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 0

경부 척수증 환자에서 후방 접근법을 통한 수술 후 발생한 후만 변화 정도가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itle
경부 척수증 환자에서 후방 접근법을 통한 수술 후 발생한 후만 변화 정도가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 of kyphotic change after posterior approach surgery on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c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Author
기영문
Alternative Author(s)
Kee, Young Moon
Advisor(s)
박예수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목적: 경부 척수증 환자에서 후방 접근법을 통한 수술 후 후만 변화 정도를 알아보고 임상 결과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부 척수증으로 후궁 성형술 또는 후궁 절제술 및 유합술을 시행하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31명(후궁 성형술: 16명, 후궁 절제술 및 유합술: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시행전과 최종 추시시 경추의 전만 또는 후만각을 측정하였고,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JOA) 점수를 이용하여 임상 결과를 평가하였고 임상증상 회복률은 JOA 점수를 이용하여Hirabayashi 공식을 통해 계산하였다. 수술 후 후만 변화 정도 외에 회복률의 예후 인자로 알려진 나이, 수술 전 JOA 점수, 자기공명영상에서 척수 내 신호강도 변화, Pavlov Ratio, 척수 압박률의 영향도 조사하였다. 또한 마지막 추시시 경추의 전만각이 유지 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는 경우에 임상 결과 회복률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두 술식에 따른 각각의 임상결과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확인하고 그 차이 또한 비교하였다. 결과: 후궁 성형술과 후궁 절제술 및 유합술에 따른JOA점수는 각각 수술 전 평균 10.8 ± 1.2과 11.7 ± 1.8에서 수술 후 14.3 ± 1.5과 15.1 ± 2.2로 향상 되었고 평균 회복률은 58.8% 과59.5% 였으며, 두 술식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두 군의 수술 전 경추의 평균 전만각은 각각8.1 ± 9.4도와7.4 ± 7.4도에서 최종 추시시 평균 전만각은 4.1 ± 6.3와 4.6 ± 7.7도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수술 전 후만 변형 정도는 회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최종 추시시 후만 변화 정도는 임상 증상 회복률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나이, 수술 전 JOA 점수, 척수 압박률도 회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다. 마지막 추시시 경추의 전만각이 유지되는 경우는 23명이었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8명(후궁성형술 5명, 후궁 절제술 및 유합술 3명)이었다. 경추 전만각이 유지 되는 경우의 회복률은 69.1%로 그렇지 않은 51.7%보다 유의하게 더 좋았다. 결론: 본 연구는 후방 접근법인 후궁성형술 또는 후궁절제술 및 유합술을 시행받은 경부 척수증 환자에서 수술 후 2년 이상의 추시 기간 동안의 경추 시상 정렬의 후만 변화가 임상 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경부 척수증 환자의 수술적 치료법을 결정함에 있어 후만 변화의 위험인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후만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조물 손상에 주의해야 한다. 색인 단어: 경부 척수증, 후궁 성형술, 후궁 절제술 및 유합술, 후만 변화, 임상 결과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23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58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