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국어 영역에 대한 비판적 점검과 발전적 방향 모색-수능 평가의 본질 회복을 향하여-

Title
수능 국어 영역에 대한 비판적 점검과 발전적 방향 모색-수능 평가의 본질 회복을 향하여-
Other Titles
Critical Examination About CSAT Korean Language and Its Developmental Directions -Toward the Recovery of the Nature of the CSAT Evaluation-
Author
류수열
Keywords
수학 능력; 수능 국어; 고등학교 교육과정; 사고력; 지식; 선다형 문항; College Scholastic Ability; Korean language area is CSAT; high school curriculum; Thinking Ability; Knowledge; multiple-choice questions
Issue Date
2019-12
Publisher
한국국어교육학회
Citation
새국어교육, v. 121, page. 353-380
Abstract
목적:이 글은 현행 수능 국어 영역에 대한 비판적 점검을 통하여 수능 국어가 더욱 바람직한 평가 도구로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이를 위하여 수능 출제에 개입되는 다양한 변인들 간의 길항 관계를 점검의 기준으로 삼았다.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수학 능력 간의 길항, 사고력과 지식 간의 길항, 선다형 문항의 미덕과 한계 간의 길항이 그것이다. 결과:수능이 사고력 시험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서 필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①화법과 작문 문항이 배제되어야 한다. ② 설득적 텍스트가 독서 지문으로 수용되어야 한다. ③ 문법 지식을 직접 묻는 문항이 배제되어야 한다. ④ 과도한 시간을 요구하는 문항이 배제되어야 한다. ⑤ 깊이 있는 해석을 시도하는 문항이 출제되어야 한다. ⑥ 문학의 상투적인 문항이 배제되어야 한다. 결론:이러한 주장에 대해 반대하는 목소리가 있을 것임은 충분히 예상 가능하다. 그러나 수능 시험의 위상에 대한 정책적 판단, 국어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수렴 등의 절차에서 나타날 다양한 목소리들 사이의 긴장은 더욱 건강한 국어교육의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This article is intended to pres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should go as a more favorable assessment tool through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current Korean language area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Methods:For this purpose, the check was based on the competition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variables intervening in the CSAT problem making. The competition between the high school curriculum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between thinking ability and knowledge, between the virtues and limitations of multiple-choice questions. Results:The items necessary for a thinking ability test are summarized as follows ; ① The section of listening and speaking, writing must be excluded. ② Persuasive text should be stored in reading section. ③ Questions that directly ask knowledge of grammar must be eliminated. ④ Questions that require excessive time should be eliminated in reading section. ⑤ Questions that require deep interpretation should be given in literature section. ⑥ Regular questions must be eliminated at literature section. Conclusion:It is predictable that there will be opposition to these claims. However, the tension between the various voices that will emerge in the process of policy judgment on the status of the CSAT test and the convergence of social demands for language educat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healthier ecosyste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RI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53670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5958
ISSN
1226-6736
DOI
10.15734/koed..121.201912.35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수능 국어 영역에 대한 비판적 점검과 발전적 방향 모색-수능 평가의 본질 회복을 향하여-.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