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남-
dc.contributor.author이주희-
dc.date.accessioned2021-02-24T16:35:18Z-
dc.date.available2021-02-24T16:35:18Z-
dc.date.issued2021. 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795-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416en_US
dc.description.abstract청소년을 바라보는 관점이 변화함에 따라 청소년 사회참여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고 있다. 이는 청소년이 지역사회에 관심을 갖고 참여 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지게 되어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능동적 존재로 간주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회 문제에 참여하는 건강한 사회구성원이 되기 위해 사회 시선에 대한 의식, 소극적인 자세, 인정 욕구에 대한 부정적인 행동을 사회참여에 대한 흥미와 참여 활동으로 경험함으로써 해결해야 한다. 따라서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고 해결하는 과정의 방법은 교육에서부터 실천되어야 할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입식 수업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통합적 사고력을 키우기 위한 교육 방향과 토론 수업, 체험 활동에 참여하는 교육 방법과 내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술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체험한 삶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회참여 미술교육을 제시한다. 사회참여 미술은 현대 사회의 현실과 문제를 이해하고 미술수업을 통해 참여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참여 미술교육이 교수학습 방향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이끌어가는 학습 능력을 기르기 위해 자신의 학습 과정을 친구들과 함께 성찰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 즉, 미술과 다양한 분야를 연계하고 사고를 확장시키는 프로젝트학습(PBL)을 제안한다. PBL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실제 생활의 문제를 함께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아가는 모형이다. 이 학습은 과정 중심의 수업이 전개되며 이를 진행하는 시간 속에서 학생들은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공동의 발언과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스스로가 반성하여 성찰할 수 있으며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여 평가하게 되는 공동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앞에서 제시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가 미술교육을 통해 실제적인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일원으로서 참여방법을 습득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에 있다. 또한, 이를 위해 프로젝트학습 모형을 활용한 사회참여 미술수업 지도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사회참여 미술교육 및 PBL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여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수학습지도안의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또한, 교과서 분석을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참여 미술수업의 형태를 알아보고 그 한계점을 기반으로 교수학습지도안을 구성하였다. 그 구성내용은 첫째, 주제에 대한 선정은 ‘사회참여와 예술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3가지 요소를 통합하는 기준, 둘째, 수업의 차시 과정은 ‘프로젝트 수업 모형’ 단계와 ‘PBL 설계’ 요소를 바탕으로 기준, 셋째, 평가는 ‘PBL 설계’ 요소를 재구성하여 선생님과 학생의 평가지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프로젝트학습(PBL) 모형을 활용한 사회참여 미술교육 지도방안은 총 8차시의 수업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수업에서는 첫째, 사회참여 미술수업을 통해 자신과 세계의 조화를 모색하고 사회참여 방안을 탐색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둘째, 주체와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창의적으로 작품을 제작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셋째, 활동 과정 중에 작품의 가치를 판단하고 성찰하는 능력과 공동체의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는 목표를 도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도방안이 실제 고등학교의 현장에 적용되어 학습자들에게 실질적인 사회와 예술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고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경험의 제공함으로써 삶이 더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the perspective of the youth is changing, the interest in the social participation of youth is increasing. This means that the teenagers are given the right to be interested in and participate in the local community and are regarded as the agents that contribute to the social development. In order to become healthy participants in social problems, they need to resolve their problems such as awareness on social suspicions, passive attitudes, and negative behaviors against the desire for recognition through the interest in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actu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erefore, the process of paying attention to and resolving social problems is a part to be practiced from education. Nevertheless,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is still focusing on the passive, "grinding" instruction method, which suggests they need the new educational direction, methods and contents such as discussion classes and experiential activities to develop integrated thinking skills. To complement such activities, this study proposes the social participation art education in which the students can experience and solve the problems of life in the art classes. The social participation art can have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contemporary social phenomena and problems and seek ways to participate through art. In order to develop self-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in the teaching/learning direction, such social participation art education can reflect on and develop one's own learning process, and propose the project-based learning (PBL) that connects the art with various fields and expands the scope of thought. PBL is a learner-centered education model that incorporates real-life problems to solve personal problems. In this study, course-oriented classes are developed, and students have an opportunity to speak and participate with an active attitude during the course of the course. It is a co-learning where students can reflect on their own behaviors to share and evaluate each other's opinions. Based on the contents presented abo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imulate the students to learn participation methods as a society member in solving practical social problems through art education. In addition, for this purpose, it suggests a guidance plan for social participation art classes using the project learning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ocial participation art education and PBL to used it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roposed in the study. In addition, through the textbook analysis, the current forms of social participation art classes were investigated, and a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lan was constructed based on their limitations. The contents of the composition are: first, the selectio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standard of integrating the three elements that app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art'; second, the course of instruction based on the 'project class model' stage and the 'PBL design' elements; third, the evaluation based on the evaluation papers of teacher and student by reconstructing the 'PBL design' elements. A plan for social participation art education using this project-based learning (PBL) model was presented as a total of eight classes. In these classes, first, through the social participation art education, students can develop their ability to seek harmony between themselves and the world and explore ways to participate in the society. Second, they can develop the ability to creatively produce works by expanding the subject and medium in various ways. Third, they can cultivate an ability to judge and reflect on the value of the work and an attitude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during the course of the activity. If the teaching plan developed in this study is applied to the actual high school field,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have an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the real society and art, as well as an experience to solve social problems so that their life can be more closely connected to them.-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프로젝트학습(Project-Based Learning) 모형을 활용한 사회참여 미술수업 지도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Social Participation Art Class Guidance Plan using Project-Based Learning Model-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주희-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Joo Hee-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예체능학계열-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미술교육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