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2 0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팀 효과성의 관계 : 심리적 안전감과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및 조직문화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Title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팀 효과성의 관계 : 심리적 안전감과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및 조직문화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Team Effectiveness :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Shared Leadership, Multi-Group Analysis across Organizational Culture Type
Author
이명희
Alternative Author(s)
Lee, Myung Hee
Advisor(s)
정기수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팀 효과성의 관계를 검증하고,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과 공유리더십의 매개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또한 조직문화유형에 따라 구조모형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 심리적 안전감, 공유리더십, 팀 효과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팀 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 공유리더십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셋째, 조직문화유형의 인식 수준에 따라서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 심리적 안전감, 공유리더십, 팀 효과성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팀제를 운영하는 조직의 팀원 400명으로부터 유효한 설문을 받았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적 처리를 위해 SPSS 26.0과 MPLUS 8.3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팀 효과성, 심리적 안전감, 공유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안전감은 팀 효과성, 공유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공유리더십은 팀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안전감은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팀 효과성,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공유리더십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공유리더십은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팀 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심리적 안전감과 공유리더십은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팀 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순차적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 심리적 안전감, 공유리더십, 팀 효과성의 관계는 조직문화유형의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 심리적 안전감, 공유리더십은 팀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이며 이 중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심리적 안전감, 공유리더십을 활성화하기 위한 선행 조건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현업 적용을 위한 기회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효과보다는 심리적 안전감과 공유리더십을 통한 간접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를 통해 팀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을 개발하는 개별적인 접근뿐만 아니라 팀원과 팀의 분위기를 고려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더불어 유연한 조직문화로의 변화를 정착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조직개발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퍼실리테이션 관련 국내 연구 기반이 부족한 상황에서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다른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리더십 영역에서 퍼실리테이션 이론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실증적 연구 확장에 기여하였다는 것이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팀 효과성 향상을 위한 리더십 및 조직 개발 방향성을 제안하고 이와 관련한 제도적 장치와 구체적 방안 모색을 위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895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40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LIFELONG LEARNING(평생학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