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9 0

청년 1인가구의 즐거운 삶을 위한 스마트 공유주거 커뮤니티 모델 개발

Title
청년 1인가구의 즐거운 삶을 위한 스마트 공유주거 커뮤니티 모델 개발
Other Titles
A Smart Community Model for Shared-Housing Supporting Fun Life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uthor
양서정
Alternative Author(s)
Yang, Shu Ting
Advisor(s)
김미정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0~30대 1인 가구는 전체 1인 가구 중 38.3%를 차지하고 있는데, 가족개념과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라 1인 가구는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이다. 대도시에서 생활하는 청년 1인 가구들은 주로 출퇴근 시간을 줄이기 위해 직장 인근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아 주거비 부담이 높을 뿐만 아니라 주거관련 인프라가 부족하여 생활이 불편한 경우가 많다. 청년 1인 가구는 혼자 즐기는 일상이 대부분으로, 이웃 관계는 다소 서툰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 유지가 강조되면서 생활적인 측면에서는 공동체가 점점 더 약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30대 직장인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주거실태와 일상생활, 스마트 커뮤니티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청년 1인 가구의 문제점과 요구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페르소나 기반 시나리오와 공유주거 커뮤니티 모델을 제안하였다. 청년 1인 가구들이 혼자 살아도 함께 즐겁게 살 수 있는 스마트 커뮤니티 서비스들을 제안하여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 대상은 20~30대 1인 가구로 제한하였다. 분석에는 총 142개의 설문지가 사용되었으며, 데이터는 SPSS 24를 사용한 독립 표본 T 검정 및 교차 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조사결과, 청년 1인 가구의 주거유형은 다세대주택이 가장 많았고 주거 소유 형태는 월세가 가장 많았다. 이웃교류의 필요성은 약하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청년 1인 가구들이 지금 즐기고 있는 여가생활이 친구 만나기 등과 같이 실제 사교 활동은 오히려 많았다. 건강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는 대부분 청년 1인 가구는 건강을 위해서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있지만 주거지 내 운동관련 시설은 많이 부족했고 따라서 선호하는 커뮤니티 공간 중에서도 운동 시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혼밥은 청년 1인 가구의 일상이 되었지만 요리 빈도가 매우 낮았다. 조사대상자 중 대부분은 직장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많은 활동을 하고 있었다. 청년 1인 가구 현 거주지 대부분이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지 않았다. 향후 공유주거에서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는 스마트 커뮤니티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 스마트 커뮤니티 선호도는 높게 나타났다. 페르소나 기반 시나리오 개발을 통해 스마트 공유주거 커뮤니티 모델은 안전성, 건강성, 편리성, 쾌적성, 즐거움 다섯 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청년 1인 가구들은 삶의 기본적 생활요구 중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주거지 선택할 때에도 이를 고려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주택은 기본적인 사항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청년 1인 가구들은 기본적으로 혼자 생활하여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데 현재 코로나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까지 강조되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비 대면으로 이웃과 교류하고 친분을 쌓을 수 있는 스마트 커뮤니티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페르소나 기반 사나리오는 청년 1인 가구를 대표하는 유형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스마트 공유주거 커뮤니티 모델은 청년 1인 가구의 요구를 구체적으로 반영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 제안한 스마트 공유주거 커뮤니티 모델이 향후 청년 1인 가구 위한 커뮤니티 개발 시 기초 모델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30s account for 38.3% of the total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number is steadily increasing due to changes in the family concept and social structure. Young persons usually enjoy daily life alone, and neighborhood relations in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are often somewhat awkwar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mart community model for shared-housing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Thus, we investigated the residential condition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identified their daily living patterns. Smart community preferences are also investigated.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limited to those living in a single-person households of 20-30s. A total of 14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 T tests and cross-analysis using SPSS 24. The results shows that multi-family housing was the most common type of housing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while housing ownership was the most common type of monthly rent. ‘Safety’, ‘health’, ‘convenience’ and ‘comfort’ are important parts of their life as basic living needs although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live alone. Most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did not interact with their neighbors at all in their living environment, but they had more social activities such as meeting friend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Persona-based scenarios and a smart community model were developed for shared-housing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Persona-based scenarios, the smart community model for shared-housing was presented in five categories: ‘safety’, ‘health’, ‘convenience’, ‘comfort’ and ‘fun’.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re basically solitary living alone, but they are facing a new normal where social distance is emphasized due to Covid-19 pandemic. A smart community that young people in single-person households can interact with neighbors and makes friends while not being contact could be one of potential for overcoming it. In particular, the proposed model reflects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young people and supports their fun life through technology adoption. The smart community model for shared-housing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model for developing communiti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fu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87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36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