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진아-
dc.contributor.author박수훈-
dc.date.accessioned2021-02-24T16:26:19Z-
dc.date.available2021-02-24T16:26:19Z-
dc.date.issued2021. 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461-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119en_US
dc.description.abstract범죄두려움은 정서적 반응이며, 범죄와의 직접적인 관련성과 별개로 환경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범죄두려움과 범죄 발생을 낮추기 위해 2000년대 들어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사업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었고, 현재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CPTED 사업이 범죄두려움과 범죄 발생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사업의 예산규모와 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PTED 사업 시 사람이 어떤 물리적 환경 요소를 시각적으로 지각하여 범죄두려움을 인지하는지를 세밀하게 파악하고, 해당 결과를 토대로 사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부 자극을 시지각하고 범죄두려움을 인지하여 해당 가로의 두려움 정도를 응답받는 일련의 과정에서 미비하게 진행되던 지각 과정을 40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시선추적 기법과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비모수 검정 방법인 Mann-Whitney U 검정 모델과 다수준 이항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죄두려움 인지 여부에 따라 시선고정 수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범죄두려움을 인지한 사람은 인지하지 못한 사람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요소를 시지각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범죄두려움을 인지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은 여성, 1인 가구, 주관적으로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 일상에서 밤에 범죄두려움을 경험한 사람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범죄에 대한 위험에 노출되었을 때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이 남성에 비해 부족하다는 점에서 나타난 결과로 판단되며, 이는 김흥순(2007) 연구의 결과와 상통한 결과이다. 주관적으로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경우도 여성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건강한 상태에 비해 본인이 범죄에 대한 위험상황에 대처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나타난 결과로 추측된다. 1인 가구의 경우는 범죄에 대한 위험 상황에 쳐해 있을 때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기에 범죄 위험에 자신을 보호하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생긴 결과로 추측된다. 셋째, 가로의 건축물 노후도가 높을수록 CPTED 사업이 적용되어 있을수록 범죄두려움을 인지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CPTED 사업이 적용된 가로는 대상지 현황분석과 주민의 의견에 의해 상대적으로 범죄발생과 범죄두려움이 높은 가로에 안전시설물이 설치된다. 이러한 결과는 CPTED 사업으로 적용된 안전시설물 요소가 범죄두려움 저감에 대한 효과는 미미하다는 것을 방증한다. 따라서 범죄 발생과 범죄두려움 저감이라는 목적을 이루기 위한 CPTED 사업은 범죄두려움 저감을 위한 안전시설물 계획도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범죄예방계획 요소인 전신주 페인팅과 비상벨 및 마을지도, 보이지 않는 공간인 건물 사이와 노상주차 차량을 오래 응시할수록 범죄두려움을 인지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건물 사이공간과 노상주차 차량 등으로 인한 보이지 않는 공간이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선행연구와 상통하는 결과이며, 범죄두려움을 저감시키기 위해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을 진행할 시 범죄자가 숨어 있을 수 있는 보이지 않는 공간을 포함된 가로에서는 해당 공간을 보행자가 시지각할 수 있게 가로등과 반사경을 배치하는 계획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더하여 범죄두려움을 인지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난 여성, 1인 가구, 주관적으로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위해 야간에도 불이 켜져 있어 거리를 밝히고 범죄에 대한 위급상황 발생 시 대피할 수 있는 마을의 안전지킴이집인 근린생활시설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Fear of crime is an emotional response, and apart from its direct connection with crime, it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In order to reduce the fear of crime, ‘Criminal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projects’ were introduced in earnest in the 2000s, and are still increasing. According to prior research, CPTED projects have a positive impact on crime fears and the decrease in crime occurrence, but they do not have much to do with the size of the project budget. This means that CPTED projects need to have a detailed understanding of what physical environmental elements people are visually aware of and feel threatened by crime, and to proceed with the project based on the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ived process, which had been insufficient in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external stimuli were visually perceptible and fear of crime were perceived, through a Mann-Whitney U tes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using eye-tracking techniques and surveys of 40 study participan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eye fixation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fear of crimes were recognized. This means that those who are aware of the fear of crime are aware of relatively fewer factors than those who are not aware of it. Second, it turned out that those who were more likely to recognize the fear of crime were women, single-person households, those who thought they were subjectively unhealthy, and those who experienced the fear of crime at night in their daily lives. In the case of women, the results are judged to be in line with the results of the Kim(2007) study, which shows that men lack the ability to protect themselves when exposed to the fear of crime. It is judged that the result is that people who think are not subjectively healthy, as is the case with women, find it difficult to cope with the risk of a crime compared to the general healthy condition. Single-person households are assumed to be the result of thinking that they do not protect themselves from the risk of crime because there is no one to ask for help when there is a risk situation for crime. Third, the higher the building's age, the more apply the CPTED project, the more likely it is to cognition the fear of crime. This is judged to be the result of the installation of safety facilities on streets where crime and fear of crimes are relatively high through analysis of the status of the target areas and opinions of residents on the CPTED project is applied. These results show that even though safety facilities have been installed to reduce crime fears, the results show that the installed factors have little effect on reducing fear of crimes. Finally, the longer one stares at the telephone pole painting, emergency bells and town maps, and intersections between buildings and behind parking vehicles, the less one stares at murals and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the more likely he is to cognition the fear of crime. This is in line with prior research that invisible spaces and less visible intersections affect crime fears. This is in line with prior research that invisible spaces and less visible intersections affect fear of crime. When carrying out projects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to reduce fear of crime, it is necessary to place reflectors and streetlights in blind spots where criminals can hide and in less visible intersections, and to plan murals that are effective in reducing fear of crime in a location where pedestrians can be visualized in a short time. In addition, lights are on even at night, which means that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which are responsible for lighting the streets and evacuating in case of an emergency, are needed.-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시선추적 기술을 활용한 노후 저층주거지의 야간 범죄두려움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적 요인 분석-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f Visual Factors Affecting the Cognition of Fear of Crime at Night in Deteriorated Low-rise Residential Areas Using Eye Tracking Technology - Focused on Sageun-dong Safety Town in Seoul-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수훈-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Su Hu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도시공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