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4 0

창직의 사회적 가치와 임팩트에 관한 연구

Title
창직의 사회적 가치와 임팩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ocial Value and Impacts of Job Creation
Author
이정원
Alternative Author(s)
Lee, Jeong Won
Advisor(s)
이영재, 구혜영, 주성수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갈수록 세상의 변화속도가 빨라지면서, 직업세계도 급변하고 있다. 기술의 발전 및 사회‧문화 변화 등으로 부지불식간에 사라지는 직업도 있지만, 새롭게 출현하는 직업도 상당수이다. 기술이 발달하고 산업 구조가 고도화될수록 직업에 대한 융합과 세분화, 재구조화가 일어나게 되어 직업의 종류와 수가 더욱 다양해진 형태로 나타난다. 새로운 직업의 출현은 곧 일자리로 연결된다. 이러한 과정이 ‘창직(創職)’이다. 그런데 전세계적으로 가장 큰 이슈는 ‘일자리 부족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일자리 창출을 위해 많은 정책과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창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다. 하지만 기업의 성장만으로 일자리를 창출하기에는 사회곳곳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따라 잡을 수 없고, 또한 그 변화에 맞는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내는데 한계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 직업가치가 우선인‘창직’이 새로운 일자리 창출 대안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또한 창직이 확대되고 있는 분야는 사회적 가치 영역이다. 사회적 가치는 국내외적으로 국가의 정책기조로 삼고 있고, 기업이나 민간 영역까지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창직은 곳곳에 산재해있는 사회‧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일이나 직무, 직업을 만들어내고 있다. 국회에서 발의된 ‘사회적 가치 기본법’이 정한 사회적 가치 지표 세부항목별 모든 분야에서도 새로운 직무와 직업이 존재하고 일자리까지 창출되고 있다. 더 나아가 근본적인 사회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삶의 질 제고와 장기적이고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사회적 임팩트(Social Impact)가 실현되고 있다. 이처럼 창직이 사회적 가치나 일자리 분야 등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함에도 이에 대한 지표나 가치, 임팩트 분석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져 있지 않았다. 게다가 창직개념에 대한 명확한 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창업개념과의 혼선도 유발되었다. 이것이 창직에 대한 정부의 정책지원이나 민간의 참여가 부족해지는 한 원인이 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를 통해 창직을 재정의함으로써 창직에 대한 본질적인 개념을 이해하도록 했다. 기존의 창직 개념들이 주로 ‘존재하지 않았던 신직업 탄생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중점을 두었다면, 기존 개념에 추가하여 재정의한 창직 개념은 창직과정의 초기활동 단계인‘직업(직무)을 새롭게 변화시키거나 바꿔나가는 과정’까지 포함하여 정의함으로써 창직에 대한 보편성과 접근성을 높였다. 이러한 창직의 재정의를 바탕으로 창직 활동이 사회에 미칠 수 있는 사회적 가치와 그에 따른 임팩트를 고찰함으로써, 이를 통해 직면해있는 일자리문제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지자체의 정책방향 제시 그리고 창직 지원책 마련 및 민간 차원의 창직 활성화 추진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살펴본 창직의 사회적 가치와 임팩트에 대한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창직은 일상 생활영역은 물론 산업 분야 전체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고용 효과를 준다. 기술의 발달, 사회‧문화 발전, 사회환경 변화, 법‧제도 등의 요인으로 세상의 변화속도가 빨라질수록 창직도 빨라지고 있다. 이는 신직업과 신직무의 출현으로 이어지고, 이로 인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나타난다. 새로 생긴 일자리는 고용으로 이어지면서 개인의 생계 유지는 물론 자아 실현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사회의 안정과 발전을 이루는 장기적인 임팩트로 이어진다. 둘째, 창직은 사회적 가치 영역 전반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령화, 저출산, 소득양극화, 환경문제, 실업, 세대간 소통부재 등 복잡다단하고 극심한 사회문제가 나타나는 모든 분야에서, 이를 해결하는 새로운 직업이 출현하고 있다. 국회에서 발의한 ‘사회적 가치 기본법’의 사회적 가치 13개 세부항목에 대한 모든 지표영역에서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창직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타 영역보다 사회적 가치 영역에서 창직 활동으로 인해 나타나는 신직업의 사회적 임팩트는 상당하다. 셋째 창직은 개인이나 사회에 장기적인 질적변화와 삶의 질을 개선해주는 임팩트가 크다. 사회적 가치 영역에서 대표적인 창직 사례인 ‘푸듀케이터’와 ‘주거교육환경안정관리사’에 대한 변화이론 분석을 통해, 주변의 만연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신직업을 발굴함으로써 새로운 일자리를 다수 창출하고 있고, 또한 이곳에서 일하는 종사자는 물론 수혜 대상층인 어린이, 장애인, 경력단절여성, 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에게 근본적인 변화와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를 통해 창직 활동 자체로써 사회적 가치를 형성하고 있고 시대에 맞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며 이를 통해 삶의 질 개선과 장기적이고 총체적인 변화로 이어지는 임팩트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창직 활동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정책과 민간의 창직 활성화 노력이 중요하다. 이를 제언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창직 생태계 조성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모든 영역에서 전국적으로 일어나는 창직 활동에 대해 누구든지 상시적으로 창직 코칭을 받고 창직 과정을 경험할 수 있으며 후속 지원체계를 통해 실제 창직 성과를 효과적으로 낼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하는 ‘창직지원센터(가칭)’기구가 필요하다. 둘째는 창직에 대한 정부의 거시적인 지원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전체 계층을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쳐서 지원할 수 있는 정부의 창직사업이 있어야 지속가능한 창직 성과를 낼 수 있다. 셋째는 창직의 활성화에 중요한 요소가 교육이다. 정부나 지자체, 민간 영역에 이루어지는 창직 사업마다 교육프로그램과 교육 방식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재정의한 창직 개념을 토대로 표준화된 창직 교육프로그램개발이 시급하다. 급변하는 직업세계에 대한 발빠른 대응을 위해 창직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비영리 조직이 주도하고 교육연구에 대한 기반 조성은 정부가 나서야 한다. 넷째는 창직교육의 확산을 위해서 대학에 대한 창직 지원 정책도 고려해야 한다. ‘창직선도대학’지정을 통해 창직교육, 창직공간 제공, 신직업 개발, 창직문화 활성화, 실전 창직체험 등이 이루어지면 창직생태계 확산에 큰 마중물이 될 수 있다. 다섯째는 사회적 가치 영역에서 창직을 저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가치 기반의 거점 기구 조직 구축도 중요하다. 사회적 가치 영역에서 나타나는 창직은 경제적 이익보다 사회문제 해결이나 결핍을 충족시켜주는 가치가 우선으로 작용하는 활동이기 때문에 안정기에 도달할 때까지 정부의 지원정책이 뒤따라야 한다. 이를 전담하는 ‘사회적가치 창직센터(가칭)’의 설립을 통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는 민간 차원에서 창직 활성화를 위해서는 비영리 조직이 주도하는 네트워킹이 필요하다. 전문성을 가진 (사)한국창직협회가 나서서 정부에서 진행하기 힘든 다양한 시도와 지원사업을 시행해야 한다. 일곱째는 기업의 적극적인 창직 도입과 활용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기업에서 직무나 과업이 수시로 바뀌거나 새롭게 추진하는 사업이 허다하기 때문에, 새로운 변화에 과감하게 도전하고 실천할 수 있는 창직역량 강화프로그램을 기업이 전면 도입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는 정부와 민간 영역과의 파트너십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창직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반 마련을 하는 정부‧지자체와 비영리 조직‧대학‧기업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창직의 수요를 창출하고 확대하는 역할을 맡는 민간과의 유기적인 협력과 공조는 창직 활성화의 핵심이다. 이를 통해서 창직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의 발전 등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임팩트 기반이 조성될 수 있다.; As the pace of change in the world gets faster, so is the world of jobs. Some jobs disappear without realizing it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ocial and cultural changes, but many new jobs are also emerging. The more advanced the technology and the more advanced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more convergence, segment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profession takes place, resulting in more diverse types and numbers of jobs. The advent of new jobs soon leads to jobs. This process is called "job creation." But the biggest issue in the world is the lack of jobs. To overcome this problem, many policies and support are being made to create jobs not only domestically but also globally. A typical example is job creation through 'start-up'. However, corporate growth alone cannot keep up with the changes that take place in many parts of society, and there is also a limit to creating new jobs that fit the changes. That's why "job creation" - whose occupation value is a priority - has recently become a new job creation alternative. Also, the area of interest in job creation is the area of social value. Social values are used as the national policy stance at home and abroad, and even the corporate and private sectors are making efforts to create social values. Job creation are creating new jobs, jobs, and jobs in the process of solving social and regional problems that are scattered everywhere. In all areas of the social value indicator details set by the National Assembly's Framework Act on Social Value, new jobs and occupation suitable for that item exist and jobs are created. Furthermore, social impact has been realized, not only in solving fundamental social problems, but also in enhancing long-term quality of life and bringing about long-term and positive changes. Although the impact of job creation on the labor market, the working environment, the job sector, and the career area was enormous, the indicators, values, and impact analysis were not properly conducted. In addition, there was no clear establishment of job creation concept, which caused confusion with the founding concept. This was one of the reasons for the lack of government policy support or private participation in job creation. So, through this study, we have redefined job creation, so that we can understand the essential concept of job creation. While the existing concepts of creating new jobs and creating new jobs were mainly focused on "creating new jobs that did not exist and creating new jobs," the concept of creating jobs, which was redefin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oncepts, has been defined as "the process of changing jobs," thereby increasing universality and accessibility to job creation. Based on this re-examination of the social values and impact of the job creation activities on society, it was intended to help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present policy directions for solving the job and social problems facing them, prepare support measures for job creation, and promote the promotion of job creation at the private level.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social value and impact of job creation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b creation are in the creation of new jobs and employment effects not only in daily life but also in the industrial sector as a whole. The faster the world changes due to factors such as technological development,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and laws and systems, the faster job creation. This leads to the emergence of new jobs and new occupations, which in turn leads to the creation of new jobs. The newly created jobs lead to employment, improving the self-realization and quality of life as well as maintaining the livelihood of individuals, and long-term impact of achieving stability and development in society. Thirdly, job creation has a big impact on the long-term change in society and the quality of life. job creation has a big impact on society that improves long-term change and quality of life. Through an analysis of the theory of change in the field of social value, the representative cases of "Fooducator" and "Residence Education and Environment Stabilization Manager," it was confirmed that they created new job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surrounding rampant social problems from the existing job areas, and that they had long-term qualitative changes and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cluding children, the disabled, career-interrupted womenand the elderly.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job creation activities themselves form social values, create new jobs that fit the times, and have the impa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self-realization. In order for such job creation activities to be sustainable,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and efforts to promote private job creation are important. The suggestion is as follows: First, creating an ecosystem of job creation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For job creation activities that take place nationwide, anyone can be coached on a regular basis, experience the job creation process, and need a "job creation support center (tentative name)" organization that helps them effectively produce actual job creation results through follow-up support systems. Second, the government's macro-assistance to job creation should be backed up. Only when there is a government job creation project that can support the entire class over a long period of time can sustainable job creation results be achieved. Third, edu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revitalization of job creation. Standardized job creation education development is urgently needed, as each job creation project carried out in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sectors has different educational programs and methods of operation. In order to respond quickly to the rapidly changing world of jobs, the development of job creation education should be led by private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 should create a foundation for education research. Fourth, for the spread of job creation education, the policy of supporting job creation to universities should also be considered. Through the designation of "Job creation lead University," it can be a great priming water for the establishment of job creation ecosystem as it provides job creation education, provides job creation space, develops new jobs, invigorate the job creation culture, and experiences in actual job creation. Fifth, it is also important to establish a social value-based hub organization in order to base the foundation in the social value area. Since job creation in the realm of social values is an activity in which values that meet social problems or deficiencies take precedence over economic interests,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should follow until a period of stability is reached. Policy support is need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value creation center (tentative name) exclusively responsible for this. Sixth, networking led by non-profit organizations is needed to promote job creation at the private level. The Korea Job Creation Association, which has expertise, should step up and implement various attempts and support projects that are difficult for the government to carry out. Seventh, the activ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job creation by companies should be supported. Since there are a lot of changes in jobs or tasks at companies, companies need to fully introduce programs to strengthen their job creation capacity to boldly challenge and implement new changes. The eighth should establish a partnership strategy with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Organizational coopera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universities, and businesses that lay the foundation for the creation of an ecosystem of job creation are the core of the promotion of job creation. This can create sustainable jobs that create social values and create an impact base that can contribute to society,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public interests and communiti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70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35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CIVIL SOCIETY(시민사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