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4 0

백석 시에 나타난 연민 연구

Title
백석 시에 나타난 연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mpassion in Baek-Seok's Poetry
Author
조수빈
Alternative Author(s)
Jo, Su-Been
Advisor(s)
유성호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백석 시에 드러나는 연민의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점을 가질 수 있는 누스바움의 연민 이론을 접목하였음을 밝힌다. 이는 백석 시에서의 연민이라는 감정이 독자에게 어떤 효과를 불러올 수 있는지에 대해 살피고 시적 화자와 시적 대상 간에 드러나는 연민 양상을 심층적으로 고찰하기 위함이다. 또한 우리 사회에서 상호 간의 원만한 감정 교류를 위해서는 인문학의 학습화를 역설한 누스바움의 주장을 선택하여, 백석 시에서 발현되는 연민을 시적 화자가 어떻게 체득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려 한다. 연민이란 타자를 불쌍히 여기는 측은지심에서의 발현으로 선의지나 도덕적 의무의 이행을 갖지 않는다. 이같이 연민은 인간이 갖는 감정 중 사적 욕망이 배제된 감정으로 우리 사회에서 긍정적 의미를 내포한다. 필자는 연민의 구체적인 연구를 위해 백석의 작품 활동이 활발했던 암울한 시기를 반영하지 않을 수 없음을 밝힌다. 이와 같은 이유는 백석의 시편들에 드러나는 쓸쓸함의 기조가 시대적 관점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난 백석의 젊은 시절은 유랑민에 가까웠다. 한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서울과 일본, 만주로 옮겨 다니다 삼수군에서 생을 마친 백석의 삶을 유추했을 때, 그의 시에 표출되는 지식인의 내면 의식은 표현론적 반영과 연결됨을 살필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백석의 내면에 내재된 쓸쓸한 연민의 층위를 네 가지로 나눠 분석하려 한다. 첫째 자기 연민, 둘째 타인을 향한 연민, 셋째 불행을 가하는 대상과 불행을 겪는 대상에 대한 동시적 연민, 넷째 동물과 유생물을 타자한 연민을 도출하여, 백석이 일제의 규범 안에서 연민을 어떤 방식으로 고취하는지 확인하려 한다. 백석의 시편들에서 기억을 재구성함으로써 유년으로의 희구를 지향하는 시적 화자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풍요롭던 유년의 바람은 백석의 현실과 유리됨으로 인하여 애상적 정서가 일어나고, 그것이 연민으로 표출된다. 이러한 연민은 백석의 개인적 측면을 넘어 민중들의 삶의 애환을 대변하는 지식인의 역할을 맡아 왔다. 필자가 위에서 제시한 층위에 관한 연민의 양상을 숙고해 볼 때 백석의 시 세계관은 붕괴된 가족과 민족의 공동체 회복으로 함축할 수 있다. 이는 ‘설어워졌다’, ‘눈을 씻는다’, ‘슳븐력사가있다’, ‘가랑가랑한다’, ‘파리했다’, ‘파란 魂들 같다’, ‘쓸쓸한 마음이다’와 같은 부분에서 백석의 연민의 정서가 민족의 애환과 맞닿아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런 백석 시의 연민에 대한 응시는 자신과 타인 그리고 그의 가시권 안에 드는 관물의 대상에서 자주 노출되어 왔다. 특히, 백석 시의 화자와 시적 대상들은 자유주의와 민주적인 제도권 밖의 인물들로 이산과 가난의 궁핍에서 벗어나지 못한 타자들이다. 일제라는 제도적 설계 안에 갇혀 살아야 했을 백석의 시에 드러난 연민은 어두운 과거를 재인식시키는 효과를 거둔다. 이처럼 본고에서는 백석 시에 드러나는 연민의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백석 시의 연민은 암울한 시대 속 서로 불쌍히 여기며 연대할 수 있는 힘을 갖게 하는 것임을 재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s of compassion in Baek-Seok's poetry.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incorporated Nussbaum's compassion theory into the study for its differentiation from previous studies. It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passion on the readers in his poems and make an in-depth inquiry into the patterns of compassion between the poetic speaker and the poetic object. Arguments made by Martha Nussbaum, who highlighted the learning of humanities for smooth emotional exchanges among the members of society, were introduced in the study to investigate how the poetic speaker learned compassion manifested in Baek-seok's poems by experience. Compassion is a manifestation of pity for others, having no duty for good will or moral obligation. Compassion is a human emotion with private desire excluded, connoting positive meanings to the society. The investigator had to reflect the dismal times when Baek-seok was active with his creative activities in order to investigate compassion specifically as the basic trend of solitude in his poems was influenced by the viewpoints of the times. As a young man, Baek-seok had a journey close to that of a nomad. Born in Jeongju, Pyeonganbuk Province, the poet was not able to settle down in one place and moved around Seoul, Japan, and Manchuria before passing away in Samsugun, which suggests that his inner consciousness as an intellectual expressed in his poems was connected to expressive reflection. The study divided solitary compassion inherent in his inner side into four layers for analysis. The four layers include self-compassion, compassion for others, simultaneous compassion for those who cause misery and those who suffer it, and compassion for animals and living things as others. Based on these layer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ways that the poet promoted compassion within the norm of the ruling Japanese. As the memories were reconstructed in Baek-seok's poems, the poetic speaker was easily found who aspired after childhood. As the rich childhood wish was separated from his reality, however, the sad sentiment was expressed as compassion, which served as an intellectual representing the joys and sorrows of people's lives beyond the poet's personal dimension. When the patterns of compassion were considered carefully regarding the four layers above, his view of poetic world signifies the restoration of collapsed family and national community. This is why his sentiment of compassion including getting sad, washing eyes, having a sad history, full of tears, pale, like blue souls, and sad heart is connected to the joys and sorrows of the people. His gaze at compassion in his poems was often revealed in himself, others, and government-issued articles within his visibility range. The present study arranged the patterns of compassion in Baek-seok's poems with a focus on compassion to be discussed in the body of the investigator's research paper. In his poems, the speakers and poetic objects are outside the institutions of liberalism and democracy, being others trapped in the destitution of separation and poverty. In the poems of Baek-seok that had to live trapped inside the institutional design called the Japanese imperialism, compassion generates an effect of rediscovering the dark past. It was also reconfirmed that compassion in his poems had the power of mutual pity and solidarity each other in the dismal tim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98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00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