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9 646

도시 화훼장식물의 유형별 선호도 분석 - 고양 꽃 박람회장 주변 지역 주민 대상 -

Title
도시 화훼장식물의 유형별 선호도 분석 - 고양 꽃 박람회장 주변 지역 주민 대상 -
Other Titles
Preference Analysis of Urban Flower Decorations by Type - For Local Residents around Goyang Flower Fair -
Author
김건우
Keywords
고양 꽃 박람회; 화훼장식물; 도시 경관; 경관 이미지; Goyang Flower Fair; Flower Decorations; Urban Landscaping; Landscape Image
Issue Date
2019-12
Publisher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Citation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 5, no. 2, page. 82-92
Abstract
본 연구는 고양시 일반 주민들을 대상으로 화훼장식물에 대한 경관 이미지 및 선호도 분석을 통해 도시 경관으로서의 화훼장식물의 관계성을 알아본다. 또한, 도시 환경에서의 꽃장식물에 대한 이용자 요구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화훼 연출기법 모색 과정에 반영하여 경관적 가치를 극대화할 기초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문헌과 사례를 통하여 그간에 도입된 화훼장식물에 대한 개념, 기능, 특성을 선행 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최근의 새로운 흐름을 반영하여 5가지 유형으로 보다 발전시켜 정리할 수 있었다. 둘째, 화훼장식물의 도시 경관성과 관련, 화훼장식물이 도시 경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화훼장식물의 필요성 조사를 통해 도시 경관에서 화훼장식물의 영향이나 필요성이 도시민의 의식 속에 높게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셋째, 유형별 화훼장식물의 경관 이미지와 선호도를 분석하여 도시민이 선호하는 화훼장식물 유형과 경관 이미지, 그리고 그 요인을 밝힐 수가 있어 향후 화훼장식물의 연출 방향과 연출기법 모색 시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향후, 화훼장식물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된 전문가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한다면 화훼, 도시, 조경, 건축, 산업 종사자 등 전문가들의 인식 경향을 통해 전문가와 일반인들의 화훼장식물에 대한 인식과 그 차이를 비교하여 좀 더 나은 화훼장식물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는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분석을 통한 함의로 화훼장식물을 경관적 차원으로 범위를 확장시켜 이에 대한 새로운 개념 수립과 유형화의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andscape image and preferences of flower decorations for the local residents of Goyang-si,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er decorations as urban landscape through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user needs for flower decorations in urban environments, to find effective flower decorating techniques, and to present basic data for maximizing landscape value. As a result, first, the concept,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decorations introduced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cases were reviewed, and five types were developed and arranged by reflecting the recent new trend. Second, with regard to the urban landscape of the flower decorations,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flower decorations affect the urban landscape image and the need for flower decorations is high in the local residents’ consciousness. Third, by analyzing the landscape images and preferences of each type of flower decorations, the preferred types of flower decorations, landscape images, and the factors were identified. Accordingly, it is intended to be a reference for finding directions and methods for flower decorations. In the future,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duct research that analyze recognitions of flower decorations by experts of flower decorations, urban landscapes, architects, so that compares the results with data from ordinary people. Through the analysi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d typing new concepts of flower decorations is found by extending flower decorations to the landscape level.
URI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54867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8833
ISSN
2465-8146
DOI
10.22849/jkigd.2019.5.2.00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ETC
Files in This Item:
도시 화훼장식물의 유형별 선호도 분석 - 고양 꽃 박람회장 주변 지역 주민 대상 -.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