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건우-
dc.contributor.author엄운룡-
dc.date.accessioned2021-02-24T16:33:52Z-
dc.date.available2021-02-24T16:33:52Z-
dc.date.issued2021. 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72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5851en_US
dc.description.abstract국 문 요 지 공동주택의 조경관리는 시공 이후의 관리단계에서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이 필요하다. 특히 2000년대 말부터 등장한 타워형 아파트는 외부공간을 극대화하여 모든 주차공간이 지하로 들어가면서 아파트단지 내 건축물을 제외한 외부공간은 조경 식재를 통해 차별화 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인공적인 환경요소가 많은 공동주택지역에서의 식재는 사후관리를 적절히 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생장할 수 없다. 해서 수목전정은 공동주택의 가치를 올려주는 교목들의 형상과 아름다움을 유지시켜주는 꼭 필요한 공정이며 고급 공동주택 일수록 주민들의 관심이 급증하였다. 그러나 공동주택의 수목전정에 대하여 아직까지 주민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어떤 이미지를 좋아하고 선호를 느끼는지 연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동주택 주민들의 단지 내 수형별 수목전정에 대한 선호도와 인식을 분석하여 주민들이 어떤 이미지를 선호하는지 살펴보고 주민들의 만족시킬 수 있는 수형별 수목전정 연출기법을 모색하여 향후 공동주택 조경 관리의 참고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거주민들은 수목전정이 필요하다고 나타났고 수목전정이 경관에 영향을 끼친다고 느끼고 있었다. 선호하는 수형은 중전정이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며 약전정이 뒤를 이었다. 강전정은 선호하지 않고 있었다. 중전정의 경우 본연의 수형과 중가지가 그대로 유지 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하고 생각되며 약전정의 경우 잔가지가 많으나 수형이 살아있기에 주민들이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경관이미지로는 강전정을 제외한 9가지 유형 모두에서 ‘자연적이다’라는 이미지가 나타났으며 약전정에서는 ‘상쾌하다’는 이미지가 나타났다. 강전정, 중전정, 약전정 모두 ‘아름답다’라는 이미지가 중복되었고 강전정에서는 ‘단순하다’는 이미지가 유일하게 나타났다. 이처럼 수형별로 거주민이 느끼는 수목전정 경관이미지가 하나의 형용사만 나타나거나 중복되는 등 다양한 현상을 보이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 하며 이후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공동주택 조경 관리에 적합한 수목전정을 선정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수형별 수목전정 경관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경관 이미지 연구와는 다르기에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실무에서 종사사들이 공간의 위치, 형태에 따라 공간에 맞는 수목 전정의 기준을 성립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판단된다. 주요어 : 공동주택 조경, 조경관리, 경관이미지, 수목전정, 선호도-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공동주택 수목전정의 수형별 이미지 및 선호도 분석-
dc.title.alternativeA Survey on the images and Preference of tree Pruning of Tree typology in Apartment Housing-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엄운룡-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공학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축ㆍ토목ㆍ조경공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