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9 0

병동 노인 환자의 복부 수술 후 섬망 발생 위험요인

Title
병동 노인 환자의 복부 수술 후 섬망 발생 위험요인
Other Titles
Risk Factors of Delirium in Older Inpatients after Abdominal Surgery
Author
박소영
Alternative Author(s)
Park, So Young
Advisor(s)
신용순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복부 수술을 받은 병동 입원 노인 환자의 섬망 발생률 및 섬망 발생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 이다. 서울소재 1개 상급종합병원의 2개 일반외과 병동과 1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수술한 65세 이상의 노인 1,928명의 의무기록을 리뷰 하였다. 섬망의 발생은 Nursing Delirium Screening Scale (Nu-DESC)를 사용하여 평가였다. Nu-DESC 점수기록이 없는 경우에는 연구자가 의무기록 전체를 검토해서 섬망여부를 1차 판단하고, 판단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Nu-DESC 도구를 사용하여 섬망 여부를 재검증 하였다. 섬망 발생률은 6.1% 이었다. 섬망의 발생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1.1배 높아졌고(95% Confidence Internal[CI]=1.05~1.13, p<.001), 기동성 장애가 있을 경우 2.5배 증가하였다(95% CI=1.20~5.16, p=.014). 지참약을 0-3개 복용할 때보다 4-6개 복용할 때 섬망의 발생이 2.5배 증가(95% CI=1.38~4.41, p=.002)하였고, 지참약을 7개 이상 복용할 때는 2.0배 더 증가하였다(95% CI=1.06~3.79, p=.032). 입원 시 낙상 고위험 환자로 사정될 경우 섬망의 발생은 2.1배 증가하였고(95% CI=1.26~3.54, p=.004), 입원 시 욕창 고위험 환자로 사정될 때에는 2.0배 증가하였다(95% CI=1.01~3.94, p=.046). 그리고 배액관과 사용하는 카테터 및 치료기구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섬망의 발생은 1.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5% CI=1.18~1.45, p<.001). 입원병동의 경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했을 때 일반병동에 입원했을 때보다 섬망의 발생이 3.0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5% CI=1.51~5.82, p=.002).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섬망 발생위험이 높아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먼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경우 가장 심리적으로 의지할 수 있는 가족과의 분리되어 생활하여 가족의 지지를 상대적으로 덜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 환자의 불안감을 증가시켜 섬망 발생의 위험을 높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경우 보호자의 보고가 아닌 의료진의 직접 증상을 확인함으로써 잘 드러나지 않는 경증의 섬망이나 음성 섬망도 확인이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보호자 상주 시 환자의 섬망 증상이 조절되는 것도 함께 발견하였는데 환자 안전과 직결되는 섬망의 중재를 위해 섬망 시 보호자 상주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보호자 상주율 관리에 대한 의료기관 종별 세부 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research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nd incidence of delirium in the elderly patients hospitalized after their abdominal operation. For this study, the medical records of 1,928 elderly patients over the age of 65 provided by two GS wards and on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in a major hospital in Seoul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 incidence rate of Delirium was 6.1% and the ratio increased by 1.092 times upon aging(95% Confidence Internal[CI]=1.053~1.133, p<.001) and 2.489 times increased when there is a mobility impairment(95% CI=1.201~5.155, p=.014). The ratio increased 2.464 times more when the patient takes prescribed medication from 4 to 6 than zero to 3 (95% CI=1.377~4.409, p=.002), and it increases 2.007 time more when the patient takes more than 7 prescribed medication. The incidence ratio of Delirium increased 2.115 times when the patient shows high risk in fall at the time of entering into hospital (95% CI=1.264~3.538, p=.004), 1.999 times increased when the patient shows a high risk of bedsore (95% CI=1.013~3.944, p=.046). The ratio increased 1.306 times as the number of treatment tool such as drainage tubes and catheters increases (95% CI=1.178~1.448, p<.001). Odds ratio increases 2.966times more under the environment of the ward which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than normal ward (95% CI=1.513~5.816, p=.002). The reason of the incidence ratio of Delirium is higher in the hospital where provides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is assumed as below: First,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may increase the risk of Delirium incidence due to its fact that enhancing the level of anxiety from the patients who become separated from the family. Second, the service allows to detect the patient's initial symptom of Delirium faster because the professional medical team directly checks the status of patient instead of family caregiver, who doesn't have professional background about medical knowledge. This helps to detect Delirium faster even if it is known as hard to detect at the earlier stage such as a slight illness or negative Delirium. It also showed that their family caregivers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to control the patients with Delirium . It has to be considered that family caregivers need to reside with hospitalized patients with Delirium if necessary. Therefore, there needs to be more detailed standards on their family caregiver rate(guardian rate) allowed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09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01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CLINICAL NURSING(임상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