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외래어 비교 연구 - 서구권 음식 어휘를 중심으로
- Title
- 한·중 외래어 비교 연구 - 서구권 음식 어휘를 중심으로
- Other Titles
- A Comparative Study on the Loan Words in Korean and Chinese - Focused on Western Food Names
- Author
- 이주영
- Advisor(s)
- 엄익상
- Issue Date
- 2021. 2
- Publisher
- 한양대학교
- Degree
- Master
- Abstract
- 세계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국가 간에는 여러 방면에서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외래어는 끊임없이 유입되고 있으며 날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중에서도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경제 교류가 많은 한국과 중국은 환경과 문화 차이로 인하여 외래어를 받아들이는 태도는 상이하다. 그리하여 양국 학습자들은 외래어를 학습하거나 의사소통할 때 어려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고는 양국의 외래어를 수용하는 다양한 변화 양상을 파악하여 외래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사용을 돕기 위해 한국과 중국의 외래어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서구권 음식 외래어를 대조 연구함으로써 양국 외래어의 수용 방식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양국 학습자들은 외래어 사용상의 어려움에 대해 해소하며 외국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할 수 있도록 돕는데 가치가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 연구 대상 및 방법, 선행연구를 제시한다. 한국어 외래어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어휘를 사용하며 중국어 외래어는 『现代汉语词典』과 『新华字典』에 수록된 어휘를 대상으로 한다. 마지막 서구권 어휘는 『Oxford Learner’s Dictionaries』에 등재된 단어를 참조한다. 단, 일본 외래어를 제외한 서구권 외래어만을 연구하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양국 외래어의 유입 배경을 살펴본 후 명칭 및 개념에 대하여 논의한다. 한국어 부분에서는 ‘외국어, 외래어, 차용어, 귀화어’ 명칭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제시하여 외래어와 다른 용어들과의 경계를 뚜렷하게 구분하였다. 중국어 부분에서는 학술 저널에서 쓰이는‘外来语, 外来词, 借词’명칭에 대한 사용 빈도수를 살펴보아 용어가 통일되지 않는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외래어의 수용 방식을 음역, 의역, 혼역 세 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중 외래어를 언어학적으로 음운, 의미, 형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외래어는 수용되는 과정 중 자국어 체계에 맞는 음운론적인 동화가 일어난다. 한국어와 중국어는 언어 특성상 자음이 단독으로 음절을 이룰 수 없기 때문에 모음이 첨가되는 현상을 보였으며 언어의 경제성을 위해 음절이 간략화되었다. 의미론적 부분은 의미 확대, 축소, 전이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형태 측면에서는 중국어 외래어가 여러 지역의 방언으로 인해 한국어 외래어보다 다양한 외래어 표기법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따라서 한국어 외래어와 달리 어형이 다소 불안정한 모습이 보인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위 논의를 종합하여 결론을 내리고 한계점을 덧붙였다. 중국어 외래어는 외래어를 번역하는 방식이 한국어 외래어보다 다양하다. 따라서 외래어를 수용하는 태도가 한국보다 더 주체적이고 개방적인 모습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고는 언어학적 분석을 토대로 하여 양국 외래어의 수용 방식을 전면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양국 학습자들이 외래어 학습에 흥미를 유발하고자 하였고 외국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하는 능력 또한 향상하고자 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한·중 외래어 교육에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URI
-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37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452
- Appears in Collections:
-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NESE LANGUAGE & LITERATURE(중어중문학과) > Theses (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