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3 0

자기주식의 취득과 활용 및 처분에 관한 법적연구

Title
자기주식의 취득과 활용 및 처분에 관한 법적연구
Other Titles
Legal research on the Acquisition, Utilization and Disposal of treasury stocks
Author
정인수
Alternative Author(s)
Jung, In Su
Advisor(s)
이형규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상법은 회사의 자기주식취득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그 이유는 출자를 주주에게 환급하는 결과가 되어 회사의 자본충실을 훼손할 우려가 있고, 자기주식의 취득 및 처분과정에서 주주들을 불공정하게 차별할 수 있으며, 시세조종, 내부자거래 등 투기행위에 악용될 위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자기주식의 취득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는 것이 세계적인 입법의 흐름이다. 독일, 일본 등 자기주식의 취득을 엄격히 제한하던 국가들도 그 규제를 완화하였다. 특히 일본은 회사의 자기주식취득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었으나, 2001년 상법 개정을 통해 회사의 자기주식취득을 원칙적으로 허용하는 입장으로 변경했다. 우리 상법도 2011년 개정을 통해 회사가 배당가능이익의 범위 안에서 자기주식을 취득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취득한 자기주식을 바로 소각하지 않고 보유할 수 있도록 했다. 2011년 상법 개정으로 회사가 자기주식을 취득하여 활용 및 처분할 수 있게 되었으나 회사의 자기주식이 대주주나 경영진의 이익을 위해 불공정하게 이용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기주식의 취득, 활용 및 처분에 관하여 각 단계별로 상법 및 자본시장법의 규율 내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제도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자기주식은 회사가 자신이 발행한 주식을 주주로부터 취득하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의미하는데, 자기주식의 자산성을 인정할 것인지와 관련하여 자산설과 미발행주식설이 대립되고 있다. 자기주식은 의결권 등 주주권이 배제되어 자산으로 볼 수 없으므로 미발행주식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자기주식의 취득과 관련하여 회사가 자기주식취득에 관한 규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제3자의 명의로 자기주식을 취득하는 행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특히 회사가 제3자에게 주식취득에 필요한 자금을 제공하는 행위의 적법성이 문제되고 있는데, 회사의 출연행위가 있었다면 손익의 귀속 여부를 따지지 않고 회사계산에 의한 자기주식취득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회사의 경영권 방어와 관련하여 자기주식의 불공정한 활용이 문제되고 있다. 특히 경영권 분쟁상황에서 회사가 경영진에 우호적인 제3자에게 자기주식을 처분하는 행위가 기존 주주를 불공정하게 차별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회사의 자기주식을 누구에게 어떻게 처분하는가의 문제는 기존 주주들의 지주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회사가 자기주식을 처분할 경우에 주주평등의 원칙이 관철될 수 있도록 법 개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회사가 자기주식을 과다보유하고 있는 경우 의결권이 있는 주식의 수가 줄어들어 대주주는 상대적으로 적은 지분으로 회사를 지배할 수 있게 된다. 대주주가 경영권의 유지ㆍ강화를 위하여 회사의 자기주식을 이용하는 불공정이 발생하므로 자본금의 일정 비율을 초과하는 자기주식을 상당한 기간 안에 처분 및 소각하도록 의무화하는 규정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업구조의 재편과정에서 자기주식의 불공정한 활용도 문제되고 있다. 회사가 합병을 추진하면서 존속회사나 소멸회사의 자기주식에 합병신주를 배정할 경우 회사는 출자 없이 대량의 자기주식을 보유할 수 있게 되므로 신주배정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법은 회사가 보유하는 자기주식에 대하여 의결권을 제한하고 있지만, 회사분할시 회사의 자기주식에 분할신주를 배정할 경우에는 사실상 자기주식의 의결권이 인정되는 결과가 초래된다. 자기주식의 공정한 활용을 위하여 분할회사의 자기주식에 대하여 분할신주를 배정하지 못하도록 금지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법은 자기주식취득과 달리 회사가 자기주식을 처분하는 경우에 주요 의사결정을 이사회에 맡기고 있다. 자기주식처분시 이사의 권한남용을 방지하고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자기주식처분에 관한 절차규정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회사가 특정목적으로 자기주식을 취득한 경우 상당한 기간 안에 처분하도록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특정목적으로 취득한 자기주식은 배당가능이익이라는 재원규제를 받지 않기 때문에 회사의 자본충실을 훼손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In principle, acquisition of treasury stocks is prohibited by the company in the commercial law because it results in returning the contribution to the shareholders which may damage the capital adequacy; discriminate the shareholders in the processes of acquisition and selling treasury stocks; and be abused to speculation acts such as price manipulation, insider trading, and so on. However, deregulation on the acquisition of treasury stocks is the global trend of legislations, recently. The countries such as Germany, Japan, and so on that had strictly limited the acquisition of treasury stocks deregulated the system, too. In particular, Japan had prohibited the acquisition of treasury stocks by the company in principle, however, they changed the position to allow it in principle by amendment of the commercial law in 2001. The Korean commercial law was also amended in 2011 to allow the company to acquire treasury stocks within the range of dividend and to keep them without retirement immediately. Due to the amendment of the commercial law in 2011, companies could acquire the treasury stocks to use and sell them, yet, there have been criticisms that they were used unfairly for the benefits of major shareholders or managements. In this article, regulations of the commercial law and the act of capital market were reviewed by each step with respect to the acquisition, utilization, and selling treasury stock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system were proposed upon analyses of the problems. Treasury stocks mean the stocks that acquire and keep the issued stocks from the shareholders, which are confronted with the theory of assets and the theory of unissued stocks whether to admit treasury stocks as the asset. Treasury stocks cannot be considered as assets because rights of stockholders such as voting right, and so on are excluded, hence, they should be considered as unissued stocks.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acquisition of treasury stocks by the third party to avoid the regulation on the acquisition of treasury stocks by companies. In particular, the legality that companies provide the required funds to a third party to obtain the stocks became a problem. If there were contributed activity by companies, it could be reasonable to consider it as the acquisition of treasury stocks by the company regardless of profit/loss attribu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regulation on this. Unfair utilization of treasury stocks became a problem with respect to the maintenance and defense of the company's management right. In particular, criticisms have been raised that companies sold the treasury stocks to the third party that was amicable to the managements discriminated against existing shareholders under the dispute on the management rights. Since the issue to whom companies sell their treasury stocks can affect the shares among existing shareholders, it is necessary of companies to apply the rules on the preemptive right to new stocks of the shareholders so as to meet the shareholders’ equality principle if companies sell the treasury stocks. If the company possesses excessive treasury stocks, the total number of shares with the voting rights will be reduced, resulting in the major shareholder being able to govern the company with relatively small shares. This can cause unfairness that the major shareholder uses the treasury stocks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 management right of the compan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legalize the rules to sell and retire the treasury stocks that exceed certain rate of the capital amount within the defined period of time. Unfair utilizations of treasury stocks are also problems in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of companies. In case that companies allocate the new shares to the surviving or extinct company when they merge, they can possess large amount of treasury stocks without contribution, therefore, allocation of new shares should be limited. In addition, voting rights of the treasury stocks that companied possess are limited in the commercial law, but their voting rights can be accepted practically if companies allocate the new shares to the treasury stocks in case of company split. While splitting companies, unfairness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rights using treasury stocks might be occurred, hence, it is necessary to set the regulation to prohibit the allocations of the new shares to the treasury stocks for fair utilization of them. Unlike the acquisition of treasury stocks, the Commercial Act leaves the board of directors to make major decisions when a company disposes of treasury stocks. When disposing of treasury stock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rules of procedure regarding the disposal of treasury stocks to prevent the abuse of the authority of directors and to ensure fairness. Also, in case of acquisition of treasury stocks by the company with certain purposes, legalization is required to sell them mandatorily within certain period of time. Since treasury stocks acquired by the company with certain purposes are not regulated by the source of fund, dividend profit, they may damage the capital adequac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55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23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LAW(법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