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기 신질환 환자에서 10 미리미터 이하의 용종에 대한 저온 올가미 절제술과 내시경 점막 절제술의 안정성과 유효성 비교
- Title
- 말기 신질환 환자에서 10 미리미터 이하의 용종에 대한 저온 올가미 절제술과 내시경 점막 절제술의 안정성과 유효성 비교
- Other Titles
- Comparison of clinical outcomes between cold snare polypectomy and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for the treatemnt of ≤10 mm polyps in ESRD patients
- Author
- 오창교
- Alternative Author(s)
- Oh Chang Kyo
- Advisor(s)
- 최호순
- Issue Date
- 2021. 2
- Publisher
- 한양대학교
- Degree
- Master
- Abstract
- 연구 배경: 말기 신질환 환자의 경우 기저 질환이 없는 사람에 비해 용종 절제 후 출혈 및 천공 등의 합병증이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온 올가미 절제술은 시술시간이 짧으며 출혈 및 천공의 위험도가 비교적 낮아 최근 용종 절제 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말기 신질환 환자에서 저온 올가미 절제술의 유효성과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10 미리미터 이하의 대장 용종 절제 시 저온 올가미 절제술과 점막절제술을 비교하여 저온 올가미 절제술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서 2014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 까지 10 미리미터 이하의 대장 용종이 발견되어 용종 절제술을 시행 받은 말기 신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에 포함된 863 례의 대장 용종 중 458 례의 대장 용종이 저온 올가미 절제술로 절제 되었고, 405 례의 대장 용종은 점막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완전 절제율은 저온 올가미 절제술군과 점막절제술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각각 97.2%, 96.0%, p=0.366). 즉시 출혈(각각 6.3%, 9.4%, p=0.095) 및 지연 출혈(각각 6.3%, 9.4%, p=0.095)에서도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두 군 모두에서 천공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저온 올가미 절제술과 점막절제술 간에 완전 절제율과 출혈 및 천공 등의 합병증 발생률에 차이가 없어 저온 올가미 절제술은 말기 신질환 환자에서 안전하고 유용한 절제술이다.
- URI
-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23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5963
- Appears in Collections:
-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