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7 0

한탄강 본류역의 후기 구석기 연구

Title
한탄강 본류역의 후기 구석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pper Paleolithic in the Hantan River Area
Author
이정철
Keywords
한탄강; 후기 구석기시대; 편년; 유물군; 석기공작; Hantan River; Upper Paleolithic; Chronology; Artifacts Group; Stone Industry
Issue Date
2019-12
Publisher
한국고대학회
Citation
선사와 고대, No. 61, Page. 153-184
Abstract
한탄강 본류역의 주요 후기 구석기시대 유적은 배후산지의 사면이나 말단부 또는 구릉 및 그 사면에 위치하며, 여러 유적의 하부에는 현무암대지가 형성되어 있다. 구석기 유물이 출토되는 층은 사면기원의 점토성 퇴적물이며, 유적 및 유물층별 사면퇴적의 영향은 상이하다. 유적의 유물층은 점토성 퇴적물 내의 색조, 구조, 토양입도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세 매의 층으로 구분되며, 각 층 내의 유물층은 상부, 중부, 하부 유물군으로 삼분된다. 상부 유물군은 명갈색 층으로 그 연대 범위는 16,000~22,000calBC, 중부 유물군은 쐐기구조가 발달된 암갈색 층으로 중심 연대는 22,000~26,000calBC, 하부 유물군은 쐐기구조의 뿌리 아래에 위치하는 (적)갈색 층으로 30,000~33,000calBC나 그 이전에 속한다. 석기제작을 위한 박리작업은 석영계 돌감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늦은 시기로 갈수록 몸돌의 활용을 극대화시키는 방향으로 변화가 나타난다. 그리고 돌감은 특정 석기제작기법의 출현과 밀접하게 관련되는데, 응회암은 돌날기법, 흑요석은 좀돌날기법에 활용되었다. 돌감은 상부 유물군으로 갈수록 여러 종류가 나타나며, 돌날기법 및 좀돌날기법에 이용된 돌감 역시 마찬가지이다. 다듬은 석기는 하부 유물군에서는 긁개 위주이지만 중부 유물군에 이르러 긁개와 밀개, 홈날, 쐐기, 뚜르개, 슴베찌르개 등이 보여지고 상부 유물군까지 이어진다. 한편 다듬은 석기 중 모든 유물군에서 나타나는 긁개는 점차 돌감과 소재가 다양해지고 소형화되며, 밀개 역시 중부 유물군에 상부 유물군으로 가면서 유사한 양상이 나타난다. The Upper Paleolithic Sites in the Hantan River Area are located on the slopes and slopes end of hills or mountains and the basalt plateau is formed at the bottom of many sites. The layer on which the paleolithic artifacts are excavated is a clay deposits of the colluvium origin, and it s influence is different from depending on sites and layers. The artifacts layer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 by color, structure, grain size of soils at clay deposits. The layers are Upper, Middle and Lower Artifacts Groups. The Upper Artifacts Group is a light brown clay layer dating from 16,000 to 22,000calBC, the Middlel Artifacts Group is a dark brown clay layer with wedge dating form 22,000 to 26,000calBC, and the Lower Artifacts Group being a (red) brown layer (sandy) clay located below the root of the wedge dating from belongs 30,000 to 33,000calBC or before than. The knapping stone work was based on quartz and the utilization of core had been maximizing over time the raw material is closely related to the specific stone tools making technique ; Where tuff was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blade technique and obsidian for the micro blade techniqu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aw material is increasingly diversified into the Upper Artifacts Group, and the raw materials for blade and micro blade technique as well. In particular, the crystal used in the micro blade technique are found only in the Upper Artifact Group. The shaped tools are mostly side scrapers in the Lower Artifacts Group, and vary including side scraper, end scraper, notch, PESQ, borer, tanged point and etc. in the Middle Artifacts Group, and these patterns extend to the Upper Artifacts Group. In other words, the expansion of hunting tools from the Middle Artifacats Group means emergence of stone tools for animal skins and bones based on the expansion. It seems mean to adapt for environmental changes of LGM. The side scraper in all Artifacts Groups are gradually diversified and miniaturized in raw material, and end scarper also the similarity can be seen from the Middle Artifacts Group to the Upper Artifacts Group.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755304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5874
ISSN
1229-0432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연구정보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