, analyze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batik dyeing and to analyze various materials to contribute to the ongoing effort to inherit the traditional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design methods that are sustainable and aligned with ethnic elements and traditional culture combined with the use of three-dimensional digital cloning technology throughout the design process and to present as guideline materials for various fashion designs to be developed in modern sensibilities. This study also intends to produce creative fashion designs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Miao’s batik dyeing technique incorporated and to present a variety of possibilities in fashion design field. The specific research designs and methods a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has conducted literary and photographic analysis to understand the history, living environment, religious culture, regional characteristics, forms and composition of costume, colors, and accessories of Chinese Miao people. Second, the study has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yeing techniques, dyeing too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abrics by investigating other ethnic people in addition to Miao who use the batik dyeing, including the Indonesian batik culture listed in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s. Third, the study h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dyeing methods and tools, characteristics of fabrics, and local patterns of batik dyeing, which is listed in the Chines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s. Fourth, the study has designed eight pieces of design using the three- dimensional digital contouring technology and produced four pieces of actual design work based on the literary analysis of the costume and batik dyeing techniques of the Chinese ethnic minority Miao. The study has also investigated the cultur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Miao people’s costumes and the patterns and techniques of the batik dyed fabrics based on the literary and photographic materials of Chinese seedlings and batik dyeing fabric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Miao people’s costumes and batik dyed patterns, the study has collected and analyzed data and information from Chinese websites at home and abroad, based on which, eight pieces of women's fashion design have been produced using the design motifs of Miao people’s costume and batik dyed patterns. The overall design characteristics sought by Miao people are in line with the complex terrain, superior ecological conditions and climate conditions. First, the forms and designs of the costume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ouble-breasted, side-opening, and GuanShou cloth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er collar. Second, the colors of the costume are mostly black, dark navy, and red with the occasional adoption of vivid colors of white, green, blue, and orange. The textiles of the costume are obtained from natural materials such as cotton and linen produced by the Miao people and are dyed or woven with the animals, plants, and geometric designs used as the design patterns of costume. Miao people have also created bold, exaggerated patterns inspired by nature using traditional craftsmanship such as embroidery and batik dyeing. The patterns also reflect religious implications representing the origins and beliefs of the Miao people and appear in the form of worshipping nature, ancestors, and totem. Third, the accessory ornaments of the Miao people are classified into silver ornaments, head ornaments, aprons and baepae, and a pair of gaiters and shoes. Silver ornaments are used to decorate various parts with a long history and a wide variety of forms and characteristics and to expresses the Miao people’s origins and beliefs, including the worship of nature and totem and family breeding using a variety of formative spiritual symbols. The Miao people’s batik dyeing registered as part of the Chines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eatures unique production methods and patterns. This study has analyzed four counties: Danzhai, Anshun, Huangping, and Gonghyeon. The monochromatic batik dyeing feature more diverse pattern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the major animals involved in patterns include birds, dragons, butterflies, and fish, and represent what Miao people worship, including their ancestors, totem, reproduction, and nature. In particular, the patterns involving dragon feature other animals, including dragonfly, centipede, fish, and snake while retaining the basic form of dragon. Second, the plant patterns mostly appear in combination with animal and geometric patterns instead of in a standalone pattern. The Ota pattern decorated in the costume is also said to be one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Danzhai Miao. The Anshun Miao features various forms of batik dyeing. Third, the dominating colors include dark navy and white, followed by multiple colors, including yellow and red depending on the region. The study has collected a total of 860 photographs of batik dyed patterns from four different regions and organized them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precedent studie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Miao batik dyed pattern have been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symbolism, abstraction, and decorativeness and playfulnes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ymbolism can be classified into the origin of the Miao, symbol of faiths, history of migration, and the symbol of status with the batik dyeing patterns in different regions seemingly involving various symbolic implications. With the absence of letters, Miao people have left their emotions and history in the design patterns instead. A series of development in recent years has led to incorporating temperament of the Miao people, history of migration, expression of emotions, and ideal hopes in the batik dyed design patterns whose symbolic functions are significantly emphasized. Second, the decorativeness is mainly characterized by repeated patterns of the Miao batik dyeing design. That is, the overall patterns demonstrate design features characterized by regularization and simplification along with a sense of rhythm from the unique arrangement of patterns. Third, the abstractness of the batik dyeing design patterns is often found in plant and animal patterns, properly delivering the new design images created by the Miao women by extracting and rearranging various elements, including dots, lines, and faces shown in real natural images. Fourth, the playfulness is expressed by the transformation and distortion of Miao batik dyed patterns and the repetition of overall pattern. The costume for children, for example, features childlikeness, distortion of patterns, exaggeration of bodily parts, optical illusions, asymmetry, and contradicting existing mode of wearing. As such, this study has developed some fashion designs that reinterpret the Chinese Miao costume and batik dyeing from a modern design perspectiv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attempt has made it possible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costume culture as Chinese Miao’s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modern design development with the use of traditional elements. Second, the study has intended to demonstrate new and innovative expressions and styles relying on the three-dimensional digital contouring technology and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various designs. Third, the study has confirmed that the batik dyed pattern design created by the three-dimensional digital contouring technology could be recombined or expanded as digital printing to be able to express the traditional ethnic designs in a practical manner utilizing modern digital printing techniques based on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중국의 소수민족 묘족은 독특한 지역적 특색을 바탕으로 그들만의 오랜 역사, 신화, 전설, 종교 문화 등을 형성하고, 민족의 문화를 대표하는 복식이 발전해왔다. 현대에 들어 이들과 같은 소수민족의 문화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문화 인류학적인 관점에서 중국 소수민족의 복식 문화 연구에 대한 가치와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소수 민족인 묘족의 복식 및 납염 직물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하여 납염의 문양 자료와 특성을 분석하고 최근에 지속되는 전통문화의 계승을 위한 여러 자료를 정리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민족적 요소들과 전통 문화가 결합되어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디자인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디자인 과정 자체에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현대적 감성으로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패션디자인의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묘족 복식 납염 직물의 특성과 방법을 적용시킨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을 제작하여 패션디자인 영역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수민족 묘족의 역사, 생활환경과 종교 문화, 지역적인 특성 및 복식 형태와 구성, 색채, 장신구등에 대하여 문헌 자료와 사진 자료를 기반으로 조사 분석한다. 둘째, 중국 소수민족 중 묘족 외에 납염을 사용하는 민족과 세계의 무형문화유산 등재된 인도네시아 바틱 문화에 관련 연구를 조사하여 염색기법, 염색도구, 문양 특성 등 비교 분석한다. 셋째, 중국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묘족 납염의 염색 방법, 염색 도구, 직물의 특성, 지역적 납염의 문양 특성에 대하여 조사 분석한다. 넷째, 중국 소수민족 묘족 복식과 납염의 문헌 연구 분석내용을 토대로 3D 가상착의 CL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8착의 패션 디자인을 전개하고, 4착의 실물 작품을 제작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중국 묘족 복식과 납염 직물에 대하여 문헌 자료와 사진 자료를 기반으로 묘족 복식의 문화 배경, 복식 특성, 납염 직물의 문양 특성 및 기법 등을 조사하였다. 중국 묘족 복식과 납염 문양의 특성 활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국의 국내외 웹 사이트를 통해 컬렉션으로 자료를 수집해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묘족 복식 형태와 납염 문양의 모티브를 활용한 여성 패션 디자인 8벌을 제작하였다. 묘족은 복잡한 지형과 우월한 생태환경, 기후 조건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에 묘족 복식의 전반적인 디자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식의 형태는 옷섶의 특성에 따라 크게 대금(对襟), 다금(大襟), 관두의(贯首衣) 형태로 나눌 수 있다. 둘째, 복식의 색채는 검정색, 짙은 남색, 빨간색 등이 주로 나타나며, 흰색, 초록, 파랑, 주황 등의 선명한 색상도 보인다. 복식의 소재는 주로 묘족 사람들이 생산한 면, 마 등 천연소재를 염색이나 편직물로 만들었는데, 복식에서 나타난 문양들은 동물, 식물, 기하학문양으로 정리할 수 있다. 문양은 자연에서 볼 수 있는 것을 과장된 상상력을 통해 재창조하고, 표현 방법은 선으로 자수나 납염 등 전통 공예기법을 주로 이용한다. 문양들은 묘족사람의 기원 및 신앙을 상징하는 종교적 의미를 가지고 자연숭배, 조상숭배, 토템숭배 등이 나타난다. 셋째, 묘족의 장신구를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은장신구, 머리장신구, 앞치마 및 배패 그리고 각반 및 신발 등으로 나누어진다. 은장신구는 오랜 역사를 갖고 매우 다양한 형태와 여러 가지 부위를 장식하는 특성이 있으며, 과장되고 다양한 조형정신기호로 묘족의 자연숭배, 토템숭배, 가족 번식 등 여러 가지 묘족 사람의 기원 및 신앙을 표현하기도 한다. 묘족 납염은 중국의 유일한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기법으로 독특한 제작방법과 문양 특성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단채, 안순, 황평, 공현의 4개 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단채 납염의 문양 특성을 정리하면 문양의 형태가 더욱 다양하며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문양이 주로 새, 용, 나비, 물고기 등으로 구성되며 묘족의 조상숭배, 토템숭배, 생식숭배, 자연숭배 등의 상징적 역할을 한다. 특히 용 문양은 잠용, 지네용, 어용, 뱀용 등 다른 동물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면서 용의 기본형태가 나타난다. 둘째, 식물문양은 단독 문양으로 나타나지 않고 주로 동물이나 기하학문양과 조합하여 화면이 구성되었다. 복식에서 장식되는 오타문양이 단채 백령묘의 독특한 특성이라고도 한다. 안순 묘족지역 큰 특성은 다채로운 납염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색채는 주로 짙은 남색, 흰색이 주로 활용되며 지역에 따라 황색, 홍색 등 다색을 많이 사용한다. 납염의 문양은 선행연구 분류기준에 따라 정리하였으며, 4개 지역의 사진 자료 총 860개가 수집되었다. 중국 묘족 납염문양의 표현적 특성 분석 결과 상징성, 추상성, 장식성 유희성 네 가지로 분류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징성은 묘족의 기원과 신앙의 상징, 이주역사의 상징, 신분의 상징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 지역의 납염 문양은 다양한 상징 의미를 포함한 것으로 보인다. 묘족이 문자가 없는 민족으로 문양들이 문자에 대신 묘족 사람의 감정이나 역사들을 남기고 표현하였다. 다년간의 발전을 통해 묘족의 기질, 이주의 역사, 감정의 발산, 이상적인 희망 등의 내용들이 담겨 있어 납염 문양은 묘족의 상징적 기능을 매우 중시한다. 둘째, 장식성은 묘족 납염문양의 반복문양이 위주로 나타나고 있다. 또는 전체 문양들이 규칙화, 단순화 등 조형특성을 많이 나타났는데 문양을 배열해서 리듬감도 느껴진다. 셋째, 묘족납염의 문양에 나타난 추상성은 식물과 동물문양으로 많이 나타난다. 묘족의 추상성의 표현은 실제 자연 이미지에서 보이는 점, 선, 면 등 요소를 추출하여 변화시키고 재조합함으로써 묘족 여성에 의해 새롭게 창조된 형태 이미지를 잘 전달하고 있다. 넷째, 유희성은 묘족 납염문양의 형태를 변형하여 왜곡하고 전체 문양이 반복적으로 표현된다. 아동 복식을 보면 새문양이 매우 유아적으로 표현되어 있고 문양 형태가 왜곡하거나 신체의 일부를 과장, 착시, 비대칭, 기존의 착장 방식을 부정하는 형태 등으로 많이 표현되었다. 이와 같은 문헌 조사와 사진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묘족 복식 및 납염 문양의 현대화 위해 방향으로 묘족 복식과 납염 문양의 특성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디자인 전개는 3D COL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복식의 형태나 문양이 배열 위치를 확인하면서 3D 가상착의로 시뮬레이션으로 완성하였다. 작품제작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묘족 복식의 독특한 형태와 납염 문양을 바탕으로 한 작품 제작은 민족적 요소의 현대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의 활용에 적절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납염 느낌을 보여 주는 데님 원단을 위주로 사용하고 인조 가죽 등 현대적인 새로운 소재로 재창조하고 시키었다. 둘째, 묘족 납염 문양을 추출하여 확대와 반복을 활용함으로써 디지털 프린트 기법으로 현대적인 패션 느낌을 표현하였으며, 다양한 소재, 전통적 문양과 현대 기법을 결합하고 일상화와 다채로운 패션디자인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여 현대 패션디자인의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셋째, 디자인 시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의 활용은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디자인 방법으로, 디자인과 제품의 생산과정에 IT 기술을 접목해 에너지 절감과 생산과정에서의 친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역할에 적합하고 실용적인 방향이라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통 요소를 가지고 있는 전통 문화유산으로서의 민족 복식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기반으로 한 창의적인 현대 패션디자인 개발의 미래에 다양한 가능성이 있기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030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57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