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7 0

Q-Pop, the pride of Kazakh youth and its stimulation on ethnic identity

Title
Q-Pop, the pride of Kazakh youth and its stimulation on ethnic identity
Other Titles
카자흐스탄 청년들의 자부심으로서의 Q-Pop과 Q-Pop이 민족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Author
카킴
Alternative Author(s)
카킴
Advisor(s)
Park Jowon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카자흐스탄이 소련으로부터 독립했을 때 느슨한 민족 정체성을 중심으로 시민 정체성을 통합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한 카자흐스탄 정부는 시민 정체성의 확립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다양한 인종 집단 사이의 국가 의식과 역사 의식의 공유가 정책의 핵심이 되었다. 그러나 러시아인과 다른 슬라브인의 대규모 이주와 해외 카자흐족의 유입으로 인해 시민 정체성 구축 과정은 초점이 바뀌게 된다. 카자흐어 알파벳을 키릴 문자로부터 라틴 문자로 변경하는 것은 카자흐 민족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신호였다. 새 알파벳의 사용으로 국가 이름은 Qazaqstan으로 바뀌었다. 라틴어 'Q'가 키릴 문자 'K'를 대체한 것이다. 첫 글자 'Q'는 특별한 이데올로기적 의미를 가지게 되었으며 카자흐스탄의 새로운 상징이 되었다. 독립 후 30년의 기간은 카자흐스탄 다문화 사회에서 국가 차원의 민족 정체성 강화로 전환하는 시기가 되었다. 이러한 현실에서 독립 이후 태어난 새로운 카자흐 세대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서 고민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새로 독립된 국가에 거주하는 카자흐스탄 사람들로는 첫 세대이기 때문이다. 이들의 숫자는 약 900만 명(전체 인구의 51%)으로 추정된다. 그들은 "하나의 소련 국민"이라는 소련의 이데올로기를 경험한 적이 없는 30세 미만의 디지털 세대이다(White, 1979). Burkhanov, Bigozhin, Blum, Hanks, Insebayeva,Isaacs & Kudaibergenova(2019)는 이들을 1991년부터 2019년까지 카자흐스탄을 통치한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의 이름을 붙여 "나자르바예프 세대" 라고 칭한 바 있다. 이들에게는 민족적 정체성 문제가 근본적이며 이는 특히 소비에트 시절 러시아화 되었던 도시에서 자란 사람들에게는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이 청년 세대는 오랜 카자흐스탄의 문화와 언어로부터의 소외로 인해 시민적 정체성과 민족적 정체성이 복잡하게 얽혀있다(Burkhanov, 2020). 카자흐어 교육에 대한 제한된 접근, 러시아어 및 러시아 문화 자본의 대중화, 역사적 단절은 카자흐의 민족 정체성을 변화 시켰다. 따라서 카자흐 청년들로 하여금 민족 정체성을 강화하도록 자극하는 요인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점에서 대중문화는 논의의 유용한 시발점이 된다. 본 연구는 카자흐스탄의 현대 음악 장르인 Q-pop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Q-pop은 서양 및 한국 K-pop의 음악 작곡 기법과 지역 언어 및 문화 요소를 결합한 것이다. 청년과 대중문화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에 따르면 청년들이 대중문화 텍스트를 소비함으로써 민족적 정체성을 재발견하고 다른 정체성과 협상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카자흐스탄의 현대 음악이 카자흐 청년들의 민족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이 4개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Q-Pop의 소비는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연구문제 2: Q-Pop은 어떠한 방식으로 카자흐스탄의 국가 정체성과 민족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는가? 연구문제 3: 카자흐스탄 청년들의 Q-Pop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4: Q-Pop, 국가 정체성, 민족 정체성, 주류 집단에 대한 동일시, 문화지향, 집단 내 상호작용, 자존감, 민족어 사용 능력은 어떻게 연관되는가? 이 연구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우선, 질적 연구를 통해 Q-Pop에 대한 선호도의 요인을 규명하고자했다. 질적 분석 결과 선호도의 요인들로는 카자흐어 사용, 노래 내용 및 연주 품질이 확인되었다. 양적 분석의 결과는 이러한 질적 분석의 결과를 입증해 주었으며 '노래 작곡 품질,' ‘편곡/연주,' '카자흐어 사용'이 Q-Pop 선호의 자장 중요한 요인들임이 밝혀졌다. '가사 내용', '외모', '노래 능력', '패션 스타일', '스토리텔링', '카자흐어 사용', '카자흐어에 대한 관심', '독특함', '카자흐어 학습 욕구', ''새로운 단어 배우기', '안무의 질'이 그 다음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Q-Pop과 민족 정체성, 국가 정체성 및 민족 언어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질적 연구 분석 결과 민족적 자부심을 통해 민족 정체성과 Q-Pop이 관계를 맺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응답자들은 카자흐어를 배우고 일상생활에서 카자흐어를 사용하려는 열의를 보였다. 양적 연구 분석 결과 Q-Pop은 민족 정체성, 국가 정체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예측 변수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것은 동료들 사이의 민족 언어 능력을 설명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Q-Pop은 언어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지만 민족 언어 능력에는 기여하지 않았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한편, 양적 분석 결과에 의하면 민족 언어 능력이 민족 정체성을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분석 결과는 전통적인 관점과 모순되며 민족 정체성에 대한 민족 언어의 역할에 대한 최근의 연구 결과들과 맥락을 같이 한다. 마지막으로 회귀 분석 결과 Q-pop은 집단 내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집단 내 상호 작용은 민족 정체성과 긍정적으로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집단 내에서 동료들 간의 상호작용을 더 많이 일어날수록 민족 정체성이 강화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민족 및 국가 정체성 구축 정책 가능한 전략을 제안하였다.; When Kazakhstan gained independence, it was difficult to consolidate Kazakhstan's civic identity around considerably weak ethnic Kazakh identity. The authorities understood this and shifted their focus to the construction of a shared 'civic' identity. A sense of statehood and a shared history among diverse ethnic groups were core concepts. However, Russians and other Slavs' massive emigration, with an enormous influx of ethnic Kazakhs overseas, changed the focus of an initial civic identity building process. The proposed latinization of the Kazakh alphabet was a clear signal that there is a strong move toward strengthening Kazakh ethnic identity. In the new transcription, the country's name composed as Qazaqstan. The latin 'Q' replaced the cyrillic 'K.' The prefix 'Q' has a particular ideological connotation and changing the first letter to 'Q' as the prefix was a smart way of representing new Kazakhstan. In this reality, a new generation of young Kazakhs born after independence struggles to identify themselves. It is the first generation of Kazakhstani people who live in the newly independent country. . Due to long Kazakhs' marginalization from their own culture and language this youth generation displays a complex combination of civic and ethnic identities (Burkhanov, 2020). It is crucial to understand what factors can stimulate Kazakh adolescence to strengthen their ethnic identity. In this regard, popular culture can be a useful solution. For example, empirical studies about ethnic identity and popular culture revealed that ethnic groups manage to rediscover their ethnic and cultural origins and transmit different identity statuses by applying pop cultural texts in adulthood (Baily, 1994; Bloustien, 2007; Connell, Fmedsci & Gibson, 2003; Frith, 1987; Frith, 2004; Folkestad, 2002; Mayer 2003; Hargreaves, Miell & Macdonald, 2002). Hen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temporary music genre Q-Pop associated with Kazakhstan that combines Western and Korean K-pop music composition techniques with local linguistic and cultural element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Kazakh contemporary music strengthens Kazakh ethnic identity. This study combines mixed research inquires. There are four research questions: what does Q-Pop mean for its audience; how does Q-Pop formulate Kazakh national and ethnic identity; what factors contribute to the Q-Pop popularity among Kazakhstan youth; how is the Q-Pop related to national identity, ethnic identity, identification with the major group, acculturation orientation, in-group interaction, self-esteem, and ethnic language proficiency? First, the research question aimed to explore the phenomenon itself, its features, what factors contribute to its popularity, and what values it has for its listener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focused on whether Q-Pop strengthening Kazakh ethnic identity. The third research question is related t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and analyzes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Q-Pop popularity among Kazakhstan youth. The fourth research question related is an extension of research question two from the qualitative study and examines how Q-Pop enhances Kazakhstan youth's ethnic and national identities.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e popular factors of Q-Pop are 'the usage of the Kazakh language,' 'the content of songs,' and the 'performance quality.' The quantitative analysis supported these findings: 'Songs' composition quality,' and 'Arrangements/performance.' 'Preference for Kazakh use.'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level among respondents. 'Content of lyrics,' 'Appearance,' 'Singing ability,' 'Fashion style,' 'Storytelling,' 'Usage of Kazakh language,' 'Interest in the Kazakh language,' 'Uniqueness,' 'Wish to learn the Kazakh language,' 'Learning new words,' and 'Choreography quality were the next factors. The second part of the research analyzed Q-Pop's relation between ethnic identity, national identity, ethnic language proficiency and other research variables. Qualitative analysis disclosed a relationship between ethnic identity and Q-Pop through ethnic pride. Respondents showed interest in learning the Kazakh language and using Kazakh words in their daily life. Quant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Q-Pop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ethnic and national identity. Meantime it did not statistically contribute to ethnic language proficiency. By combining results from qualitative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Q-Pop only stimulated interest in the language but did not contribute to ethnic language proficiency. Besides, quant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ethnic language proficiency does not predict ethnic identity. This finding contradicts the traditional perspective and supports recent findings from other research about the role of ethnic language on ethnic identity. Finally,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Q-pop predicted in group interac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in group interaction positively relates to ethnic identity. Therefore, the more peers interact with each other in one group, the higher level of ethnic identity they would proceed. The following research intends to propose possible strategies for local authorities in their future ethnic and national identity building policies based on these finding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61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568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신문방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