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태호-
dc.contributor.author조용탁-
dc.date.accessioned2021-02-24T16:16:04Z-
dc.date.available2021-02-24T16:16:04Z-
dc.date.issued2021. 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245-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372en_US
dc.description.abstract연구 배경 및 목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19)라는 신종 전염병의 대유행으로 현재까지 전세계에 수많은 확진자와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무증상부터 사망까지 다양한 중증도를 가진 질병이기에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고, 연령, 성별, 기저질환 등이 위험인자로 제시된 바 있다. 여러 선행 연구에서 비만과 사망률 및 중증도 사이의 연관성이 보고된 바 있지만, 코로나19 발생 주요국이 대부분 서방국가이며 이들의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 분포도가 아시아인과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를 국내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코로나19의 사망에 BMI가 미치는 영향을 전국 규모의 확진자 코호트 자료를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0년 4월 30일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중 격리 해제가 확인된 5,628명의 임상역학정보를 이용한 후향적 관찰 연구이다. 자료는 중앙방역대책본부와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수집하여 중앙방역대책본부를 통해 공개되었다. 미성년자와 BMI가 누락된 인원은 제외한 후 확진자의 BMI를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시한 아시아인 기준에 따라 저체중, 정상, 과체중, 1단계 비만, 2단계 비만으로 구분하였다. 결과값은 1차로 사망, 2차로 중증 감염으로 설정하였다. 중증 감염은 사망, 침습적 기계환기 치료, 다발성 장기부전 혹은 체외막산소공급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사망과 중증 감염 위험도를 분석하기 위해 시행한 단변수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를 공변량으로 지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다변수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공변량 중 연령과 성별에 대하여 층화분석을 시행하였다. BMI에 따른 사망과 중증 감염 위험도를 측정하여, 독립적 위험인자로써 BMI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총 4,182명의 확진자가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이 중 126명이 사망하였고, 152명이 중증 감염으로 분류되었다. BMI 별 다변수 분석을 통해 저체중 그룹이 정상 그룹과 비교하여 수정승산비 2.39 (95% confidence interval: CI, 1.15-4.77)의 사망 위험도를 보였고, 1.99 (95% CI, 0.98-3.84)의 중증 감염 위험을 보였다. 연령과 성별을 통제한 층화분석 상 저체중은 여성에서 사망과 중증 감염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BMI 그룹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BMI 18.5 kg/m² 미만의 저체중은 국내 코로나19 사망의 위험인자로 작용한다. 다만, 저체중의 이러한 소견은 연령과 성별 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여성에서만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체질량지수가 국내 코로나19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전국 규모 후향적 코호트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BMI in COVID-19 mortality of South Korea: Nationwide retrospective cohort stud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조용탁-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 Yongtak-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의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응급의학-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