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6 0

기업 근로자 긍정심리자본 관련변수에 관한 메타분석

Title
기업 근로자 긍정심리자본 관련변수에 관한 메타분석
Other Titles
Meta-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orporate Workers
Author
송영수
Keywords
긍정심리자본; 국내 기업 근로자; 메타분석;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porate Worker; Meta-Analysis
Issue Date
2019-12
Publisher
한국경영교육학회
Citation
경영교육연구, v. 34, no. 6, page. 47-68
Abstract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종합적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국내 기업 근로자 대상의 긍정심리자본 연구 논문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기업 근로자 대상의 긍정심리자본 연구 논문 51편을 메타분석하였다. 관련변수는 정적과 부적상관, 선행과 결과변수로 분류 후 하위 유목화하였다. 그리고 각 변수들의 효과의 크기를 통계적으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첫째, 정적 선행변수의 전체 효과 크기는 0.579이었고, 직무환경과 조건, 구성원 요인, 조직의 정책과 리더십순이었으며, 각각의 하위변수에서는 심리적 임파워먼트, 긍정적 정서, 변혁적 리더십이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정적 결과변수의 전체 효과 크기는 0.602이었고, 만족도, 직무태도, 성과순이었으며, 각각의 하위변수에서는 직무만족도, 정서적몰입, 주관적 경력성공이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최근 10년간의 긍정심리자본의 관련 변수를 분류하고, 각 변수들의 효과의 크기를 계량화한 종합적 연구로써 이론적으로는 긍정심리자본 관련 연구를 더욱 확장하고, 실무적으로는 기업의 경영진과 중간관리자들에게 긍정심리자본 개발을 통한 조직의 성과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rough the meta-analysis of the research papers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domestic firms in the situation of comprehensive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thodology] This study meta-analyzed 51 research papers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domestic company workers from 2010 to 2019. Related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static and inadequate correlations, precedence and outcome variables, and then subdivided. And the magnitude of the effect of each variable is presented statistically. [Finding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static leading variable is 0.579. Job environment and conditions, employee factors, organizational policies, and leadership were found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positive emotio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cond,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static outcome variable is 0.602. Satisfaction, job attitude, and performance were in order. In each sub-variable, Job satisfaction, emotional commitment,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were high. [Implications] This study classifies related variabl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ver the past 10 years and expands the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ory.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29992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8140
ISSN
1598-8651
DOI
10.23839/kabe.2019.34.6.4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