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1 0

인터넷 밈 재생산 유형에 따른 향유 특성 연구

Title
인터넷 밈 재생산 유형에 따른 향유 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njoyment Methods of Internet Meme Focused on Variation Types
Author
오서현
Alternative Author(s)
Oh, Seo Hyun
Advisor(s)
박기수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인터넷 밈의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여 인터넷 밈의 특성을 탐구하고 인터넷 밈의 유형별 향유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인터넷 밈의 변별성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인터넷 밈에는 ‘아무노래 챌린지’, ‘1일 1깡’, <타짜> 곽철용의 ‘묻고 더블로 가!’, ‘파맛 첵스’ 등이 있는데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이러한 것들은 일종의 트렌드로서 공유되고 전파되며 단순 유희거리로 작용하거나 홍보용 문구나 이미지, CF 등으로 확장되기도 한다. 흔히 이렇게 유행하는 현상 또는 콘텐츠를 밈이라고 하며, 밈은 인터넷을 넘어서 일상에서까지 사람들에게 재미있는 엔터테인먼트 요소로 기능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밈이 과연 무엇인지, 어떠한 밈들이 널리 공유되고 재생산되는지 그 체계나 규칙을 정리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밈 수집과 분석을 바탕으로 인터넷 밈의 정체와 확산 동력, 그리고 지속적으로 재생산될 수 있는 향유 특성을 단계별로 규명하여, 인터넷 밈의 변별적 특성을 파악할 것이다. 인터넷 밈이 활성화될 수 있는 이유는 사람들의 자발적 참여를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재생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밈 재생산 유형에 따른 향유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제로 인터넷 밈이 유형별로 어떻게 구현되고 확산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고 50개의 사례를 중심으로 채택하여 각 인터넷 밈의 재생산 유형별 향유 특성에 대해 탐구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 밈은 재생산 유형을 중심으로 크게 1) 템플릿 대입형, 2) 형태/의미 변화형, 3) 정체성 대화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러한 유형별 분류를 토대로 하여 각 인터넷 밈을 향유하는 동력과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요인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자발적인 참여에 기반한 밈 콘텐츠 재생산은 해당 인터넷 밈이 지속적으로 인기를 얻고 활성화되는 핵심이 되기 때문에 인터넷 밈에서 재생산 특성에 주목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인터넷 밈의 정체와 재생산 유형별 향유 특성을 규명하였다. 본고에서는 인터넷 밈의 변별성을 변이를 통한 다수의 N차 창작을 거친 셰어월드를 구축하는 것으로 규명하였다. 성공적인 인터넷 밈을 위해서는 인터넷 밈의 정체를 파악하고 인터넷 밈의 재생산 유형에 맞는 향유 매트릭스를 파악해 참여 동인을 바탕으로 한 인터넷 밈 베이스 기획, 인터넷 밈 활성화 전략을 고안하여야만 한다. 인터넷 밈 현상은 향유자의 자발적인 참여와 지속적인 재생산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인터넷 밈 기획과 활용을 위해서는 향유자를 움직이는 동인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위 논의들을 바탕으로 자발적 참여의 확산 동력인 재생산 유형에 따라 6단계 향유 매트릭스를 그려보았으며, 인터넷 밈의 향유 특성을 정리하였다. 템플릿 대입형은 정해진 템플릿을 활용하여 참여하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참여가 용이하지만 창작의 난이도는 낮다고 할 수 있다. 형태/의미 변화형은 기존에 있는 캐릭터의 외형을 변화시키거나 단어의 의미를 완전히 탈바꿈하여 새로운 의미를 생산해내는 방식으로 참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재생산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창작의 난이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정체성 대화형은 취향이나 논쟁거리에 대해 사람들 간에 이야기할 수 있는 대화거리의 소재를 제공해야 한다는 특성이 있으며 대화 중심의 언쟁을 계속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는 인터넷상에서 문화적인 요소로 밈이 활용되고 있는 현상에 대해 포괄적으로 연구해 보고 밈의 정체를 정의하여 다른 개념들과의 차별점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문화콘텐츠의 인터넷 밈 기획과 활용을 통한 트렌드를 선도하려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50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22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ULTURE CONTENTS(문화콘텐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