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0 0

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

Title
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
Other Titles
Differences in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by Attachment and Self-Differentiation of Counselors
Author
신지연
Alternative Author(s)
Shin, Ji Yeon
Advisor(s)
장유진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성인애착 유형과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자의 성인애착, 자아분화의 조합을 통해 군집 분석을 실시하여, 각 군집에 따라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1년이상의 상담경력이 있는 상담자 317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자아분화, 역전이 관리능력의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상담자의 성인애착의 두가지 하위요인인 불안 애착과 회피애착, 자아분화 수준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기 위해, Ward 방법의 계층적 군집분석으로 적절한 군집 수를 검토하고, K 평균 군집분석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해 분류된 집단 간에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관계 분석을 살펴보면 성인애착의 두가지 하위요인 중 불안애착, 회피애착, 자아분화, 역전이 관리능력과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아분화는 역전이 관리능력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성인애착의 두가지 하위요인인 불안애착과 회피애착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자아분화는 성인애착의 하위요인 중 불안 애착보다 회피애착과 더 높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의 두가지 하위요인인 불안애착과 회피애착 모두 역전이 관리능력과 부적 상관을 보였는데 불안애착보다 회피애착이 더 높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군집분석을 통해 자아미분화, 불안애착, 불안정, 안정형 이렇게 네 개의 군집유형으로 나누었고 군집 유형에 따라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높은 수준의 자아분화와, 안정적인 성인애착 유형을 보인 안정형 집단이 가장 높은 역전이 관리능력을 보여주었고, 낮은 수준의 자아분화와 성인애착을 안정적으로 형성하지 못해, 불안과 회피 하위요인이 모두 높은 불안정 집단이 가장 낮은 역전이 관리능력을 보여주었다. 불안애착 집단은 자아분화 수준은 안정적이지만 유독 성인애착 척도에서 불안이 많이 높게 측정된 집단으로써 역전이 관리능력도 안정집단에 비해 낮게 나타났는데, 자아분화 수준이 비교적 높더라도, 불안 애착의 경향이 높은 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이 낮게 나타났음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자아미분화 집단은 성인애착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형성되었지만 자아분화는 매우 낮은 수준을 보여주는 집단이며, 역전이 관리능력은 안정집단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군집 유형별로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가 실제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상담자의 애착과 자아분화라는 개인적인 변인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역전이 관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06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064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