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1 0

국내 예물주얼리 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결혼반지를 중심으로-

Title
국내 예물주얼리 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결혼반지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Wedding Jewelry Design in Korea -Focusing on the Wedding Ring-
Author
이형규
Keywords
예물주얼리(Wedding Jewelry); 선호도(Preference); 디자인평가(Design Evaluation); 결혼반지(Wedding Ring)
Issue Date
2020-03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6, no. 1, page. 399-410
Abstract
조선시대부터 신랑이 신부 집에 보내는 예물함 속에는 비녀 가락지 등 각종 폐물이 담아 전해지기 시작하면서 예물을 주고받는 풍습은 600년이 넘게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경기불황으로 간소화된 결혼문화와혼인인구수 감소 등의 이유로 예물주얼리 시장규모는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다. 한편, 예물을 주고받는 오랜 전통 때문에 예물시장은 가장 안정적인 시장을 확보하고 있지만,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트렌드 변화에빠르게 대처하지 못 하였고, 소비자들은 디자인이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해외 유명브랜드의 주얼리로 발길을 옮겨가고 있다. 이처럼 위축되고 있는 국내 예물주얼리 시장에 소비자 의식 변화에 따른 디자인의 변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성공적인 디자인을 위해서는 디자이너의 감각에만 의존하지 않고 소비자가 생각하는예물주얼리 디자인 선호도 기초 통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 연구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에본 연구는 국내 예물주얼리 디자인 선호도에 관하여조사 분석하여 디자인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예물 주얼리 디자인 개발 시 참고 자료로 활용방법을 제시함을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인터넷 자료조사를 통해 예물주얼리의 정의를 정립하고, 디자인 평가를 위해 평가요소를 선행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상징성, 심미성, 감성요소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요소를 중심으로 기초통계분석과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엑셀을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범위로는 광범위한 예물주얼리의 종류를 결혼반지로 한정지어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19 년 12월 5일부터 12월 30일 까지 총 16일간 조사한미혼 및 기혼 남녀 185명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예물주얼리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결혼예물의 감성요소, 상징성, 심미성으로 나누어 각 속성의 특징 중 가장 선호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소비자들이 결혼반지에 대하여 선호하고 있는 가치를 찾아내어 기대 욕구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을 통해 결혼반지 디자인 또는 마케팅을 하고자 할 경우 유행을 중요시하기 보다는 디자인과 품질, 착용감을 중요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급스럽고 세련되며 특별하고 아름다운 이미지의 디자인을 연구하고 화이트골드 색상의 형태는직선이며, 추상적인 모티브를 담고 있는 디자인이고, 대칭의 메인보석이 세팅되어진 안정감 있는 결혼반지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정보를 디자인 이론에 적용한다면 선호도가 높은 결혼반지디자인을 출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본 연구는 결혼반지 디자인 선호도를 연구 분석하여디자인개발과 업계의 마케팅 전략에 도움을 주는 데목적을 두고 있으며, 결혼반지 디자인을 연구하는 데학술적이고 경험적인 가이드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Since the Joseon Dynasty, the custom of exchanging wedding gifts has been continued over 600 years as the origin of sending various gifts such as Korean traditional ornamental hairpins and twin rings in the gift box, which the groom sent to the house of the bride. However, along with the simplified wedding culture due to the economic depression, the size of the wedding jewelry market has been continuously shrunk due to the decrease in the population getting married. Meanwhile, although the wedding gift market is secured as the most stable market because of the long tradition of exchanging wedding gifts, customers have moved to the jewelry of famous global brands that are determined to be excellent in design as it has been unable to rapidly deal with the change of trend. Likewise, The change in design according to the shift in consumers’ consciousness is required in the domestic wedding jewelry market that has been increasingly shrunk. Therefore, for successful design, it is considered that the design research is crucial which does not only depend on the design sensibility but also is based on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of the wedding jewelry design preference considered by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esent how to apply as the referenc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wedding jewelry designs by suggesting the design direction as examining and analyzing the preference of wedding jewelry designs in South Korea. As the research methods, the definition of wedding jewelry was established through the internet data research and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evaluation factors were selected as symbolism, aesthetics, and the factors of sensibility based on precedent researches and theories in order to assess the design.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Likert scale, focusing on the selected factors,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using Excel. Among the extensive types of wedding jewelry,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wedding ring limited to the scope of this study.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of 185 unmarried and married males and females for a total of 16 days from December 5th to December 30th, 2019. In order to analyze the preference of wedding jewelry, the most preferred factors among the attributes of each evaluation factors divided as symbolism, aesthetics, and the factors of sensibility were examined. Through the survey analysis, Consumers’ expectation and desire were identified as looking for the value that consumers prefer about the wedding ring. As a result, in the case of aiming to plan the design or marketing of wedding rings through this thesis, if the design of luxurious, sophisticated, special, and beautiful image as emphasizing design, quality, and a sense of wearing rather than the trend is studied and if the analysis data of showing the high preference of the wedding ring that is a straight line in white gold color and has a design containing abstract motifs along with its stability for the symmetry of main jewels is applied to the design theory,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order to release design with high preferen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sign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in the industry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preference of the wedding ring design, and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n academic and empirical guide for researching the wedding ring design.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2012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035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JEWELRY & FASHION DESIGN(주얼리·패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