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0 0

대학생의 디자인씽킹 경험에 나타나는 전환학습과 사회성에 관한 연구

Title
대학생의 디자인씽킹 경험에 나타나는 전환학습과 사회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ransformative learning and sociality experience in college students' design thinking
Author
이아영
Alternative Author(s)
Lee, Ah-Young
Advisor(s)
안미리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성인학습자로서 대학생은 과거 학령기와 청소년기의 의존적이고 수동적인 학습자 자아개념에서 능동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모습으로 점차 변해간다. 학습에 대한 개념도 텍스트 위주의 지식 습득에서 보다 폭넓은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고 학습자의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서 학습의 의미를 찾고자 하며 이를 바탕으로 학습의 필요성과 학습을 해야 하는 이유, 동기가 부여된다. 즉 학습의 필요성과 학습 태도, 학습의 지속을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어떠한 경험을 제공할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Dewey(1938/2001, p19,47)는‘경험은 학습의 자원이 되고, 경험을 통해 배운다’고 하였다. 학습은‘경험의 재구성’또는‘경험의 재구조화’를 의미하며, 성인학습자는 자기반성과 성찰을 통해 스스로 형성한 편견이나 고정된 사고방식, 왜곡된 인식에 전환이 일어나고 새로운 개념과 관점을 자신의 삶에 통합해간다(Mezirow, 2006).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대학생은 자신에게 부여되는 사회적 역할과 책임에 적절한 진로를 스스로 탐색하여 잠정적으로 선택하는 시기이다(진성희 외, 2015; Super, 1980). 이에 학습을 지속하고 학습의 필요성을 느끼게 해주는 학습의 맥락은 학습자를 둘러싸는 실생활이 되어야 하며 문제 중심적 과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Mezirow, 2006). 본 연구에서는 인간 중심의 사고로 삶의 전반적인 문제를 다루는 디자인씽킹을 성인학습의 관점에서 조명하고, 대학생의 디자인씽킹 경험의 본질적 의미와 전환학습과 사회성 측면에서의 그 의미와 특징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대학생은 디자인씽킹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했는가?, 둘째, 대학생이 디자인씽킹을 통해 경험한 전환학습과 사회성은 무엇인가?, 셋째, 대학생의 디자인씽킹 경험이 가지는 성인학습으로서의 의의는 무엇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대학생의 디자인씽킹 경험의 본질적 의미와 전환학습, 사회성 측면에서의 의미 재구성, 재구조화를 위해 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2017년 H 대 디자인씽킹 교육을 이수한 41명 중 10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당시의 교육 경험의 의미를 되짚고, 현재 2020년에 이르기까지 디자인씽킹 경험이 학업과 진로, 대학생활과 사회생활, 대인관계 형성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디자인씽킹 교육 당시의 활동사진과 성찰일지, 동영상 자료를 연구 참여자와 함께 살펴보고 디자인씽킹 교육의 과거의 경험적 의미와 현재 삶에서의 경험적 의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전사하여 115개의 유의미한 진술로 분류하고 7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디자인씽킹 경험의 본질적 의미에 관한 주제는 다음과 같다. ①사고방식과 고정관념의 변화, ②공감, ③새로운 방식의 아이디어 제시, ④자기표현과 타인 배려의 공존, ⑤개인적 경험과 가치관을 공유, ⑥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학습태도를 지속하기 위한 노력, ⑦실천적 지식을 위한 학습과 진로 추구가 있다. 115개의 유의미한 진술을 주제군으로 범주화하여‘사고의 전환, 자기표현, 학습과 진로’의 디자인씽킹 경험의 본질적 의미 3가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전환학습과 사회성, 성인학습의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대학생의 디자인씽킹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구조화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공감을 통한 인간 중심의 문제 해결을 위한 분석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의 조화, 다양한 사람들과의 소통과 협업을 강조하는 디자인씽킹 교육이 개인의 인지적 전환과 생각습관, 의미구조의 전환의 경험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시사점을 주고 있다. 둘째, 디자인씽킹 경험은 교육 이후 대학생의 전공 학습과 진로 탐색의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가 컸음을 알 수 있다. 디자인씽킹 경험은 교육 이후 논리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의 융합을 전공 학습 시 활용, 학습자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아이디어의 제시, 능동적 학습 참여, 실제 문제 해결 중심적 과제 선호,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기여를 고려하는 진로 탐색 등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디자인씽킹 경험은 대인 관계에서 친밀감을 형성하거나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 타인 이해와 수용도 그리고 갈등 상황에서 해결안을 도출하는 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디자인씽킹 경험은 참여자들의 생각습관과 의미 구조의 변화와 전환에 영향을 주었으며, 초기 성인기로 진입함에 따르는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 전공 학습과 대인 관계, 진로 탐색 등의 삶의 여러 자리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이를 실천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디자인씽킹 교육 당시와 연구를 수행하는 사이의 시간적 차이로 인해 보다 더 많은 양의 경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데에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환학습과 사회성, 성인학습의 관점에서 디자인씽킹 경험을 재구성함으로 경험의 본질적 의미에 보다 더 면밀히 다가가려 했다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키워드: 대학생, 디자인씽킹, 전환학습, 사회성, 안드라고지, 성인학습; As an adult learner, college students gradually shift from being dependent on their past learning as a passive adolescent learner and become more active and self-directed. The goal of learning to find its true meaning when solving a learner’s problems and meeting the needs of society, rather than by being acquired by text. This goal also is motivated by the need for learning. Therefore, the student’s personal need for learning, learning attitudes, and experiences to help continue their learning are important issues. Dewey(1938/2001, p19,47) stated that "experience becomes a resource for learning, and we learn from experience". With this perspective, it can see that learning means reconstructing experiences. Adult learners use self-reflection to convert themselves to change their prejudices, fixed ways of thinking, and distorted perceptions. Then, they incorporate new concepts and perspectives into their lives(Mezirow, 2006). Young adults in college are at a stage where they decide on their career paths that are appropriate to their social roles and responsibilities(Jin, 2015; Super, 1980). The context of learning, which continues learning processes and makes the learner feel that they should continue learning should surround learners in their everyday lives and become a problem-centered task(Mezirow, 2006). This study covers the overall issues of life from an adult-learning perspective with design thinking and closely examines its essential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that college students experience, in terms of their transformative learning and social nature. To this end, there are three main questions asked in this study. First, what kind of experiences did college students have with design thinking? Second, through design thinking, what are the transitions and social experiences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Third, what is the significance of adult learning through design thinking experiences? This study conducted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o find the essential meanings and transitions in learning of college students through design thinking experiences and to reconstruct the terms of sociality. Ten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41 people who completed the H University Design Thinking Education in 2017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to see how design thinking influenced their studies, career choices, school and social liv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2020. To find the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docume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value that design thinking had on college students throughout their academic careers, in terms of their transformative learning and sociality. Through this, a total of 115 statements were transcribed and classified, then categorized into seven topics. These seven topics are changes of stereotypical thinking and the mindset, empathy, presenting new ideas, the coexistence of self-expression and caring for others, sharing personal experiences and values, making efforts to maintain an active and progressive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practical knowledge while pursuing a career. Through the categorization of the 115 statements into subject groups, three types of essential concepts of design thinking experiences were made in conclusion—the conversion of thought, self-expression, and the learning and career paths of the students. These concepts were reconstructed through the perspectives of transformative learning, sociality, and adult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design thinking education provides an experience of human-centered problem solving with the usage of empathy and harmonizes intuitive and analytical thinking. It also emphasize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made by various people. With these experience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ognitive habits, thinking habits, and semantic structure of college students transformed. Second, after the design thinking education, it was shown that the training had positive effects on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learning about their major and their career exploration. After training, their design thinking experiences influenced their fusion of logical and intuitive thinking, their preferences for real problem solving-oriented tasks, their considerations of past social contributions, their career paths by social issue problem-solving, their presentations of learner-driven and active ideas, an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Third, the students’design thinking experience was shown to be effective in creating intimacy and expressing oneself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inding solutions in conflicts, and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t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the design thinking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influenced the transformation of their thinking habits and meaning structures. It also showed that these students who have entered early adulthood continued to add new meanings in their lives and practice them, such as when learning about their maj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areer exploration, and fulfilling social responsibilities. Due to the time gap between the design thinking education and research conduction, there were difficulties in collecting more data. However,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itself as I was able to approach the essential meanings of experiences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design thinking experiences, with the perspectives of transformative learning, sociality, and adult learning. Keywords: College students, Design thinking, Transformative learning, Sociality, Andragogy, Adult learning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95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592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