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2 0

그릿을 통한 초등학교 온라인 무용교육 프로그램 탐색

Title
그릿을 통한 초등학교 온라인 무용교육 프로그램 탐색
Other Titles
An Investigation into Online Danc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through Grit Cultivation
Author
주리아
Advisor(s)
고현정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빠른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넘쳐나는 정보와 디지털로 인해 유해요소에 초등학생 학습자는 그대로 노출되어 충동성, 학습동기 부족, 자제력 결여 등의 다양한 부작용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로나19 라는 전염병이 유행하면서 학교, 학원을 가지 못하는 상황에 놓였다. 정부는 온라인 개학을 진행하면서 학습자들이 집에서 온라인 교육받길 권고하였으며, 온라인 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 되어버렸다. 필수적으로 온라인 교육을 해야 하는 학습자들은 매체로 인해 얻은 부작용을 내재적 동기, 끈기, 회복성, 성장을 뜻하는 그릿 이라는 개념을 통해 줄일 수 있음을 논의한다. 이러한 그릿은 무용교육에서 결과보다 과정에 중점을 두는 창의적 측면에서도 연관성이 나타나며 온라인 무용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력을 자극하여 그릿을 확장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실기 위주의 대면 수업을 진행하였던 무용교육은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선호하지 않았던 온라인을 활용한 무용교육 진행하여야 했지만 급변한 상황으로 지도자들은 완벽히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해서 교육을 진행하게 되었으며, 학습자들은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못하게 되는 한계가 있다. 하여 무용교육을 통해 창의력을 발현하며 잠재능력을 끌어주는 그릿을 통한 초등학생 온라인 무용교육프로그램 탐색의 필요성을 인지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교육을 통해 그릿이 어떻게 확장될 수 있는지, 무용교육이 그릿 함양 온라인 교육을 통해 어떻게 확장하는지, 그릿을 함양시키기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대한 연구 문제를 제시한다. 연구 문제의 결론을 위해 Duckworth,A의 저서 바탕으로 장기적인 목표 달성에 대한 집요함과 열정이라고 하는 그릿을 통하여 선행연구와 문헌을 참고하여 고찰하였으며 시공간을 통해 확장하게 되는 온라인 무용교육은 내재적 동기를 활용하여 온라인 그릿을 통한 초등학생 무용교육프로그램은 총 4단계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1단계인 동작 제시 단계에서 교수자는 온라인을 통해 학습자에게 무용 동작을 제공하여 학습 동기유발로 내재적 동기를 고취 시킬 수 있다. 2단계 목표설정 단계는 학습자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그 과제와 목표를 수행을 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 주의 집중을 위해 끈기가 함양될 수 있다. 3단계 응용하기 단계는 무용교육의 목표라고도 하는 창의적 가치 자극을 통해 학습자가 설정한 목표와 관련성을 높여 성장이라는 요소를 고취 시킬 수 있다. 마지막 4단계 공유하기 단계는 학습자가 수행한 과제 및 목표를 기록한 과정을 교수자나 다른 학습자에게 온라인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공유하면 교수자는 구체적이고 자세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 학습자는 학습에 대한 좌절감 등을 극복할 수 있는 회복성이 함양될 수 있는 단계를 온라인으로 구성하였다. 이처럼 구성된 그릿을 통한 초등학생 온라인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수행해 나아가는 단계를 통해 학습을 실행할 때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그 자체에 흥미를 끌어주고 학습과 관련성을 높여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진행하며 그릿 확장에 기여한다. 또한 디지털 매체의 노출로 얻은 부작용으로 인해 학습에 집중을 못 하며 학습의 흥미도가 낮은 학습자들에게 내재적 동기를 통한 그릿을 활용하여 잠재능력을 깨워주며 창의력 가치를 키워 전인적 인간으로 성장하는데 계기가 되고자 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93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587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ERFORMING ARTS(공연예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