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3 0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치와 백색질 고신호강도, 무증상 뇌경색, 대뇌 미세출혈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Title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치와 백색질 고신호강도, 무증상 뇌경색, 대뇌 미세출혈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Plasma homocysteine level is associated with white matter hyperintensity, silent brain infarctions and cerebral microbleeds
Author
류창환
Alternative Author(s)
Ryu Changhwan
Advisor(s)
김현영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호모시스테인은 대뇌 소혈관 질환인 백색질 고신호강도, 무증상 뇌경색, 확장된 혈관주변 공간, 대뇌 미세출혈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인지 기능 저하와도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뇌 소혈관 질환과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치, MTHFR(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C677T 이형증, 인지 기능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주관적인 기억력 장애로 치매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 중 8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호모시스테인, MTHFR C677T 이형증이 포함된 혈액 검사, MMSE(Mini-Mental State Examination), GRE(gradient echo images)와 FLAIR(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영상이 포함된 뇌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시행하였다. 19.7%(161/819명)의 환자에서 대뇌 미세출혈이 관찰되었고 그 중 54.7%(88/161명)는 대뇌 엽에 위치한 미세출혈이었다. 대뇌 미세출혈은 나이가 많을수록, 고혈압이 있을수록, 남성에서, 그리고 호모시스테인혈증이 있을수록 더 흔하게 관찰되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다른 변수들을 조정하였을 때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치는 고혈압(OR[odds ratio]: 1.977, 95% CI[confidence interval]: 1.317-2.967, p=0.001), 나이(OR: 1.039, 95% CI: 1.015-1.062, p=0.001)와 더불어 대뇌 미세출혈의 독립적인 예측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OR: 1.035, 95% CI: 1.009-1.062, p = 0.009). 심한 백색질 고신호강도는 31.8%(261/819명)의 환자에서 관찰되었고, 나이, 고혈압, 이전 뇌졸중 병력이 있고 호모시스테인 수치가 높은 환자에서 흔하게 나타났다. 무증상 뇌경색은 16.8%(138/819명)에서 관찰되었고, 나이, 고혈압, 이전 뇌졸중, 높은 호모시스테인 수치에서 더 흔하게 나타났다. 높은 호모시스테인 수치는 무증상 뇌경색(OR: 1.024, 95% CI: 1.005-1.044, p=0.013)과 심한 백색질 고강도신호(OR: 1.02, 95% CI: 1.001-1.039, p=0.04)에서도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치가 높은 것은 대뇌 미세출혈의 개수, MTHFR TT 유전형, 그리고 낮은 MMSE 점수와 관련성이 있었다. 따라서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치는 심한 백색질 고신호강도, 무증상 뇌경색과 대뇌 미세출혈의 발생, 인지 기능 저하와 연관성이 있고, 대뇌 소혈관 질환이 있거나 MTHRF TT 유전형을 가진 인지 기능 저하 환자에서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치를 낮추는 치료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24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47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