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 0

휴대폰 관찰시간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의 상관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휴대폰 관찰시간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의 상관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Cell Phone View Time and Preference of Consumers -Focused on General Structure-
Author
한정완
Keywords
Cell-phones; Correlation; Visual; Structure
Issue Date
2003-12
Publisher
한국디자인과학학회
Citation
디자인과학연구, v. 6, no. 3, page. 13-22
Abstract
소비자가 휴대폰을 선택시 관찰시간에 따른 소비 선호도에 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연구 본 연구는 휴대폰을 관할하는 시간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방법은 여러 디자인 요소 중 시각적으로 판단되는 외형 디자인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샘플로는 2002년, 2003년에 출시된 국외 최신휴대폰 122종을 디자인 실무자를 통해 3차에 걸친 분류작업을 수행하였다. 그 중 실험에 적합한 샘플이미지 9개를 선정하였다. 피험자는 미래 구매 잠재력이 높고 혁신적인 제품 수용에 있어서 민감하고 가치 기준에 명확한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20대의 연령층을 실험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은 노출시간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를 알아볼 수 있는 Ⅰ, Ⅱ로 나눌 수 있는데, 실험 Ⅰ 은 9개의 휴대폰 이미지를 무작위로 3개씩 구분해 피험자들에게 3초간 시간별로 노출시킨 후 점수를 1점~5점까지 측정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3번 거친 후 이미지의 순서를 바꿔가며 2회 더 실시하였다. 그 이유는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순위를 정함에 있어 정확성을 높이기 위함에 있었다. 그런 후 4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실험 Ⅱ에서는 샘플 이미지 9개의 모두 노출시켜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 후 1위부터 9위까지 순위를 정하도록 하였고 선호도 선정 이유에 대한 3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모든 과정을 거친 본 연구의 결론은 아래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휴대폰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에 대한 관찰시간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서 디자이너와 소비자를 좀더 가깝게 만들며 앞으로 휴대폰 디자인에 있어 기초 자료제공과 개선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본다. The study focused on the external design, which is thought to be a visual element of many other design elements. As for the samples of the study, 122 types of the latest cell-phones from outside Korea, which were released in 2002 and 2003, were categorized after 3 processes by designers. Out of the 122 types, 9 sample images appropriate for the test were selected. As for the testes, the study selected people in 20s since they have a high level of purchase potentiality and they are sensitive when accepting a revolutionary product. Also the people in the 20s were used in the study because they can express definite opinion on the value standard. In TestΙ, 3 of the 9 images were selected randomly and they were exposed to the testes for 3 seconds so that they can grade the images from 1 to 5 points. This process was done 3 times and then it was done 2 more times after switching order of the images. The reason for this is to enhance the accuracy by grading the images through repeated process. 4 questions were given to the testes. In Test Ⅱ, all of the 9 sample images were exposed and the testes were given enough time to observe the images so that they rank the image. After this, 3 questions were given to them for the reason of preference selection. Through these Processes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I hope the study can narrow the gap between designers and consumer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iew time of each part that composes a cell-phone and preference of consumers. Also this study will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for design and improvement of cell-phones in the future.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21641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6672
ISSN
1229-107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