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6 0

가야금 경기민요 음률 분석

Title
가야금 경기민요 음률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raditional Temperament of Gayageum in Gyeonggi Folk Song Repertoire : Focusing on the Performances of Ilsun Lee, Jukpa Kim, and Geumyeon Seong
Author
고유동
Alternative Author(s)
Go, You Dong
Advisor(s)
변성금, 안승훈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 전통음악이 서구적인 작곡법을 받아 들인지 80여년이 되어간다. 한국 음악이 다른 장르의 음악을 수용하기 시작하며 드러난 문제점 중 하나가 국악기와 서양악기의 음률이 달라서 발생하는 화음의 불안정함이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 전통음률을 기반으로 제작된 국악기가 평균율으로 조율된 서양악기와 합주를 할 때 종종 발생한다. 전통음률은 이제는 어느 정도 연구가 진행되어 이론으로 정립된 전통음악의 음계나 장단, 시김새, 선율구조 등에 비해 연구가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평균율과 다른 우리나라만의 음률 역시 장단이나 시김새처럼 음악에서 한국적인 맛을 내는 요소임에는 분명하고, 특히 요즘처럼 국악 연주자들에게 평균율과 병행을 요구하는 시기에는 더욱 더 그 중요성이 부각된다. 이러한 전통음률에 대한 연구는 국악계에서 전반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나, 본 연구에서는 수많은 전통음악 중 경기민요의 가야금에만 초점을 맞춰 연구했다. 본 논문에서는 과거 명인들이 인지하던 경기민요의 음률이 평균율과 얼마나 다른지를 알아보기 위해 1928~1960년 이일선, 김죽파, 성금연이 녹음한 고음반의 가야금 음 높이를 측정해 평균율과 비교했다. 또한 음원별로 측정된 모든 출현음을 마디별, 간주별, 연주자별로 나누어 분석했다. 가야금 경기민요 음률과 평균율의 비교를 통해 본문에서 밝혀진 연주자별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모든 연주자가 Re를 평균율보다 반의 반음인 50Cent이상 낮게 연주하고, La를 평균율보다 반음의 1/4정도인 30Cent이상 낮게 연주한다. 또한 Re-Mi의 음정간격을 장2도보다 넓게 연주한다. 세 가지 공통점 외에는 연주자별로 차이가 있었다. 1928년 녹음된 이일선의『이팔청춘가』에서 밝혀진 특징은 다음과 같다. 10번 줄과 11번 줄의 음정을 옥타브 아래보다 낮게 연주한다. La와 Re는 평균율보다 낮고 Mi가 높아 Re-Mi의 음정간격이 장2도가 아닌 단3도에 가깝다. 1931년 녹음된 김죽파의『아리랑잡곡』에서 밝혀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옥타브를 평균율과 유사한 음정간격으로 연주한다. La와 Re는 평균율보다 낮고 Mi는 미세하게 높아 Re-Mi의 음정간격이 장2도가 아닌 단3도에 가깝다. 1932년 녹음된 김죽파의『아리랑』에서 밝혀진 특징은 다음과 같다. 9번 줄과 10번 줄의 음정을 옥타브 아래보다 높게 연주한다. 이일선과 비슷하게 La와 Re는 평균율보다 낮고 Mi가 높아 Re-Mi의 음정간격이 장2도가 아닌 단3도에 가깝다. 1960년 녹음된 성금연의『아리랑』에서 밝혀진 특징은 다음과 같다. 기준음인 6번 줄 Do를 제외한 모든 줄을 평균율보다 낮게 연주하고, 그 중에서도 5번 줄 La를 매우 낮게 연주한다. 8번 줄부터 10번 줄까지의 상대적인 음정간격은 평균율과 비슷하다. Re-Mi의 음정간격은 장2도 보다는 넓지만 다른 연주자들 중 가장 좁다. 또한 다른 음원에 비해 측정된 출현음의 수가 적어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낮은 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연주자와 연주시기에 따른 차이는 있었지만 모두 경기민요의 Sol-La-Do-Re-Mi 5음 음계에서 Re가 평균율보다 반의 반음정도, La가 반음의 1/4정도 낮아 Sol-La와 Do-Re의 음정간격이 장2도보다 좁았고, Re-Mi의 음정간격은 장2도보다 넓으며 심지어 연주자에 따라 Mi음정이 높을 경우 단3도에 가까운 간격으로 인지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It has been over 80 years since Korean traditional music accepted the Western composition method. One of the problems that emerged as Korean traditional music began to accept music of different genres is the instability of harmony caused by the different temperaments between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and Western instruments. This phenomenon often occurs when a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that employs the Korean traditional temperament, plays in an ensemble with an equal-tempered Western instrument. It is true that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Korean traditional temperament, compared to the studies on scales, rhythm patterns, Sigimsae, and melodic structur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of which now exist theories based on empirical data. However, it is clear that Korea's unique temperament, just as the rhythm patterns and Sigimsae, is also an element that gives a Korean taste to the music, and its importance seems to be more evident in an age in which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are asked to use both temperaments. Although many research still needs to be done on the Korean Traditional Temperament in different fiel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study focuses on the temperament of the gayageum in Gyeonggi folk song performances.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temperament in Gyeonggi folk songs, individual pitches of the gayageum performances from old albums recorded by Il-seon Lee, Juk-pa Kim, and Geum-yeon Seong from 1928 to 1960 were measured and compared to the equal temperament. In addition, all the notes measured for each sound source were analyzed by measure, bridge, and player. The similarities between each performer are as follows. All players play Re at least 50 cents(half a semitone) lower than Equal Temperament, and La, 30 cents(one fourth of a semitone) or more lower than Equal Temperament. Also, the pitch interval of Re-Mi is larger than a Major 2nd. There were also several differences between performers.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Lee Il-seon's 『Ipal Youngchunga』, recorded in 1928 are as follows. The pitches of strings 10 and 11 are lower than an octave below. La and Re are lower than the equal temperament and the Mi is higher, making the pitch interval of Re-Mi closer to a minor 3rd than a major 2nd.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Kim Juk-pa's 『Arirang Joggok』, recorded in 1931 are as follows. The distance between octaves are similar to equal temperament. La and Re are lower than equal temperament and Mi is slightly higher, making the pitch interval of Re-Mi closer to a minor 3rd than a major 2nd.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Kim Jukpa's 『Arirang』 recorded in 1932 are as follows. The pitches of strings 9 and 10 are higher than an octave below. As in the case of Ilseon Lee, La and Re are lower than equal temperament and Mi is higher, making the pitch interval of Re-Mi closer to a minor 3rd than a major 2nd.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Sung Geum-yeon's 『Arirang』 recorded in 1960 are as follows. All of the strings except for string 6, tuned to the reference note Do, are played lower than the equal temperament, and among them, the 5th line La is played especially low. The pitch relations from strings 8 to 10 are similar to equal temperament. The pitch spacing of Re-Mi is larger than that of a major 2nd, but it is the smallest among the three players. In addition, the reliability is relatively low because less notes were measured compared to the other players. Therefore, although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layer and date of recording, it has been observed that, among the notes in the Sol-La-Do-Re-Mi Pentatonic Scale used in Gyeonggi folk songs, Re is about half a semitone lower than Equal Temperament, and La is about 1/4 a semitone lower, making the pitch interval of Sol-La and Do- Re smaller than a Major 2nd,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pitch interval of Re-Mi is wider than that of a Major 2nd, and depending on the player it can sometimes be recognized as an interval closer to a Minor 3r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97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581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