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9 0

무형식학습을 촉진하는 학습지원환경의 개념적 모형 개발 :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Title
무형식학습을 촉진하는 학습지원환경의 개념적 모형 개발 :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Developing a conceptual model of learning environment for facilitating informal learning : focused on Millennial Generation
Author
조용균
Alternative Author(s)
Cho, Yong Kyun
Advisor(s)
송지훈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밀레니얼 세대 관점에서 이들의 무형식학습을 촉진하는 조직 특성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 밀레니얼 세대의 무형식학습을 촉진하는 학습지원환경의 개념적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이들 세대를 위한 학습지원환경 구축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밀레니얼 세대가 학습에 참여하는 동기는 무엇이고, 선호하는 무형식학습 방법은 어떠한지를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동차 제조업에 종사하며 1980년부터 1994년 사이에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은 학습참여 동기 및 무형식학습 방법에 대한 측정 도구와 무형식학습을 촉진 혹은 저해하는 조직 특성에 대한 개방형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총 201부의 유효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측정 도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Window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군집분석 그리고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05를 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개방형 질문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학습지원환경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 도출한 구성요소를 토대로 텍스트 분석, 테마 분석, 범주화의 세 단계를 거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밀레니얼 세대를 학습참여 동기 수준에 따라 유형화한 결과 '학습추구형' 집단, '학습소극형' 집단, '목표추구형'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특히 1990년대 밀레니얼 세대는 1980년대 밀레니얼 세대와 비교할 때 목표추구형에서 더 많은 분포를 보였다. 같은 밀레니얼 세대 내에서도 학습참여 동기에 따라 차별화된 특성을 보이므로 이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습참여 동기 수준에 따라 유형화한 세 집단 간 선호하는 무형식학습 방법을 비교한 결과, '목표추구형' 집단과 '학습소극형'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학습추구형' 집단과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밀레니얼 세대가 인식하는 무형식학습을 촉진 혹은 저해하는 조직 특성 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밀레니얼 세대는 스스로 자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회사 차원의 지원이 제공되고, 리더 및 주변 동료의 지지와 더불어 업무와 유관된 양질의 컨텐츠가 제공될 때 무형식학습이 촉진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과도한 업무량으로 학습시간이 부족하고, 일터에서의 학습을 부정적인 인식으로 바라보며, 리더 및 동료와의 의사소통이 어려운 수직적인 조직문화, 그리고 학습을 위한 컨텐츠가 부족한 것 등을 무형식학습을 저해하는 조직 특성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밀레니얼 세대가 인식하는 무형식학습을 촉진 혹은 저해하는 조직 특성 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밀레니얼 세대의 무형식학습을 촉진하는 학습지원환경의 개념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개념적 모형은 밀레니얼 세대의 인식을 조사하여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한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학습지원환경 구축의 실무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일한 세대에 속하더라도 세대 내부에는 다양성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밀레니얼 세대에게 효과적인 학습지원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선 학습참여 동기 등 이들 세대를 좀 더 세분화하여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밀레니얼 세대가 인식하는 학습지원환경이란 인적 차원, 인프라 차원, 제도 차원, 조직문화 차원을 전부 포함하기 때문에, 학습지원환경을 구축함에 있어서 어느 한 가지 측면이 아니라 동료 및 리더의 지원, 인프라의 제공, 관련 지원제도 수립, 학습을 중시하는 조직문화 조성까지 아우를 수 있는 종합적인 측면의 접근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rganizational factors that facilitate their informal learning from Millennial Generation's perspective an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building a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these generations by developing a conceptual model of a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informal learning. In addition, this study further looked at what motivates Millennial Gener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and what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Millennial Generation prefers.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targeting Millennial Generation who were born between 1980 and 1994 in the domestic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Questionnaire surveys consisted of measuring tools for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and also open questions about organizational factors that facilitate or impede informal learning. A total of 201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using Window SPSS 20.0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based on .05. Furthermore, the data collected through open questions are analyzed in three steps: text analysis, theme analysis, and categorization based on components derived from a literature review of a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classification of Millennial Gener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resulted in the classification of 'learning pursuit' group, 'learning passive' group, and 'goal pursuit' group. Especially in the 1990s, which showed more distribution in 'goal pursuit' group compared to Millennial Generation in the 1980s. Even within the same Millennial Generation, it showed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it was necessary to take an approach considering this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Second, a comparison of preferred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between three groups, classified by the level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oal pursuit' group and 'learning passive' group, but the difference from the 'learning pursuit' group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analysis of organizational factors that facilitate or impede informal learning recognized by Millennial Generation showed that they recognized that it could facilitate informal learning when company-level support is provided and quality learning content is provided with the support of leaders and colleagues. On the other hand, they recognized that the organizational factors of the lack of learning time, the negative perception of learning in the workplace, the vertical organizational culture tha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leaders and colleagues, and the lack of content for learning are perceived as organizational factors that hinder informal learning. Fourth, based on the analysis of organizational factors that facilitate or impede informal learning recognized by Millennial Generation, this study developed a conceptual model of a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informal learning of Millennial Generation. This conceptual model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developed by based on the perceptions of Millennial Genera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build of a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Millennial Generation through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diversity within the generation can exist even if it belongs to the same 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take a more granular approach to these generations, such as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in order to build an effective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Millennial Generation. Second, since a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recognized by Millennial Generation includes all aspects of human, infrastructure, system,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 comprehensive approach is needed to build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not one aspec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76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598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