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1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성문-
dc.contributor.author김수진-
dc.date.accessioned2021-02-24T16:35:07Z-
dc.date.available2021-02-24T16:35:07Z-
dc.date.issued2021. 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786-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439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어 중급 교재의 정표화행과 응대화행 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올바른 교육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교재에 나타난 정표화행과 그에 대한 응대화행을 분석하여 공통적인 양상을 발견했고 이것을 토대로 보완이 필요한 내용을 제시했다. 먼저 본고는 한국어 정표화행의 교육적 가치를 밝혀 본 연구의 필요성을 드러냈다. 정표화행은 화자의 감정을 표현하여 청자의 감정 이입을 유발하려는 언어 행위로서 언어를 통한 감정 소통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한국어 정표화행은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로 감정을 소통하기 위해 배워야 하는 기본 화행이다. 본고는 이러한 정표화행의 감정 표현 기능에 중점을 두고 심리학적 분류를 한국어 교재 분석에 최초로 적용한 연구로서 의의를 가진다. 심리학적 분류는 인간의 여섯 가지 기본 감정(기쁨, 놀람, 슬픔, 분노, 공포, 혐오)으로 한국어 정표화행 유형을 분류한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분류를 활용하여 한국어 중급 교재에 나타난 정표화행 양상을 분석했다. 심리학적 분류를 이용한 분석은 한국어 교재에서 정표화행이 어떠한 감정 유형을 주로 실현하는지, 다양한 감정 유형을 표현하는지 등 정표화행의 감정 표현 기능에 초점을 맞춘 양상을 보여준다. 또한 본고는 정표화행이 청자의 감정 이입을 요구하는 화행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청자의 대응을 보여주는 정표화행의 응대화행 역시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정표화행의 응대화행은 선행 정표화행이 표현한 감정에 공감하는지 여부에 따라 공감화행과 비공감화행으로 구분했다. 이러한 분류로 교재에 나타난 정표화행의 응대화행을 분석함으로써 선행 정표화행에 대해 적절한 응대를 제시하는지 교육 실태를 살펴봤다. 분석 결과 한국어 중급 교재의 정표화행은 주로 긍정적 감정을 표현하며 다양한 유형의 감정을 다루지 못했다. 긍정적 감정을 표현하는 기쁨화행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기쁨화행을 실현하는 형태 역시 ‘고맙다’와 같은 특정한 감정 동사를 많이 사용하는 등 다양성이 떨어졌다. 또한 응대화행은 정표화행에 비해 교재에 나타나는 빈도가 확연히 낮았다. 이는 곧 한국어 교재가 정표화행을 제시할 때 요구화행으로서의 기능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또한 교재 대화문을 통해서는 정표화행의 발화 목적인 청자의 감정 이입 여부를 알아내기 어렵다는 실태를 보여준다. 따라서 본고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교육 방향을 제언한다. 첫째로, 한국어 교재에 정표화행을 통한 감정 표현의 다양성을 높여야 한다. 교재를 구성할 때 정표화행을 활용해 다양한 감정 표현을 다루어야 외국인 학습자가 다양한 감정을 한국어로 표현하는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둘째로, 교재에 정표화행의 응대화행 비중을 늘려야 한다. 교재에 나타난 적절한 응대화행을 통해 학습자가 한국어 감정 표현을 들었을 때 한국어로 적절히 응대하는 법을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정표화행과 응대화행 양상 분석을 통해 교육 실태를 살펴보고 바람직한 교육 방향을 제언했다. 한국어 정표화행 교육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정표화행의 감정 표현에 주목해 심리학적 분류를 적용한 본 연구가 보탬이 되길 바란다. 또한 교재를 구성하는 데 참고 자료로 쓰여 향후 출판될 한국어 교재들이 한국어로 감정을 소통하는 대화를 다양하고 비중 있게 다루기를 희망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한국어 중급 교재의 정표화행 교육 실태 분석-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Educational Status of the Expressive Speech-acts for Intermediate level Korean Textbook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수진-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Soo Ji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어문학계열-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