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6 0

기계 번역의 오류 유형 분석과 학습자들의 오류 수정 전략

Title
기계 번역의 오류 유형 분석과 학습자들의 오류 수정 전략
Other Titles
Error Types in Machine Translation and Learners' Error Correction Strategies: Focus on Genre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uthor
윤채원
Alternative Author(s)
Yoon, Chae Won
Advisor(s)
전유아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영어 교육에서 기계 번역을 활용한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고자 고안되었다. 현재 기계 번역의 품질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유창성과 정확성이 높아졌으며 기계 번역기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학습자들 역시 영어 학습에서 각각의 목적과 필요에 맞게 기계 번역기를 사용하고 있다. 기계 번역의 품질이 향상 되었다고 하나 여전히 정확하지 않거나 어색한 표현 등 오류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해 일부 학습자들은 기계 번역의 오류를 인지하지 못하고 기계 번역의 결과물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는 오류가 아닌 부분을 수정하여 오히려 기계 번역의 결과물의 질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학습자들에게는 기계 번역에서 나타난 오류를 찾고 다양한 수정 전략을 활용하여 수정할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되며 교수자들은 기계 번역 활용 방안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영어 교과서 지문에 대한 기계 번역의 오류 유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중학교 학생 97명을 대상으로 어떤 수정 전략을 사용해서 기계 번역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지와 실제 수정 능력과 확신도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세부적으로는 오류 유형별, 장르별, 영어 성취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기계 번역의 오류 형은 ‘Mistranslation > Grammar error > Word Order error’ 순서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는 ‘Word error > Grammar error > Phrase error > Sentence error > Word Order error’ 순서였다. 둘째, 학습자들은 오류 유형별로 수정 능력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오류 수정 능력은 설명문(Expository)보다 이야기(Narrative) 문제에서 더 높았으며 영어 성취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습자들이 장르별 오류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수정 전략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상위 집단과 중위 집단의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배경지식이 수정 능력에 영향을 끼쳤다. 넷째, 학습자들이 스스로 인지하고 있는 수정 능력보다 실제 수정 능력이 더 높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기계 번역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가장 많은 오류 유형은 ‘Mistranslation’ 이지만 이를 기계적인 결함으로만 생각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입력된 원문의 특성에 따라 기계 번역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면서 교수자들은 이러한 내용을 유의점으로 다루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습자들은 문법 오류 수정 능력이 낮으며 수정 과정에 어려움을 느끼기 때문에 정확한 문법 개념의 정립과 문법 오류 수정 능력을 향상시켜줄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자들은 오류를 수정할 때 글의 장르를 구별하지 않지만 언어적 특성과 마찬가지로 장르적 특성에 따라 기계 번역의 오류 유형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장르적 특성을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학습자들은 배경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배경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하며 다른 수정 전략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교수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습자들이 스스로 가지고 있는 수정 능력에 대해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정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한 이유는 부족한 배경지식, 활용 가능한 전략 부재 등이 원인일 수 있기에 학습자들이 체계적으로 오류 수정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pose an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machine translation(MT) in English education. At present, the quality of MT has increased fluency and accurac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use of MT tools has become common. Likewise, Korean learners are also using them for their purposes and needs in English learning. Although the quality of MT has improved, it still shows errors such as incorrect or awkward expressions. As a result, some learners tend not to recognize errors in MT and accept the results of MT as they are. Also, it may result in poor quality of MT by correcting parts that are not actually errors. Therefore, learners are required to be able to find errors and utilize various correction strategies, and instructors need to guide how to utilize MT. In this study, the type of error in MT for the text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was analyzed. In addition, 97 middle school students were examined to see what correction strategies were used to correct errors in MT an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correction ability and the degree of certainty. In detail, a difference by error type, genre, and level of English achievement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error types of MT appeared in the order of 'Mistranslation > Grammar error > Word Order error', and in detail, the order of 'Word error > Grammar error > Phrase error > Sentence error > Word Order error'. Second, learner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ability to correct by error type. In addition, the ability to correct errors was higher in the questions of narrative than of the expository, and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English achievement.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rrection strategies used by learners in the process of correcting errors for each genre, but background knowledge had an effect on correction ability for learners in the upper and middle groups. Fourth, the actual correction ability was higher than the self-perceived correction ability of learners. The suggestions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 type of error that can appear in MT is 'Mistranslation', but it can be unreasonable to think of it as a mechanical defect. Recognizing that errors may occur in M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text, instructors should treat these contents as points of caution. Second, learners have low grammar error correction ability and feel difficult in the correction process, so they need to improve their ability to correct grammar errors and establish accurate grammar concepts. Third, learners do not distinguish between genre of text when correcting errors, but it is necessary for learners to recognize genre characteristics as the types of error in MT may vary according to genre characteristics like linguistic characteristics. Fourth, learners tend to actively use background knowledge, so it is essential to teach them how to build various background knowledge and to use other correction strategies. Fifth, learners should be able to have confidence in their own correction abilities. The reason for lack of confidence may be due to insufficient background knowledge and lack of available strategies. Therefore, it is crucial to improve confidence by instructing learners to systematically correct error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78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588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