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0 0

유튜브 이용 동기에 대한 세대 간 상호인식 차이: 중장년층과 청년층 간 비교

Title
유튜브 이용 동기에 대한 세대 간 상호인식 차이: 중장년층과 청년층 간 비교
Other Titl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lderly-young generation perception on YouTube use motives : An application of the co-orientation model
Author
전범수
Keywords
유튜브(YouTube); 이용 동기(YouTube use motives); 중장년층; 청년층; 상호지향성 모델(co-orientation model); generation difference
Issue Date
2020-03
Publisher
한국방송학회
Citation
한국방송학보, v. 34, no 2, page. 76-104
Abstract
이 연구는 유튜브를 이용하는 이용 동기에 관해 중장년층과 청년층 간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고자 상호지향성 모델을 사용하여 두 집단 간의 인식의 유사성과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주요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층과 청년층의 유튜브 이용 동기 인식의 차이, 즉 객관적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관계추구를 제외한 모든 이용 동기에서 두 집단의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중장년층이 유튜브를 이용하는 동기에 있어서 정보추구를 가장 높게 평가한 반면, 청년층은 재미추구를 가장 높게 평가했다. 또한 중장년층과 청년층 이용자는 관계추구 측면에서 상호지향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지만, 두 집단 모두 이를 낮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일치도를 살펴본 결과, 중장년층의 경우에는 정보추구를 제외한 모든 평가에서 자신보다 청년층의 이용 동기 인식을 과대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추구, 재미추구, 긴장해소 등의 순으로 큰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청년층 이용자들은 자신과 비교해서 장년층의 인식을 상당수 과소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긴장해소를 제외한 재미추구, 접근 편의성의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자신의 인식보다 다른 집단의 관계추구 인식을 과대평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평가의 차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확도를 살펴본 결과, 중장년층의 인식 정확도를 나타내는 정확도 1에서 중장년층이 예상한 청년층의 생각과 청년층 스스로의 생각을 비교한 결과, 접근 편의성과 재미추구에서 정확도가 일치하였다. 하지만 관계추구, 긴장해소, 정보추구에서는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관계추구와 긴장해소에서 그 차이가 두드러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청년층의 인식 정확도를 나타내는 정확도 2에서 청년층이 예상한 중장년층의 생각과 중장년층 스스로의 생각을 비교한 결과, 긴장해소 및 정보추구에서 정확도가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에서 관계추구에서 인식차이가 동일하게 발생하고, 그 차이가 여타 유튜브 이용 동기 인식평가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ng generations on the motives to use YouTube. Each generation has been formed different values through their main media which, in turn, is regarded to cause generational conflicts. Recently, however, YouTube, a type of new media, is used more by the elderly than the young in Korea, which may suggest the ease of generational conflict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s, the co-orientation model was applied to examine the degree of agreement, congruence, and accuracy on motives to use YouTube.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elderly generation was not in complete “agreement” with the young generation, but both showed agreemen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YouTube motivation between two groups. Secondly, in terms of “congruence”, the degree of inconsistency was also high, and the two groups perceived that YouTube was used for different motives, indicating misapprehensions between them still occur. Thirdly, in accuracy, the degree of discrepancy was higher than the consistency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diction of the opponent and the actual motives, and especi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ivation for ‘pursuing the relationship’. The both group perceived that the other generation was motivated to use YouTube to continu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deed, the results were the opposite of their prediction, which also means that there is a misunderstanding about each other.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lderly and the young generations tend to use YouTube in terms of different values unlike the seemingly solving the generational conflicts. Specifically the elderly still use YouTube based on their original values, ‘searching for information’ learnt from the traditional media such as television. In other words, each generation uses the same way of using their own mainstream media on YouTube, which in turn, the generation integr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do not seem to be solved through YouTube.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2092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038
ISSN
1229-025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